$\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계수나무 잎, 목질부 및 수피부의 EtOAc 및 물 분획으로부터 gallic acid (1), methyl gallate (2), kurigalin (3), 1,2,3,6-tetra-O-galloyl-${\beta}$-D-(+)-glucose (4),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5), 6-m-digalloyl-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6), isocorilagin (7), macabarterin (8) 등 8종류의 가수분해형 탄닌을 단리하였으며, 각 화합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항염활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법을 사용하였으며, 단리된 화합물 모두 대조군으로 사용된 BHT 및 ${\alpha}$-tocopherol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항염활성 시험 결과 methyl gallate, 1,2,3,6-tetra-O-galloyl-${\beta}$-D-glucose 그리고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가 NO생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methyl gallate가 가장 높은 NO 생성 억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항염제로 이용될 수 있는 효능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계수나무의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은 항염제보다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항산화 소재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ight hydrolyzable tannin compounds, such as gallic acid (1), methyl gallate (2), kurigalin (3), 1,2,3,6-tetra-O-galloyl-${\beta}$-D-(+)-glucose (4),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5), 6-m-digalloyl-1,2,3,4,6-penta-O-galloyl-${\beta}$-D-(+)-gluc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계수나무로부터 분리된 가수분해형탄닌 화합물에 대한 항산화 및 항염활성 시험을 통해 계수나무에서 추출한 탄닌의 기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수나무란 무엇인가? 이러한 목재자원 중 계수나무는 계수나무과(Cercidiphyllaceae)에 속하는 유일 종으로 가지가 곧게 자라며, 수고가 30 - 45 m 정도로서 일본이 원산지이며, 나무 생김새는 넓은 타원형이고, 잎은 하트모양으로 나오기 시작할 때는 적자색이지만 생장하면서 녹색으로 변하며, 잎이 질 때쯤에는 노란색이나 주홍색 빛으로 변한다(Zhang 등, 2009).
대식세포의 역할은 무엇인가? 대식세포는 인체 내에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면역세포로써 염증매개물질을 분비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생체 내 방어기능을 조절하지만 염증유발을 통해 각종 만성염증질환 발병을 유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염증매개물질을 조절함으로써 염증질환을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대식세포 활성조절과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Wei 등, 2004).
계수나무 잎의 주요 방향성 성분인 Maltol은 어떤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가? 계수나무 잎의 주요 방향성 성분으로 알려진Maltol은 2-methyl-3-hydroxy-4H-pyran-4-one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캐러멜향이 나는 성분이다. 이는 탄소골격의 분해 없이 탄수화물에서 직접 유도되는 방향성 화합물로, 생합성 경로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계수나무 잎에 glucoside의 형태로 축적되어있다. 잎의 부후 시 방출되는 향기는 maltol 성분에 의한 것으로 단맛을 내기에 음식과 주류산업에 널리 쓰이고 있다(Le Blanc 등,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fef, A., Ines, B., Ines, S., Kita, V., Malika, K., Pascal, G., Regine, S., Anne-Marie, M., Kamel, G., Francois, L., Marie-Genevieve, D.F., Leila, C.G. 2007. Study of antimutagen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allic acid and 1,2,3,4,6-pentaglloylglucose from Pistacia lentiscus confirmation by microarray expression profiling.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s 165: 1-13. 

  2. Aviram, M. 2000. Review of human studies on oxidative damage and antioxidant protection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s. Free Radical Research 33(suppl.): 85-97. 

  3. Batista, E.F., Costa, D.M., Guilhon, G.M.S.P., Muller, A.H., Santos, L.S., Arruda, M.S.P., Arruda, A.C., Silva, M.N., Silva, J.K., Secco, R.S., Filho, A.P.S.S., Figueira, B.A. 2011. Chemical constituents and allelopath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lchorneopsis floribunda Mull. Arg. (Euphorbiaceae). Natural Product Research: 1-8.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5.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s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7(1): 80-85. 

  6. Ko, R.K., Kim, G.O., Hyun, C.G., Jung, D.S., Lee, N.H. 2011. Compounds with tyrosinase inhibition, elastase inhibition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the branches of Distylium racemosum Sieb. et Zucc. Phytotherapy Research 25: 1451-1456. 

  7. Le Blanc, D.T., Akers, H.A. 1989. Maltol and ethyl maltol : From the larch tree to successful food additive. Food Technology 43: 78-84. 

  8. Lee, M.S., Min, H.J., Kim, J.K., Bae, Y.S. 2016a. A polyoxygenated ellagitannin from Cercidiphyllum japonicum bark.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Technology 44(4): 551-558. 

  9. Lee, M.S., Min, H.J., Si, C.L., Bae, Y.S. 2016b. Hydrolyzable tannins from Cercidiphyllum japonicum bark.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Technology 44(4): 559-570. 

  10. Lee, T.S., Bae, Y.S. 2015. A gallotannin from Cercidiphyllum japonicum leav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Technology 43(5): 558-565. 

  11. Lee, T.S., Min, H.J., Bae, Y.S. 2015. Phenolic glycosides from Cercidiphyllum japonicum leav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Technology 43(5): 591-599. 

  12. Lim, D.K., Choi, U., Shin, D.H. 1996.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8(1): 83-89. 

  13. Liu, X., Cui, C., Zhao, M., Wang, J., Luo, W., Yang, B., Jiang, Y. 2008. Identification of phenolics in the fruit of emblica (Phyllanthus emblica L.)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od Chemistry 109: 909-915. 

  14. Ngoumfo, R.M., Ngounou, G.E., Tchamadeu, C.V., Qadir, M.I., Mbazoa, C.D., Begum, A., Ngninzeko, F.N., Lontsi, D., Choudhary, M.I. 2008. Inhibitory effect of macabarterin, a polyoxygenated ellagitannin from Macaranga barteri, on human neutrophil respiratory burst activity. Journal of Natural Products 71(11): 1906-1910. 

  15. Park, Y.K., Min, J.Y., Lee, J.H. 2009. The effect of methyl gallate isolated from Paeonia suffruticosa on inflammatory response in LPS-stimulated RAW 264.7cells.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4(4): 181-188. 

  16. Sugimoto, K., Nakagawa, K., Hayashi, S., Amakura, Y., Yoshimura, M., Yoshida, T., Yamaji, R., Nakano, Y. and Inui, H. 2009. Hydrolyzable tannins as antioxidants in the leaf extract of Eucalyptus globulus possessing tyrosinase and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ies. Foo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15(3): 331-336. 

  17. Wang, K.J., Yang, C.R., Zhang, Y.J. 2007. Phenolic antioxidants from chinese toon (fresh young leaves and shoots of Toona sinensis). Food Chemicstry 101: 365-371. 

  18. Wei, W., Li, X.Y., Zhang, H.Q., Wu, S.G. 2004. Antiinflammatory and immunopharmacolohy. 1st ed. Beijing : Renminweishengchubanshe: 10-17. 

  19. Williams, G.M., Iatropoulos, M.J., Whysner, J. 1999. Safety assessment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as antioxidant food additive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37: 1027-1038. 

  20. Zhang, X.Y., Yuan, X.Y., Ma, J., Yuan, L.J. 2009. Research on tissue culture and regeneration of Ceridiphyllum japonicum. Northern horticulture (9): 77-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