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tatistics Education in Korea from 2000 to 2016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2, 2017년, pp.269 - 289  

탁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경화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통계교육 연구는 통계교육의 현상을 기술, 예측, 설명함으로써 통계교육의 실제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이후 국내 주요 수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되었던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통해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2000년부터 2016년까지 17년 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주요 수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99편을 찾아, 학술지별,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 연구 주제별로 범주화하고 연도별로 그 분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통계교육 연구는 양적인 측면에서 그 편수가 많지 않아 특정 연구자들에 의한 연도별 변이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간 대상 연구와 인간 비대상 연구가 대체적으로 비슷했으며 대학생 대상의 연구가 거의 없고 교사 대상의 연구는 2010년 이후로 점차 늘어나고 있었다. 연구 방법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연구와 비실험 연구가 비슷하게 수행된 것으로 보이나 이는 2010년 이후 질적 연구와 혼합 연구가 증가함으로써 비롯된 현상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통계교육 연구 중에서는 교수 학습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추론 및 이해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통계교육의 연구 동향을 2010년 전후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확인하고 향후 통계교육 연구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is an important basis for improving the practice of statistical education by describing, predicting, and explaining the phenomena of statistica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 trends in Kore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papers publ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통계교육과 통계교육 연구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된 것이었다. 국내의 동향을 종적으로 분석하여 통계교육 연구의 흐름과 발전상을 돌아보는 일은 중요하지만, 한편으로는 연구 과제와 미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기준이 될 만한 비교군에 비추어 정당화될 필요가 있다.
  •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범주별 양적 분석만으로 결론을 도출했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각 범주에 해당하는 일부 논문에 대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과 그 특징을 확인하여 되돌아봄으로써 우리나라 통계교육의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해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모색을 제안한 우정호(2000)의 제언 이후부터 최근까지의 17년간 국내에 게재된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범주화하고 동향을 분석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범주별 양적 분석만으로 결론을 도출했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각 범주에 해당하는 일부 논문에 대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통계교육 문제점은? 48). 그 결과, 전통적인 통계교육이 지나치게 많은 통계적 기법들을 피상적으로 가르치고 기계적으로 적용하게 한다는 Freudenthal(1973)의 지적은 40여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유효해 보인다(우정호, 2007, p. 482에서 재인용).
통계학의 특징은? 통계학은 한편으로 실용성과 실생활의 도구로서 사용되며, 다른 한편으로 창의성과 탐구정신을 함양할 수 있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민주주의의 시민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통계학에 대한 적절한 소양이 요구된다(김응환, 이석훈, 2015, p. 2).
수학교육학이 사회과학인 이유는? 수학교육학은 비록 수학이라는 형식과학을 교과로 다루고 있으나, 많은 사람들의 인식과 달리 방법적 측면에서는 이론보다 실천을 강조하는 명백한 사회과학이라 할 수 있다(이영하, 태성이,2009). 사회과학으로서의 실험 연구 유형은 그 범주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그리고 혼합 연구로 분류되는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통계교육 연구논문 중 사회과학적 연구방법론이 적용된 실험 연구의 경우, Creswell(2011)을 참고하여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강현영(2012).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5(4), 121-137. 

  2. 강현영, 송은영, 조진우, 이경화(2011). 통계적 논증활동을 강조한 통계수업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1(4), 399-422. 

  3. 고은성(2012a).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수준 비교 연구: 변이성 모델링과 표집분포 이해 능력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2(3), 503-525. 

  4. 고은성(2012b). 통계적 변이성 사고 요소 간의 관계 연구. 학교수학, 14(4), 495-516. 

  5. 고은성(2012c). 일반학급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변이성에 대한 사고 수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고은성, 이경화(2011a).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표집에 대한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21(1), 17-32. 

  7. 고은성, 이경화(2011b). 통계적 변이성 설명과 제어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중학교 학생들의 사고 수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1(2), 201-220. 

  8.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9. 권오남, 주미경(2003). 대학 수학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수학교육, 42(2), 229-245. 

  10. 김선희(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학교수학, 15(1), 61-75. 

  11. 김원경, 문소영, 변지영(2006).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수학교육, 45(4), 381-406. 

  12. 김응환, 이석훈(2015). 통계와 확률 교육. 서울: 경문사. 

  13. 김지곤(2001). Excel과 Mathview를 활용한 고등학교 통계지도. 수학교육논문집, 11, 367-387. 

  14. 남주현(2007). 초.중등 통계교육을 위한 통계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민경아, 유미현, 고호경(2011). 수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393-421. 

  16. 박경미(2013). 수학교육학과 수학 연구자들의 학술지 선호 경향에 대한 조사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4), 423-448. 

  17. 박동준, 강혜진(2000). 비주얼 베이직을 활용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통계교육 모형. 초등수학교육, 4(2), 127-137. 

  18. 박민선(2015).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의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박선영, 김원경(2011).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수학교육, 50(3), 285-308. 

  20. 박태학, 김화라(2004). 유아의 통계적 사고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277-304. 

  21. 송상헌 외 17인(2013). 수학교육학 연구 방법. 서울: 경문사. 

  22. 우정호(2000).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학교수학, 2(1), 1-27. 

  23. 우정호(200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4. 우정호, 정영옥, 박경미, 이경화, 김남희, 나귀수, 임재훈(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서울:경문사. 

  25. 이경화(2015). 우리나라 초중고 통계교육의 실제와 방향. 통계청(편). 미래사회, 이제 통계적 소양이다 (pp. 27-43). 대전: 통계청. 

  26. 이경화(2016). 통계, 통계교육, 그리고 통계교육 연구로의 시간여행. 수학교육학논총, 49, 41-56. 

  27. 이영하(2014). 인문학으로 풀어 쓴 통계교육 원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8. 이영하, 김소현(2012). 중등학교 상관관계 지도 내용 개선을 위한 가추적 실증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2(3), 371-386. 

  29. 이영하, 신수영(2011). 초?중?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단원에 나타난 표본개념에 대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1(4), 327-344. 

  30. 이영하, 심효정(2003). 확률, 통계 연구에 대한 수학교육학적 고찰 - 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2(2), 203-218. 

  31. 이영하, 이은희(2011). 중학교 3학년 수학교과서 통계단원에 나타난 요약개념 분석. 수학교육, 50(4), 489-505. 

  32. 이영하, 태성이(2009). 수학과 수학교육학의 학문학적 비교연구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9(4), 493-511. 

  33. 이은희, 김원경(2015). 국내외 통계교육 연구동향 비교 분석. 수학교육, 54(3), 241-259. 

  34. 이종학(2011a). 고등학교 확률 통계 영역에서 스프레드시트 활용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13(3), 363-384. 

  35. 이종학(2011b). 예비 교사의 통계적 추론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99-327. 

  36. 이종학(2011c). 주제탐구형 자료가 과학고 수학 영재의 문제해결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확률,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0(4), 467-487. 

  37. 이종학(2011d).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수업이 통계적 사고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이종학, 조완영(2011). 대학과목선이수제(UP) 의 통계학 표준교육과정 개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5(4), 653-679. 

  39. 장대흥, 이효정(2005).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1-10단계 확률 및 통계 단원 분석. 응용통계연구, 18(1), 229-249. 

  40. 조영달(1998). 교과 교실 수업 연구의 학문 동향과 학술 연구 발전 방향: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1), 73-111. 

  41. 조차미(2008). Fischbein 의 직관에 기초한 독립성에 관한 확률지도. 학교수학, 10(3), 319-337. 

  42. 조태경, 신미영(2006). 제곱합과 교차곱합의 특성을 이용한 표본분산과 상관계수의 계산. 수학교육, 45(3), 315-318. 

  43. 지은정(2011). 자료의 분포와 표본추출 상황에서 변이성 개념 지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최민정, 이종학, 김원경(2016). 통계적 추정을 가르치기 위한 수학적 지식의 분석. 수학교육, 55(3), 317-334. 

  45. 최병훈, 방정숙(2012).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 197-215. 

  46. 황석근, 윤정호(2011). 수학적 연결성을 고려한 연속확률분포단원의 지도방안 연구. 학교수학, 13(3), 423-445. 

  47. Ainley, J., Gould, R., & Pratt, D. (2015). Learning to reason from samples: commentary from the perspectives of task design and the emergence of "big data".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8(3), 405-412. 

  48. Batanero, C., Burrill, G., & Reading, C. (Eds.) (2011). Teaching statistics in school mathematics: Challenges f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Springer. 

  49. Ben-Zvi, D. & Garfield, J. (2010). 통계적 소양, 추론, 사고: 목표, 정의, 난제. D. Ben-Zvi & J. Garfield (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 외 9인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4년 출판). 

  50. Creswell, J. W. (2011). 연구 방법: 질적, 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 (김영숙 외 9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영어 원작은 2008년 출판). 

  51. delMas, R. C. (2010). 수학적 추론과 통계적 추론. D. Ben-Zvi & J. Garfield (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 외 9인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4년 출판). 

  52. Franklin, C. G.,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report. Alexandri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53. Gal, I. (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1-25. 

  54. Garfield, J., & Ben-Zvi, D. (2007). How students learn statistics revisited: A current review of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statistic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5(3), 372-396. 

  55. Garfield, J., delMas, R., & Zieffler, A. (2012). Developing statistical modelers and thinkers in an introductory, tertiary-level statistics course. ZDM, 44(7), 883-898. 

  56. Groth, R. E. (2008). Assessing teachers’ discourse about the Pre-K-12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GAISE).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7(1), 16-39. 

  57. Jolliffe, F. (1998). What is research in statistics education. In Statistical Education-Expanding the Network.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of Statistics (pp. 801-806). 

  58. Lloyd, G. M., Remillard, J. T., & Herbel-Eisenmann, B. A. (2009). Teachers'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n emerging field. In J. T. Remillard, B. A. Herbel-Eisenmann, & G. M. Lloyd (Eds.).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pp. 3-14). New York: Routledge. 

  59. McClain, K., Zhao, Q., Visnovska, J., & Bowen, E. (2009).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institutional contex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ext. In J. T. Remillard, B. A. Herbel-Eisenmann, & G. M. Lloyd (Eds.).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pp. 56-69). New York: Routledge. 

  60. Reaburn, R. (2014). Introductory statistics course terti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pvalues.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3(1), 53-65. 

  61. Shaughnessy, J. M. (2007). Research on statistics learning and reasoning. In F. K. Lester (Ed.), The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957-1010).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62. Vere-Jones, D. (1995). The coming of age of statistical education.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3(1), 3-23. 

  63. Zieffler, A., Garfield, J., Delmas, R. C., Le, L., Isaak, R., Bjornsdottir, A., & Park, J. (2011). Publishing in SERJ an analysis of papers from 2002-2009.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0(2), 5-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