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 영동 지역의 과학학습장을 활용한 토포필리아 야외지질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Topophilia Geological Fieldwork Based on Science Field Study Area in Youngdong, Chungcheongbuk-do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0 no.1, 2017년, pp.76 - 89  

윤마병 (전주대학교) ,  남기수 (대전과학고등학교) ,  백제은 (원광대학교) ,  이종학 (대구교육대학교) ,  봉필훈 (전주대학교) ,  김유영 (전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북 영동군 지역의 금강과 화석산지, 다양한 지질구조를 교육자원으로 하여 과학학습장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구과학 학습과 토포 필리아를 함양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것이다. 영동 퇴적층(백악기)은 금강을 따라 신선한 노두가 잘 발달되어 있어서 다양한 지질구조와 식물화석, 공룡 발자국 화석을 쉽게 찾을 수 있고, 건열과 연흔, 사층리 등 뚜렷한 퇴적구조가 잘 나타난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전문가 패널의 협의를 통해 야외학습장(관찰지점 6곳)을 개발하여 융합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안했다.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모든 검사 항목에서 양호했다($CVR{\geq}0.88$). 야외학습 모형에 따라 수업에 적용한 결과 수업 만족도는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4.18). 과학학습장에서 진행된 야외 수업과정을 관찰한 결과, 학생들은 금강의 아름다운 경관 이미지를 새롭게 형성하였으며 다양한 구체물(모래사장, 징검다리, 공룡 발자국 화석, 퇴적구조 등)에 대한 개념과 가치,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면서 토포필리아를 갖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ience field study area using Geumgang(Geum River), fossil origins and various geological resources in Youngdong area of Chungcheongbuk-do as educational resources; and utilize them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cultivate earth science and topophili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대전광역시가 인접해 있어서 접근성이 양호하고, 학생들이 강가에서 야외학습을 통해 자연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갖게 하고 그 가치와 의미를 깨닫는 과정에서 토포필리아를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지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학습뿐만 아니라, 토포필리아를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구체물과 교육 자원을 갖고 있는 충북 영동 지역을 야외과학 학습장으로 개발했다. 개발한 야외과학 학습장에서 중․고등 학생들에게 지구과학 야외학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수업에 적용했고, 그 효과를 알아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포 필리아의 특징은? 이푸 투안은 인간의 정서와 생활에서 장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땅과 장소를 뜻하는 ‘토포(Topo)’와 사랑을 의미하는 ‘필리아(Philia)’를 합쳐서 토포필리아(Topophilia)라는 조어를 만들었다(Tuan, 1977). 토포 필리아는 장소에 대한 특별한 사랑과 애착으로서 인간 존재의 정서적 관계를 포함하며 어린 시절에 형성된 특정한 장소와 구체물에 대한 경험, 가치,의미 부여로 형성된 긍정적 정서로서의 리추얼이다(윤마병, 2014). 한국인은 땅에 대한 정서와 고향에 대한 향수가 특별히 강한 편이어서 아름다운 산하의 제일 좋은 조망지에는 어김없이 정자를 세워왔다.
토포필리아 조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장소는 자연 선택의 중요한 결정 요인이며 인간의 삶도 생활의 터전을 선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푸 투안은 인간의 정서와 생활에서 장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땅과 장소를 뜻하는 ‘토포(Topo)’와 사랑을 의미하는 ‘필리아(Philia)’를 합쳐서 토포필리아(Topophilia)라는 조어를 만들었다(Tuan, 1977). 토포 필리아는 장소에 대한 특별한 사랑과 애착으로서 인간 존재의 정서적 관계를 포함하며 어린 시절에 형성된 특정한 장소와 구체물에 대한 경험, 가치,의미 부여로 형성된 긍정적 정서로서의 리추얼이다(윤마병, 2014).
현대 사회의 모빌리티의 증대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은? 그런데 현대 사회는 모빌리티의 증대에 따른 유동성 강화로 사회적 관계나 가치에서 더 이상의 정형성을 허용하지 않는 떠돌이의 삶, 즉 신유목민의 시대가 되어 가면서 정자와 강 등 장소의 리추얼과 고향에 대한 추억 등이 점차 잊혀져 가고 있다(Urry, 2007).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고향의 자연과 장소의 구체물을 떠나 시시각각 변화하는 다양한 시공간에서 비장소적인 공간과 초월적인 시간 속에서 신유목민으로 살아가게 되면서 모빌리티의 증가와 장소성이 더욱 약화되는 사회, 문화적 환경 속에서 장소 감각이나 공간 정서로서 토포필리아가 형성될 가능성이 점차 적어지고 있다(장일구, 2011). 교육에 있어서 장소란 환경과 인간이 상호작용하여 경험할 수 있게 하는 학습의 장이다(Dewey,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규봉, 황재하(1986). 영동도폭지질보고서 및 지질도(1/50000),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 김해경(2016). 고흥군 북서 해안의 지질학습장으로서의 활용가능성,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2), 163-172. 

  3. 김해경(2015). 지역 지질을 활용한 초등학교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28-138. 

  4. 김화성, 함호식, 이문원(2013). 화성암 지역의 야외 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74-285. 

  5. 국립국어원(2017). 사랑의 어원, Retrived February 5, 2017, from http://www.korean.go.kr. 

  6. 교육과학기술부(2011). 2011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7. 교육부(2015).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8. 맹승호(2004). 야외 지질 학습 수업모형에 관한 고찰, 함께하는 지구과학 교육, 3, 55-64. 

  9. 박재문, 양우헌, 조규성(2007). 전북 부안군 채석강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8(7), 747-761. 

  10.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11. 손치무, 정창희, 이상만, 엄상호(1969). 우리나라의 퇴적환경과 지질구조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연구보고서 69(2), 50. 

  12. 이어령(2015). 언어로 세운 집, 서울: 아르테. 

  13. 윤마병(2014). 토포필리아의 학습동기 역할과 전북지역의 교육자원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4), 231-246. 

  14. 윤마병, 김학성, 이종학(2014). 전북지역 교육자원을 활용한 토포필리아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학교육연구지, 38(1), 41-56. 

  15. 윤마병, 홍재영(2012). 고등학교 융합과학(STEAM) 실험-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과학 캠프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36(2), 263-278. 

  16. 장일구(2011). 경계와 이행의 서사 공간,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17. 조규성, 양우헌, 신순선, 오재명, 정덕호(2012). 변산반도 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3(7), 658-671. 

  18. 하병건, 김용권(2015). 환경 관련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206-217. 

  19. 홍정수, 장남기(1997). 중등학교 과학과 야외활동의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85-92. 

  20. Carnevale, P. J. & Isen, A. M. (1986). The influence of positive affect and visual access on the discovery of integrative solutions in bilateral negoti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37, 1-13. 

  21. Csikszentmihalyi, M. (1998).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NY: Basic Books. 

  22. Dewey, J. (2002). Experienceand education, 박철홍 역(2002), 경험과 교육, 서울: 문음사. 

  23.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 34-43. 

  24. Doran, R.L. (1980). Basic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cience instruction. Washington: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5. Huntoon, J.E., Bluth, G.J., & Kennedy, W.A. (2001). Measuring the effects of a research-based field experience on undergraduates and K-12 teache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9, 235-248. 

  26. Isen, A.M. & Reeve, J. (2005). The influence of positive affect 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acilitating enjoyment of paly, responsible work behavior, and self-control. Motivation and Emotion, 29(4), 295-323. 

  27. Johan H. (2016).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Washington: Angelico Press. 

  28. OECD (2007). Understanding the brain: The birth of a learning science, NY: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29.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 325-331. 

  30. Orion, N. & Hofstein, A. (1994).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1097-1119. 

  31. Piaget, J. (1983). Piaget's theory. In W. Kesse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Vol. 1, pp. 103-128), NY: Wiley. 

  32. Rousseau, J.J. (2003). Emile or treatise on education, trans. by William H. Payne. Amherst, NY: Prometheus Books. 

  33. Tuan, Y.F. (1961). Topophilia, or sudden encounter with the landscape, Landscape, 11, 29-32. 

  34. Tuan, Y.F. (1977).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innesot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5. Urry J. (2007). Mobilities, 신유목민시대의 패러다 임과 사회 이후 사회, 강현수, 이희상 역, 서울: 아카넷. 

  36. Yoon, M.B. (2016). Development of the STEAM education program on climate change for science club activ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and Learning, 11, 123-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