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공개 전담 직렬의 필요성과 업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a Series of Charges in Information Disclosure for Work Improvement: Comparing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7 no.2, 2017년, pp.1 - 26  

강주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이영학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리분야에서 갈수록 복잡한 양상을 띠는 다양한 정보공개 요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기록관리법에 의해 기록연구사가 기록관리를 하고 있으며, 동시에 정보공개를 함께 담당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정보공개 업무는 단순히 정보의 공개 비공개 결정을 떠나 기관의 업무 지식과 법률적 지식을 비롯한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록연구사는 정보공개 업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주 업무인 기록관리에도 부담을 주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본 연구는 미국 연방정부의 정보공개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정부정보전문가(Government Information Specialist)라는 정보공개 전담 직렬의 도입을 주장하는 바이며, 이에 관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의 공공기관에서 기록관리와 정보공개 업무를 병행하고 있는 실무 기록연구사를 대상으로 설문 및 심층면담을 시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measures to properly respond to the greatly increasing demands of complex information disclosure. At present, South Korea makes the deployment of records managers at public institutions mandatory through the Records Act. Records disclosure goes beyo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에 대한 권리는 어떤 것인가? 현대 민주정부에서 공공기록에 대한 정보자유의 보장과 확대는 민주정부의 근본 토대이다. 정보에 대한 권리는 한 사회의 개방성, 투명성, 설명책임성을 증진시키는 근본적인 장치이며, 민주사회에서 표현의 자유와 정보접근의 권리는 국민의 정책 참여를 보장하는 전제조건이다.
정보공개 청구건수는 2014년 당시 전년도와 대비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이하 정보공개법)이 시행된 이래 정보공개 청구건수는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14년에는 전년도 대비 11.1% 증가한 612,856건이 접수되었고, 이는 정보공개법이 최초로 시행된 1998년의 26,338건 대비 약 22배 증가한 수치이다(행정자치부, 2015b, p. 17).
정보공개제도는 무엇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인가? 이러한 국민의 정보주권을 보장하기 위한 법․제도적 장치가 바로 정보공개제도이다.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 정보는 정치, 경제, 문화, 개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정보공개제도는 민주주의의 핵심장치 중 하나로 그 의미를 더해가고 있다(행정자치부, 2015b, p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감사원 (2005). 공공기록물 보존 및 관리실태 감사결과. 서울: 감사원. 

  2. 국가기록원 (2007). 각급기관 기록관 설치.운영 지침. 대전: 국가기록원.(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7). Guide for Each institution Records center installation and management.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3. 국가기록원 (2011). 국가기록원 열람서비스 실무매뉴얼. 대전: 국가기록원.(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1). Manual fo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4. 국가기록원 (2016).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현황. 대전: 국가기록원.(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6). Records Managers Arrangement.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5. 김승태 (2009). 정보공개제도의 성과와 한계. 한국공공관리학보, 23(4), 119-147.(Kim, Seung-Tae (2009).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23(4), 119-147.) 

  6. 박진우 (2009). 정보공개법상 법령에 의한 비공개정보에 관한 고찰. 동아법학, 43, 29-56.(Park, Jin-Woo (2009). On the Study of a Closed Information by the Law in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Journal of Dong-A Law Review, 43, 29-56.) 

  7. 서혜란, 옥원호 (2008). 기록연구사의 근무실태 및 제도운영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235-255.(Suh, Hye-Ran & Ock, Won-Ho (2008). An Empirical Study concerning the Issues of Working Conditions and Operational System of Archivists in Korea.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8(1), 235-255.) 

  8. 유현경, 김수정 (2016).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7, 95-130.(Yoo, Hyeon-Gyeong & Kim, Soo-jung (2016).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Records Manager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7, 95-130.) 

  9. 윤은하 (2012).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63-179.(Youn, Eun-ha (2012). Archival Reference Service and Freedom of Information in Korea.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12(2), 163-179.) 

  10. 윤철수, 김경호 (2010). 헌법재판소의 알 권리 결정에 대한 비판적 분석. 언론과 법, 9(2), 349-386.(Yun, Cheol-Soo & Kim, Gyong-Ho (2010). An Analysis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on the Right to Know. Journal of Media Law, 9(2), 349-386.) 

  11. 이보람, 이영학 (2013). 정보공개제도에서 공개 기록정보의 제도적 신뢰성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5, 41-91.(Lee, Bo-ram & Lee, Young-hak (2013). A Study on Institutional Reliability of Open Record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5, 41-91.) 

  12. 이상민 (2013). 미국 정보자유제도와 정부기록관리 혁신: 오바마 행정부의 정부개방정책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5, 3-40.(Lee, Sang-min (2013). FOI and Government Records Management Reforms under Obama Administr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5, 3-40.) 

  13. 이영학 (2012). 참여정부 기록관리정책의 특징. 기록학연구, 33, 113-153.(Lee, Young-Hak (2012).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s Management Policy during Participation Government (2003-2008).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3, 113-153.) 

  14. 이창주 (2013). 미국에서의 국가안전보장 관련 정보 공개제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법학과.(Lee, Chang-Joo (2013). A study on the limitation on disclosure of the National Security Information in U.S.A. Doctor degree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Department of Law.) 

  15. 이해영 (2012). 기록관의 정보서비스 현황 조사 및 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177-201.(Rieh, Hae-Young (2012).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Information Services in Records and Archives Centers.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12(3), 177-201.) 

  16. 임진희, 이준기 (2010). 정보공개에 대응한 공무원의 업무정보 제공행동 연구. 기록학연구, 23, 179-225.(Yim, Jin-Hee & Lee, Zoon-Ky (2010).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oviding behavior of public servants 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Disclosur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3, 179-225.) 

  17. 전슬비, 강순애 (2016). 중앙행정기관의 정보공개제도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61-88.(Jeon, Seul-Bi & Kang, Soon-Ae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16(1), 61-88.) 

  18. 정진임, 김유승 (2014). 정부3.0 시대, 정보공개시스템의 개선 과제. 기록학연구, 39, 45-72.(Jung, Zin-Im & Kim, You-Seung (2014). Government 3.0 Era, Issues on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9, 45-72.) 

  19. 정하영, 강순애 (2013). 서울특별시 자치구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57-85.(Jung, Ha-Young & Kang, Soon-Ae (2013). A Study o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of Records Manager Affiliated Autonomous District in Seoul.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13(2), 57-85.) 

  20. 한국.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5). 참여정부의 기록관리혁신. 서울: 청와대.(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2005). Inspection result on Public Archives Preservation and Management condition. Seoul: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21. 한국. 행정자치부 (2013). 정부3.0 추진 기본 계획서. 서울: 행정자치부.(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2013). Project Plan of Government 3.0. Seoul: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22. 한국. 행정자치부 (2015a). 2014 정부3.0 백서. 서울: 행정자치부.(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2015a). White Paper of 2014 Government 3.0. Seoul: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23. 한국. 행정자치부 (2015b). 2014년도 정보공개 연차보고서. 서울: 행정자치부.(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2015b). 2014 Freedom of Information Annual Report. Seoul: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24.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25.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26. 김소영 (2016. 5. 24). "서울시 행정정보 500만건 '깃허브'에 공개." KBS. 검색일자: 2016. 5. 26.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83967(Kim, So-young (2016. 5. 24). "Seoul open the five million cases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to GitHub." KBS. Retrieved May 26, from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83967) 

  27. 부산광역시교육청 자료실(관계부처 합동) (2014). 2014년도 정부3.0 추진계획. 검색일자: 2016. 4. 12. https://www.pen.go.kr/www3/bbs/board.knf?boidb140217102950&wid19(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014). 2014 Project Plan of Government 3.0. Retrieved April 12, from https://www.pen.go.kr/www3/bbs/board.knf?boidb140217102950&wid19) 

  28. 서울시 정보공개정책과 (2015). 2015 정보공개 사례집. 검색일자: 2016. 5. 20. https://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casebook-disclosueOfInformation.pdf(Seoul Information Communication Plaza Our Services (2015). 2015 Information Disclosures Casebook. Retrieved May 20, 2016, from https://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casebook-disclosueOfInformation.pdf) 

  29. 참여연대 (2003. 9. 3). "공공기관 국가기록물 무차별 폐기." 참여연대. 검색일자: 2016. 4. 12. http://www.peoplepower21.org/Government/551069(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2003. 9. 3). "Public Institution records Indiscriminate disposal."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Retrieved April 12, from http://www.peoplepower21.org/Government/551069) 

  30. 참여연대.세계일보 (2004. 5. 31). "기록이 없는 나라." 참여연대. 검색일자: 2016. 4. 12 http://www.peoplepower21.org/Government/551516(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 The Segye Times (2004. 5. 31). "A country without record."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Retrieved April 12, from http://www.peoplepower21.org/Government/551516) 

  31. American Jobs. Retrieved May 20, 2016, from http://www.americanjobs.com/ 

  32. Freedom of Information Act. Retrieved April 20, 2016, from http://foia.gov 

  33. The National Archives Records Express (2012). OPM Releases Position Classification. Retrieved May 10, 2016, from http://records-express.blogs.archives.gov 

  34. The United States Code. Retrieved May 11, 2016, from www.uscode.house.gov 

  35.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2012). OPM Established a New Occupational Series for FOIA and Privavy Act Professionals. Retrieved May 10, 2016, from www.justice.gov 

  36. The United States Government's Open Data. Retrieved May 10, 2016, from www.data.gov 

  37. The United States Office Personnel Management (2012). Position Classification Flysheet for Government Information Series, 0306. Retrieved May 11, 2016, from https://www.opm.gov/policy-data-oversight/classification-qualifications/classifying-general-schedule-positions/standards/0300/gs0306.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