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 생태 증진을 위해 설치된 둠벙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Constructed Small-scale Ponds for Ecological Improvement in Paddy Fields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4 no.3, 2011년, pp.253 - 263  

김재옥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신현상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유지현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이승헌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장규상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김범철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공 조성된 둠벙의 물리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둠벙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지 둠벙의 면적은 4.6~14.1 $m^2$였으며 모양은 원형과 사각형 모양이 대부분이었다. 조사 둠벙 중 가장 자리에 석축이나 목축을 두르지 않은 둠벙들은 주변 둑이 매몰되어 수심이 얕아져 둠벙의 기능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둠벙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주변에 석축이나 목축 등을 둘러 매몰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연구대상지의 수질환경은 COD, TN, TP의 경우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한 수질등급을 보였으며 특히 TN의 농도는 평균 8.03 mg $L-1$로 농업용수 수질기준을 약 8.0배를 초과하는 농도분포를 보였다. 조사지역 둠벙의 질소농도가 높은 원인으로는 홍성지역의 높은 축산 밀도, 농경지 주변 산재해 있는 축사 시설과 축산폐수를 이용한 저장 액비 사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농촌지역에서 둠벙과 같은 작은 저류지가 하천으로 유출되는 영양물질을 저감시켜 주는 소규모 침전지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대상지 둠벙의 평균적인 모래함량, 유기물 함량, 유효인산 함량은 각각 53.4${\pm}$16.6%, 21.8${\pm}$9.74 g $kg^{-1}$, 12.8${\pm}$7.59 mg $kg^{-1}$로 나타났다. 둠벙의 토양 특성 조사결과 모래함량과 유효인산 농도는 둠벙 안정화를 위한 식생정착에 적합한 농도분포였으나 신규로 조성된 5곳의 둠벙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높지 않아 식생 정착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대상지 둠벙의 어류상은 붕어, 미꾸리, 미꾸라지, 드렁허리 4종이 출현하였으며 군집구조 분석결과 군집 안정도와 다양도 지수가 불량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단순한 어류상 구조는 둠벙이 주변 하천과 고립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논과 정수지역, 농수로 등 연중 수위와 환경변화가 큰 환경에 적응한 어종들만이 서식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요인점수(Facter score)를 바탕으로 조사한 둠벙을 구분한 결과, 요인점수 1에서 양의 값을 보이는 둠벙은 다른 둠벙에 비해 둠벙의 크기가 큰 것들로 구성되었으며 (Group I), 요인점수 2에서 양의 값을 보인 Group III은 다른 둠벙에 비해 유기물 농도가 높은 둠벙들로(S5, S6) 구성되었다(Fig. 4).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농촌지역 둠벙의 복원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둠벙과 주변하천과의 연계성, 둠벙의 크기를 비롯한 구조적 특성을 잘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거론하지 못한 둠벙 용수의 유 출입량, 둠벙 수체내 먹이 연쇄 구조 등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in preliminary data for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constructed small-scale ponds in paddy fields through analysis of their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A field survey was performed at 13 small-scale ponds located in paddy fields from August 2009 to Oc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 조성된 둠벙의 가치를 보다 건전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둠벙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 등 여러가지 환경을 분석하여 둠벙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인공 조성된 둠벙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둠벙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적인 둠벙의 기능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것은? 평균 수심이 50 cm 이하인 둠벙은 둠벙 조성시 웅덩이를 파고 가장 자리에 석축이나 목축을 두르지 않은 둠벙들로서 주변 토사 유입으로 매몰되어 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둠벙의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웅덩이 주변에 석축이나 목축 등을 둘러 매몰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둠벙의 면적은 4.
인공 조성된 둠벙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한 연구에서 연구 대상지 둠벙의 어류상이 단순하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 대상지 둠벙의 어류상은 붕어, 미꾸리, 미꾸라지, 드렁허리 4종이 출현하였으며 군집구조 분석결과 군집 안정도와 다양도 지수가 불량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단순한 어류상 구조는 둠벙이 주변 하천과 고립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논과 정수지역, 농수로 등 연중 수위와 환경변화가 큰 환경에 적응한 어종들만이 서식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요인점수(Facter score)를 바탕으로 조사한 둠벙을 구분한 결과, 요인점수 1에서 양의 값을 보이는 둠벙은 다른 둠벙에 비해 둠벙의 크기가 큰 것들로 구성되었으며 (Group I), 요인점수 2에서 양의 값을 보인 Group III은 다른 둠벙에 비해 유기물 농도가 높은 둠벙들로(S5, S6) 구성되었다(Fig.
둠벙의 기능은 무엇인가? 둠벙은 원래 천수답(天水畓)에 의존하여 논 농업을 하던 시절, 용수를 임시적으로 가두어두는 물 저장고였다. 이런 둠벙은 물 저장기능뿐만 아니라 여름철 홍수 조절 기능, 논에 물이 없는 중간 낙수기나 겨울철 수서 생물의 서식처 제공 및 물에 포함된 부유물질,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수질정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dmiraal, A.N., M.J. Morris, T.C. Brooks, J.W. Olson and M.V. Miller. 1997. Illinois wetland restoration & Creation guide. p. 124-129. Natural History survey. press, Illinois. 

  2. APHA, AWWA and WPCF. 1999.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ition, New York, USA. 

  3. Bae, J.J., Y.S. Choo and S.D. Song. 2003. The patterns of inorganic cations, nitrogen and phosphorus of plants in Moojuchi Moor on Mt. Jeongjok. Korean Journal of Ecology 3: 109-114. 

  4. Cho, K.H., S.K. Park and J.H. Kim. 1994. Reactions of macrophytes on sediment and water in the littoral zone of Lake Paltangho. Korean J. Limnol 1: 56-67. 

  5. Ham, J.H., C.G. Yoon, H.C. Kim, W.S. Koo and H.B. Shin. 2005. The effect of plant coverage on the constructed wetlands performance an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Macrophyte communities. Korean J. Limnol. 3: 393-402. 

  6. Han, J.H. 2005.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ish disease. Fish Farming21 4: 78-89. 

  7. Han, M.S., H.S. Bang, M.H. Kim, K.K. Kang, M.P. Jung and D.B. Lee. 20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Scavenger Beetles (Hydropholidae) in Korea paddy field. Korea J. Environ. Agric. 4: 427-433. 

  8. Harding, J.S., D.A. Norton and A.R. McIntosh. 2007. Persistence of a significant population of rare Canterbury mudfish (Neochanna burrowsius) in ahydrologically isolated catchment. New Zea J. of Marine and Freshwater Res. 41: 309-316. 

  9. Hata, K. 2002. Perspectives for fish protection in Japanese paddy field irrigation systems. Japan Agricultural Research Quarterly (JARQ) 4: 211-218. 

  10. Hur, J.W., J.W. Park and J.G. Kim. 2010. The fish fauna and community of Chogang Stream, Korea. Korean J. Limnol. 2: 271-278. 

  11. Katano, O., K. Hosoya, K. Iguchi and Y. Aonuma. 2001. Comparison of fish fauna among three types of rice fields in the Chikuma River basin. Japan. Japan. J. Ichthyol. 1: 19-25. 

  12. Kim, H.S., S.J. Hwang and D.S. Kong. 2008. Growth kinetics of phytoplankton in shallow eutrophic reservoir.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5: 550-555. 

  13.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Sa. p. 141. 

  14. Kim, J.G. 2006.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Incheon using a multivariate analysis.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1: 1017-1025. 

  15. Kim, J.O., H.S. Shin, J.H. Yoo, S.H. Lee, K.S. Jang and B.C. Kim. 2011. Functional evaluation of Small-scale pond at paddy field as a shelter for mudfish during midsummer drainage period. Korea J. Environ. Agric. 1: 37-42. 

  16. Kim, M.A., J.K. Lee and K.D. Zoh. 2007. Evaluation of the Geum River by multivariat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1: 161-168. 

  17. K-water. 1997.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riteria, p. 18-216. 

  18. Lee, D.W. 2004. Ecological signification for landscape of tradition village, Seoul Nat. Univ. Press, Seoul. p. 23-25. 

  19. Lee, H.S., S.W. Jung, J.K. Choi and S.I. Shin. 2008. Evaluation of trophic state of a small-scale pond (Wonheung) in ecological park.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6: 741-749. 

  20. Lee, Y.S. and G.M. Sung. 2000. A study on the treatment of livestock waste water using Bacillus spp. J.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4: 239-243. 

  21. Margalef, R. 196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22. McComas, S. 2003. Lake and Pond Management. U.S.A. p. 286. 

  23. NAAS. 2000. Analysis method of soil and plant. National Inst. of Agr. Sci. & Teck. RDA, Suwon, Korea. 

  24. Oh, M.K. and J.Y. Park. 2009. Seasonal variation of skin structure in a ricefield-dwelling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Cobitidae) from Korea. Korean J. of Ichthyol. 2: 87-92. 

  25.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p. 165. 

  26. RDA. 2003. Effects of soil conservation practices at upland of hillside on soil erosion. p. 85-135. 

  27. RDA. 2008. Illustration of aquatic invertebrates in paddy fields ecosystems. p. 11-21. 

  28. Saitoh, K., O. Katano and A. Koizumi. 1988. Movement and spawning of several freshwater fishes in temporary waters around paddy fields. Japanese Jour. of Ecology 1: 35-47. 

  29.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30. Son, J.K., B.H. Kang and N.C. Kim. 2010. The analysis of water and soil environment at farm pond depression. J. Korean Env. Res. Tech. 3: 46-62. 

  31. Suzuki, M., M. Mizutani and A. Goto. 2004. Effects of connection of paddy fields, ditch and stream through smallscale fishways on fish fauna. Transactions of the Japanese Society of Irrigation, Drainage and Reclamation Engineering 6: 641-6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