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Why Again Record Management Innovation? : Toward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Governance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55, 2018년, pp.165 - 208  

김익한 (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에서는 2017년 새 정부가 들어선 지금 이 시점에 왜 다시 기록관리혁신을 말하는가에 대해 밝히고 혁신의 방향과 전략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지금의 혁신은 참여정부 때의 혁신 정신을 잇되, 내재적 비판을 전제로 하여 그 방법과 내용을 새로이 해야 한다. 이 글은 혁신의 기본 방향을 "모두와 함께 하는 기록관리"로 설정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민주적 지향을 갖되, 현장의 주체들을 위해, 현장에 있는 모든 이들이 함께 혁신을 진행하자는 것이다. 정부 공공기관은 물론 시민과 기업들 모두가 기록관리의 현장에서 그 과정에 참여하고 성과를 공유하는 주체들이다. 민주주의의 현장도, 역사의 현장도, 그리고 기술혁신을 거듭해가는 세계의 흐름도 모두 중요한 기록관리의 현장들이다. 이 글은 이들 6개의 현장에서 지금 바로 진행해야 할 12개의 전략과제와 35개의 세부과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최신 기술을 충분히 활용하고, 각 현장의 주체들과 소통하며, 모든 의사결정을 협치에 의해 내리는 방법적 혁신을 동반한 기록관리 혁신의 진행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will address why records management innovation needs to be considered and sought again in 2017 when Korea's new government was inaugurated, and it suggests the direction and strategies of the innovation. Now is time to inherit the innovative spirit of Roh's Participatory Government base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관리가 업무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기록관리가 업무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시스템들 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조치와 기능·주제 시소러스와 같은 도구를 개발하는 일이 함께 진행될 필요가 있다(이해영 외 2014; 박지영 외 2017). 기능·주제 시소러스는 단지 키워드의 상관성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공무원들의 정보 요구를 충분히 조사 반영하여 개발해야 한다.
이지원시스템의 기능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서는 기록 생산의 방식과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개선이 이뤄 져야 한다. 참여정부 시절 이지원시스템을 개발할 때 업무 구상, 일정계획, 업무 프로세스의 정의, 개별 업무의 결재와 기록화, 업무의 평가 등을 체계 적으로 통합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모두를 자동적으로 기록으로 생산·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을 설계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공공기관이 사용하고 있는 온나라시스템에는 이지원시스템의 그런 구상들이 온전히 포함 되지 못했고, 또 10년 이상 세월이 지난 지금으로서는 그 기능적 한계가 명백한 실정이다.
내재적 비판을 전제로 하면서 노 전대통령이 그렸던 기록관리 혁신을 지속하려면 top-down이 아닌 bottom-up 방식에 대한 고민과 실행, 인본주의적 가치를 우선하는 혁신의 방향성을 명확히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내재적 비판을 전제로 하면서 노 전대통령이 그렸던 기록관리 혁신을 지속하려면 top-down이 아닌 bottom-up 방식에 대한 고민과 실행, 인본주의적 가치를 우선하는 혁신의 방향성을 명확히 해야 한다. 이렇게 할 때 비로소 기록 관리 혁신은 민주적 지향을 유지하며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밑으로부터의 개혁 방식을 취할 수 있으리라 보기 때문이다. 참여정부의 기록관리 혁신은 민주적 지향은 뛰어났지만 공무원들을 적으로 돌린 위로부터의 개혁이기도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8)

  1. 강동균, 이해영. 2016. 기록경영시스템(MSR) 적용에 대비한 공공기관 기록관리 제도의 개선 방향.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4), 121-148. 

  2. 강주현, 이영학. 2017. 정보공개 전담 직렬의 필요성과 업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2), 1-26. 

  3. 곽정. 2006. 행정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모델 분석. 기록학연구, 14, 153-190. 

  4. 곽정. 2016. 전자기록의 진본성 확보를 위한 공공기록관리 개선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5. 곽건홍. 2009. 자율과 분권, 연대를 기반으로 한 국가기록관리 체제 구상. 기록학연구, 22, 3-35. 

  6. 곽건홍. 2012. 동아시아 기록공동체 형성 방안. 기록학연구, 32, 219-236. 

  7. 곽건홍. 2014. 국가기록원 개혁 방향. 기록학연구, 40, 3-27. 

  8. 곽건홍. 2017. '해체와 재구성': 차기 정부의 역사: 기록 분야 조직 개혁 방향. 기록학연구, 52, 39-59. 

  9. 김동춘, 김찬호, 정태인, 조국, 손아람. 2016. 입에 풀칠도 못하게 하는 이들에게 고함. 서울: 북콤마. 

  10. 김명훈. 2014. 기억과 기록. 기록학연구, 42, 3-35. 

  11. 김성겸. 2007. 전자문서 정보패키지 구축 사례 연구. 기록학연구, 16, 97-146. 

  12. 김유승. 2013. 대통령기록의 보호와 공개를 둘러싼 쟁점과 제도적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7-30. 

  13. 김유승. 2014. 기록으로의 공공데이터 관리를 위한 제도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1), 53-73. 

  14. 김유승, 최정민. 2015. 정보공개제도상의 정보부존재에 관한 고찰 :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6, 153-187. 

  15. 김익한. 2006. 전자기록의 진본 평가 시스템 모형 연구. 기록학연구, 14, 91-117. 

  16. 김익한. 2007. 기록학의 도입과 기록관리혁신(1999년 이후). 기록학연구, 15, 67-93. 

  17. 김익한. 2009. 기록관리법 10년, 다시 한 번의 도약을 위한 제언. 기록학연구, 21, 413-429. 

  18. 김익한. 2014.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문제와 대통령 기록물 관리. 역사비평, 106, 263-286. 

  19. 김익한. 2015. 서울 현대사 기록물의 범위와 유형. 향토서울, 89, 91-119. 

  20. 김효선, 김지현. 2014.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인증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조사. 기록학연구, 42, 73-134. 

  21. 류가현, 김희섭. 2012. ISO 30300 원리와 ISO 30301 요구사항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95-115. 

  22. 류한조, 김익한. 2009. 기록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221-248. 

  23. 박민영. 2013. 표준기록관리시스템 기능 평가: 접근관리 기능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8, 3-35. 

  24. 박옥남, 박희진. 2016. 전자기록관리에 대한 국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89-120. 

  25. 박용기, 정연경. 2016. 공기업 기록경영 도입을 위한 구성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1-28. 

  26. 박종연. 2013.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인수기능 평가: 연계인수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7, 239-271. 

  27. 박지애, 임진희. 2015. 디지털기록유산 평가.수집 모형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44, 51-99. 

  28. 박지영, 윤소영, 이혜원. 2017. 기록시소러스 구축지침 개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1), 117-141. 

  29. 박태연, 신동희. 2016.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평가.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121-150. 

  30. 서혜란, 서은경, 이소연. 2003. 전자기록의 진본성 유지를 위한 전략. 정보관리학회지, 20(2), 241-262. 

  31. 서혜란, 옥원호. 2008. 기록연구사의 근무실태 및 제도운영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235-255. 

  32. 설문원. 2012a. 로컬리티 기록콘텐츠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317-342. 

  33. 설문원. 2012b.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 

  34. 설문원. 2013.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231-254. 

  35. 설문원. 2015. 기업 소송에 대비한 정보거버넌스의 구축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325-354. 

  36. 설문원. 2017. 국가기록관리기구의 권한과 권위, 그리고 분권화. 국가 기록관리 기구 독립성 확보를 위한 토론회 자료집. 

  37. 설문원, 김영. 2016.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평가론의 재조명. 기록학연구, 48, 210-252. 

  38. 설문원, 이해인. 2016. 전자증거개시상의 위험에 대응한 기업기록정보관리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4), 7-30. 

  39. 설문원, 천권주. 2005. 전자기록철의 구조와 관리방안 - 영국 ERMS 표준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49-72. 

  40. 설문원, 최이랑, 김슬기. 2014. 오픈소스를 활용한 사건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7-36. 

  41. 손동유, 이경준. 2013.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기록학연구, 35, 161-206. 

  42. 송병호. 2005. 진본성 확보를 위한 전자기록물 관리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43-59. 

  43. 송병호. 2011. 공인전자문서보관소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유형 확대방안. 기록학연구, 30, 175-204. 

  44. 송정숙, 허정숙, 이예린. 2014. 오픈소스를 이용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27-151. 

  45. 신동희, 김유승. 2016.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기록과 기억의 이론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41-59. 

  46. 신종화. 1999. 행정서비스 품질에 관한 고객욕구조사 : 컨조인트분석을 사용해서. 한국행정학보, 33(1), 35-46. 

  47. 심상렬. 2004. 전자무역부문 공인전자문서보관소의 활용 연구. e-비즈니스연구, 5(1), 113-142. 

  48. 심성보. 2007.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기록학연구, 6, 201-256. 

  49. 안대진, 이해영. 2013. 지방자치단체 데이터세트2의 서비스 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149-178. 

  50. 안대진, 임진희. 2016.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공개 소프트웨어 활용방안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3(3), 345-370. 

  51. 안대진, 임진희. 2017. 기록시스템의 오픈소스화 전략 연구. 기록학연구, 52, 121-173. 

  52. 안병우. 2015. 세월호 사건 기록화의 과정과 의의. 기록학연구, 44, 217-241. 

  53. 안병우, 이상민, 심성보, 남경호, 김진성, 오동석, 정태영. 2012. 한국 공공기록관리의 쟁점과 전망. 기록학연구, 34, 3-28. 

  54. 오세라, 정미리, 임진희. 2016. 공개포맷에 기반한 전자기록 보존 포맷 재설계 방향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4), 79-120. 

  55. 오수길, 이춘열, 권명애, 조충철, 이은주, 이용환. 2017. 주민자치와 로컬 거버넌스 사례연구. 수원: 경기연구원. 

  56. 왕호성, 설문원. 2017.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3), 23-47. 

  57. 유준상, 임진희. 2016. 기업의 전자증거개시 대응을 위한 예측 부호화(Predictive Coding)도구 적용 방안. 정보관리학회지, 33(3), 125-157. 

  58. 유현경, 김수정. 2016.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7, 95-130. 

  59.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60. 윤은하, 김수정. 2015. 기록연구사의 정보공개청구업무 및 업무 환경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1), 7-28. 

  61. 이경남. 2013. 표준 기록관리시스템 검색 기능 평가. 기록학연구, 37, 273-305. 

  62. 이경남. 2016.'외부전자기록물저장시설'로서 공인전자문서센터의 업무 분석. 기록학연구, 47, 227-254. 

  63. 이경래. 2013. 북미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논의와 비판적 독해. 기록학연구, 38, 225-264. 

  64. 이경래. 2015.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모델 연구. 기록학연구, 45, 51-82. 

  65. 이미영. 2007. 기록관리기준 조사 및 작성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15, 185-218. 

  66. 이보람. 2013. 표준기록관리시스템 평가.폐기 기능 평가. 기록학연구, 38, 37-73. 

  67. 이보람, 황진현, 박민영, 김형희, 최동운, 최윤진, 임진희. 2014. 공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록시스템 구축가능성 연구. 기록학연구, 39, 193-228. 

  68. 이상백, 채수성, 이규철. 2015.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를 위한 무결성, 진본성 보장 방안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03. 

  69. 이상민. 2013. 미국 정보자유제도와 정부기록관리 혁신. 기록학연구, 35, 3-40. 

  70. 이세진, 김화경. 2016. BRM 정비를 통한 기록관리기준표 개선사례: 서울시 BRM 및 기록관리기준표 정비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0, 273-309. 

  71. 이소연. 2009. 전자기록 관리의 현황과 과제. 기록학연구, 21, 355-383. 

  72. 이소연. 2013. 국내 디지털 보존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247-283. 

  73. 이소연. 2015a.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활용현황 연구. 기록학연구, 43, 71-102. 

  74. 이소연. 2015b.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개선전략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1), 29-52. 

  75. 이승억. 2006. 공공기록에 대한 '거시평가(Macroappraisal)' 적용 시론. 기록학연구, 14, 119-152. 

  76. 이승억. 2014. 동시대의 기록화를 지향한 보존기록 평가선별에 관한 제언. 기록학연구, 42, 185-211. 

  77. 이승억. 2015. 전자기록 관리 정책 전환을 위한 재검토; 보존포맷.보존매체.관리체계를 중심으로. 기록인, 32, 22-29. 

  78. 이승억, 설문원. 2017.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2, 5-37. 

  79. 이신영, 이재모. 2009. 노인 취업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노인생활실태 및 욕구조사를 중심으로. 복지행정논총, 19(2), 105-128. 

  80. 이영남. 2012.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3-42. 

  81. 이영학. 2012a. 참여정부 기록관리정책의 특징. 기록학연구, 33, 113-153. 

  82. 이영학. 2012b. 한국 기록관리의 사적 고찰과 그 특징. 기록학연구, 34, 221-250. 

  83. 우지원, 이영학. 2011. 과거사 관련 위원회 기록정보콘텐츠 구축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67-92. 

  84. 이윤주, 이소연. 2009. 진본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을 위한 정책프레임워크. 기록학연구, 19, 193-249. 

  85. 이은영. 2011.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개발 절차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9, 129-173. 

  86. 이정환. 2017.8.24. 성실히 기록 남긴 노무현의 죽음, 국가기록원은 이명박의 도구였다: [인터뷰2] 이소연 한국기록학회 회장 그리고 국가기록원의 반론. 오마이뉴스, 검색일자 2018. 1. 1.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53477 

  87. 이해영, 권용찬, 성효주, 유병후. 2014. 공공기록에 대한 접근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대통령기록관 주제시소러스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27-151. 

  88. 이혜원. 2016. 역사콘텐츠 활용을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프레임워크 제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235-256. 

  89. 임지훈, 김은총, 방기영, 이유진, 김용. 2014.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전자기록관리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53-179. 

  90. 임지훈, 오효정, 김수정. 2017.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기록학연구, 51, 175-208. 

  91. 임진희. 2006.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을 위한 보존정보패키지(AIP) 구성과 구조. 기록학연구, 13, 41-90. 

  92. 임진희, 이준기. 2010. 정보공개에 대응한 공무원의 업무정보 제공행동 연구. 기록학연구, 23, 179-225. 

  93. 임진희, 조은희. 2010a.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 이관 시 데이터 보정 및 품질 개선방법 연구. 기록학연구, 25, 91-129. 

  94. 임진희, 조은희. 2010b. 데이터세트 기록의 이관도구 기능요건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 논문집, 155-162. 

  95. 임진희, 최주호, 이재영. 2014. 전자기록 에뮬레이션 서비스 개발사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55-82. 

  96. 전수진. 2008. 보존기록관리기관의 온라인 콘텐츠 유형과 특징.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127-152. 

  97. 전슬비, 강순애. 2016. 중앙행정기관의 정보공개제도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61-88. 

  98. 전진한. 2016. 대통령의 기록전쟁. 서울: 한티재. 

  99. 정기애. 2010. 기록경영시스템(MSR) 표준 제정에 대비한 기록관리의 발전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2), 171-192. 

  100. 정미리, 임진희. 2016. 기업의 증거기반 설명책임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8, 45-92 

  101. 정상희. 2013.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기준관리' 기능 및 이용자 평가, 기록학연구, 37, 189-237. 

  102. 정진임, 김유승. 2014. 정부3.0 시대, 정보공개시스템의 개선 과제. 기록학연구, 39, 45-72. 

  103. 정하영, 강순애. 2013. 서울특별시 자치구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57-85. 

  104. 조민지, 이영남. 2017. 민주주의 관점으로 본 국가기록관리체계 평가와 전망. 기록학연구, 53, 5-43. 

  105. 조영삼. 2009. 기록정보공개 제도 개선 추진 현황과 방안. 기록학연구, 22, 77-114. 

  106. 조영삼. 2012. 국가기록관리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 역사비평, 100, 273-298. 

  107. 조영삼. 2016. 공동체아카이브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관의 역할.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15-121. 

  108. 조은희, 임진희. 2009.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선별 기준 및 절차 연구. 기록학연구, 19, 251-291. 

  109. 최재희. 2013. 영국의 마이너리티 역사교육과 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 확대 연구. 기록학연구, 36, 121-152. 

  110. 최정민. 2014. 중앙기관과 지방기관의 정보공개심의회 운영과 정보공개 비교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83-103. 

  111. 최정민. 2015. 중앙행정기관의 정보공개청구에 대한 대응성 분석. 기록학연구, 45, 155-188. 

  112. 최정민, 김유승. 2013. 국내 정보공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73-197 

  113. 황진현. 2013. 공공기관의 생산현황 통보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7, 145-188. 

  114. 현문수. 2005.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103-124. 

  115. 현문수, 김동철. 2013. 지역사 인물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 : 박기종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6, 195-231. 

  116. 한국기록학회 외. 2017. 국가토론회 자료집(박근혜정부의 기록관리.정보공개를 평가한다). 

  117. 菅?城. 2009. ポスト年史編纂でない大?ア?カイブズの設立; 大阪大?文書館スタ?トのために. 記?と史料, 19, 35-47. 

  118. 吉國弘之. 2017. 社史.年史編纂に?わる分類試論. ?文??究資料館紀要, 13, 169-18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