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업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물리치료 기반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이 통증, 재해율, 및 근로손실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 연구
Effect of Physical Therapy Based Tailored Exercise Program on Pain, Accident incidence Rates, and Lost Days of Work in Manufacturing Worker: Single Subject Design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2 no.2, 2017년, pp.113 - 120  

이관우 (대구한의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원호 (울산과학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physical therapy-based tailored exercise program on pain, accident incidence rates, the number of work days lost, and economical loss cost for workers in an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company. METHODS: A total of 530 worker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데 근골격계 증상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자동차 부품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물리치료 기반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이 통증, 재해율, 근로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 이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은 2014년부터 2016년월까지 적용되었다. 이 연구는 사업장 담당자의 동의 하에 진행되었고, 참여한 근로자에 대해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어 진행되었다.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근로자는 2014년 23명, 2015년 68명, 그리고 2016년 93명이었다.
  • 이 연구는 자동차 부품 제조회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물리치료 기반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이 통증, 재해율, 휴무일수, 그리고 지출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그 결과 모든 측정변수들이 호전되었다.
  • 이 연구는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데 조기 관리로서 물리치료 기반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이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그 결과 신체기능(통증감소)뿐만 아니라 재해율과 비용지출 감소 및 근로소실을 의미하는 휴무일수가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 그러나 통증조절이 실제 생산성과 경제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본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를 통해 통증 감소로인해 생산성과 경제성이 향상된다는 인과관계를 단언적으로 설명할 수 없지만 통증감소와 더불어 생산성, 재해율의 상당한 관련성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이 연구는 의미가 있다.
  • A 시기에 측정변수에 대해 최소 3~5회 반복 측정해야한다(Tawney와 Gast, 1984). 이 연구에서는 이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3년간 재해율, 휴무일수, 비용에 대해 3회 반복 조사하고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골격계 질환은 무엇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가?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2조에 따르면, 근골격계 질환이란 함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상․ 하지의 신경․ 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이다(Jeong, 2010). 외국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근골격계 질환이 직업성 질환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직업성 질환 중 근골격계 질환의 통계적 수치는 어떠한가? 외국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근골격계 질환이 직업성 질환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009년도 노동부 산업재해통계에 의하면 전체 산업재해자 중 근골격계 질환자가 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업무상 질환자 중 근골격계질환자는 71.5%에 해당한다. 근골격계 문제는 무거운 물건을 들고 상지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직종의 근로자에게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Yoo 등, 2008; Jung 등, 2012; Wang 등, 2013).
근골격계 질환은주로 어디에서 나타나는가?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2조에 따르면, 근골격계 질환이란 함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상․ 하지의 신경․ 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이다(Jeong, 2010). 외국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근골격계 질환이 직업성 질환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sada F, Takano K. Physical therapy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workers: Role of physical therapists in occupational health. Nihon Eiseigaku Zasshi. 2016;71(2):111-8 

  2. Byiers BJ, Reichle J, Symonsa FJ.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for evidence-based practice. Am J Speech Lang Pathol. 2012;21(4):397-414. 

  3. Cassou B, Derriennic F, Monfort C, et al. Chronic neck, shoulder pain and working conditions: Longitudinal results from a large random sample in france. Occup Environ Med. 2002;59(8):537-44. 

  4. Gram B, Holtermann A, Bultmann U, et al. Does an exercise intervention improving aerobic capacity among construction workers also improve musculoskeletal pain, work ability, productivity, perceived physical exertion, and sick leav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Occup Environ Med. 2012;54(12):1520-6. 

  5. Jeong BY. Ergonomics' role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J Ergon Soc Kor. 2010;29(4):393-404. 

  6. Joos E, Peretz A, Beguin S, et al.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visual analogue scale and numeric rating scale for therapeutic evaluation of pain in rheumatic patients. J Rheumatol 1991;18:1269-70. 

  7. Jung DY, Koh EY, Jang JH. The correlation between musculoskeletal pain and level of work stress of prosthetists and orthotists. J Korean Soc Phys Med. 2012;7(4):515-24. 

  8. Kim HJ, Jeong WC. Symptom prevalence and primary interventio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heir related factors among manufacturing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116-28. 

  9. Kim JE, Kim YK, Kang DM. Medical management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shipbuilding industry. J Ergon Soc Kor. 2012;31(1):157-63. 

  10. Kim SH. An Ergonomic intervention of papermaking process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J Ergon Soc Kor. 2008;27(1):9-19. 

  11. Kruger K, Petermann C, Pilat C, et al. Preventive strength training improves working ergonomics during welding. Int J Occup Saf Ergon. 2015;21(2):150-7. 

  12. Lee DH, Kang B, Choi S, et al. Change in musculoskeletal pain in patients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after tailored rehabilitation education: A one-year follow-up survey. Ann Rehabil Med. 2015; 39(5):726-34. 

  13. Lee SG, Kim JE, Kim YK, et al. Risk factors for absenteeism due to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3):239-51. 

  14. Lee YM, Phee YG.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emale labor worker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ie. 2016;26(2):210-8. 

  1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dustrial accidents incidence statistics. Seoul.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0:7-14. 

  16. Monnier A, Larsson H, Djupsjobacka M, et al. Musculoskeletal pain and limitations in work ability in Swedish marines: a cross-sectional survey of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BMJ. 2015;5(10):e007943. 

  17. Punnett L, Wegman D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epidemiologic evidence and the debate. J Electromyogr Kinesiol. 2004;14(1):13-23. 

  18. Rasotto C, Bergamin M, Simonetti A, et al. Tailored exercise program reduces symptoms of upper limb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a group of metalwork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an Ther. 2015;20(1):56-62. 

  19. Sahrmann S.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St. Louis. Mosby. 2001. 

  20. Santos HG, Chiavegato LD, Valentim DP, et al. Resistance training program for fatigue management in the workplace: exercise protocol in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Public Health. 2016;16(1):1218. 

  21. Tawney JW, Gast DL. Single Subject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London. Merrill Pub Co. 1984. 

  22. Thue L, Baeck IH, Lee KW. Medical Training Therapy. Seoul. Pan Mun. 2015. 

  23. Van Eerd D, Munhall C, Irvin E, et al. Effectiveness of workplace interventions in the prevention of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symptoms: an update of the evidence. Occup Environ Med. 2016;73(1):62-70. 

  24. Verhagen AP, Bierma-Zeinstra SM, Burdorf A, et al. Conservative interventions for treating work-related complaints of the arm, neck or shoulder in adul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12):CD008742. 

  25. Wang JS, Kim NJ, Kim YY, et al. Effect of a self-stretching exercise on musculoskeletal symptom and job stress for care helpers. J Korean Soc Phys Med. 2013;8(2):183-92. 

  26. Yoo JH, Ro HL, Lee MY. The musculoskeletal pain and inconvenient feeling during hand instruments with mannequin and intra-oral cavity in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Phys Med. 2008;3(4):247-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