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자녀돌봄 유형과 조모의 건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and the Health of Middle and Old-aged Women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9 no.1, 2017년, pp.59 - 77  

김혜진 (University of Kansas)

초록

본 연구는 종단적 시각에서 손자녀 돌봄 유형과 중 고령층 여성의 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여성노인의 노후생활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2차년도 자료부터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손자녀 돌봄 유형을 돌봄지속, 돌봄전이, 돌봄중단, 미돌봄으로 구분하고 이 유형들이 50대 이상 중 고령층 여성의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손자녀를 돌보지 않는 여성에 비해 손자녀를 돌보다가 중단한 여성일수록 좋은 신체건강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손자녀 돌봄 경험은 여성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손자녀 돌봄 유형이 중 고령층에 있는 여성의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손자녀 돌봄을 제공하는 여성노인의 건강한 노후생활을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 및 제고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Korean women in later lif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and the health of women who aged above 50 years old. Focusing on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providing care of grandchildren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손자녀돌봄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살펴 본 선행연구들은 삶의 만족도, 우울 등의 항목을 이용하여 손자녀돌봄이 조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백경흔(2009)은 주40시간 이상 및 연간 48주 이상의 고강도의 손자녀돌봄을 제공한 여성의 경우 저강도의 손자녀돌봄을 제공하거나 손자녀를 돌보지 않은 여성에 비해 우울증을 경험하는 확률이 높다고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누적적 이익/불이익 이론과 손자녀 돌봄에 관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손자녀 돌봄과 조모의 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시간이 흐름에 따른 돌봄상태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돌봄유형을 미돌봄, 지속돌봄, 돌봄전이, 돌봄중단으로 구분하고, 손자녀를 돌본 경험이 없는 조모에 비해 돌봄경험이 있는 조모가 건강수준이 낮을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우리사회에서 손자녀 돌봄은 중·고령층 여성의 역할 중 하나로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활동이나(정순둘 외 2015; Jun, 2015) 종단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건강상태를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누적적 이익/불이익의 이론을 적용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손자녀 돌봄유형에 따라 여성의 건강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누적적 이익/불이익 이론을 토대로 손자녀돌봄이 한국의 중·고령층의 여성의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이런 본 연구의 결과는 주로 손자녀 돌봄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여성의 노후 생활을 이해하는데 있어, 손자녀돌봄 제공뿐만 아니라 지속유형에 따라 두 요인간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한 것에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누적적 이익/불이익 이론을 본 연구에 적용해 봄으로써, 이 이론이 노년기에 있는 한국 여성의 건강상태 등 노후생활을 이해하는데 적용이 가능한지 알아보았다. 손자녀를 돌본 경험이 있는 여성이 좋은 건강상태를 유지함을 보여주는 본 연구 결과는 누적적 이익/불이익 이론이 손자녀 돌봄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며 이는 돌봄에 관한 후속 연구에 이론적 배경의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또한 손자녀돌봄 경험유무에 따라 인구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먼저 t-test 결과 손자녀 돌본 경험이 있는 여성이 돌본 경험이 없는 여성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나이가 어리고 소득수준이 높았다(p < .
  •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2차년도(2007) 자료부터 5차년도(2013) 자료를 이용하여 손자녀돌봄이 50대 이상 중·고령층 조모의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손자녀돌봄과 조부모의 건강과의 관계를 누적적 이익/불이익 이론(cumul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eory)을 적용하여 이해해보고자 한다. 개인의 생애주기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는 학자들은 누적적 이익/불이익 이론을 이용하여, 가족내에서의 비공식적 돌봄 역할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Crystal and Shea, 2002; DiPrete and Eirich, 2006; Wakabayashi and Donato, 2006).
  • 본 연구에서는 50대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종단적인 시각에서 손자녀돌봄 유형에 따라 여성의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며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절에서는 손자녀돌봄과 조모의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인 점을 감안하여, 조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들을 포함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조부모의 건강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을 중심으로 손자녀 돌봄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있는데 백경흔(2009)은 손자녀 돌봄은 고강도의 육체적 노동을 수반하고 양육방식의 차이에 따른 성인자녀와의 갈등이나 사회활동의 제한으로 인한 우울증을 유발하는 등 조부모의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하였다.
  • 또한 독립변수의 종단적 효과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들은 종속변수의 사전변수를 모델에 포함시킴으로써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독립적인 효과를 파악하고 있다(전혜정 외, 2013; 정순돌 외, 2015; Wakabayshi and Donato, 2006).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도 종속변수의 사전점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손자녀돌봄 유형이 조모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조모의 인구학적 특성 이외에도 국민노후보장패널 4차년도에서 조사된 조모의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후보장패널 2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 조사된 손자녀 돌봄유형이 노후보장패널 5차년도에 조사된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도 종속변수의 사전점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손자녀돌봄 유형이 조모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조모의 인구학적 특성 이외에도 국민노후보장패널 4차년도에서 조사된 조모의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후보장패널 2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 조사된 손자녀 돌봄유형이 노후보장패널 5차년도에 조사된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누적적 이익/불이익 이론과 손자녀 돌봄에 관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손자녀 돌봄과 조모의 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시간이 흐름에 따른 돌봄상태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돌봄유형을 미돌봄, 지속돌봄, 돌봄전이, 돌봄중단으로 구분하고, 손자녀를 돌본 경험이 없는 조모에 비해 돌봄경험이 있는 조모가 건강수준이 낮을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노령사회 진입 속도는 ? 한국은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빠르게 노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Yang et al., 2010).
2013년 한국의 노인인구의 기대수명은 ? , 2010). 2013년도에 발표된 OECD 자료에 따르면 한국 남성노인들의 기대수명은 약 82세, 여성노인들의 기대수명은 약 87세이다(OECD, 2013). 통계청(2015) 자료에서도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전체인구의 약 13%를 차지하고 있으며, 2060년에는 4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돌봄지속집단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한 원인은 ? 둘째, 노후보장패널 2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 손자녀를 지속적으로 돌본다고 응답한 여성의 비율이 적었으며, 이런 적은 표본크기는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NOVA에서 범주형 변수의 차이를 검증할 때에 필요한 최소 표본크기가 5개 이상이고 ANOVA와 회귀분석의 과정이 비슷한 점을 고려해볼 때(최은희, 2015; Alkharusi, 2012), 돌봄지속집단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한 원인이 적은 표본 수에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집단의 적은 표본 수는 그 집단이 대표성을 갖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바(김혜진, 2016), 향후 손자녀 지속돌봄 집단의 사례수를 확보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김교성.유재남, 2012. "노년기 삶의 만족도와 소득 궤적에 관한 종단연구", 노인복지연구, 58(단일호): 163-187. 

  2. 김문정, 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양육부담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7(6): 914-923. 

  3. 김미령, 2014, "손자녀돌봄이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6(1): 178-204. 

  4. 김미령, 2015, "중.고령자의 노후연령인지 및 차이연령 영향 연구:여성과 남성의 비교", 한국사회복지 조사연구, 44: 53-78. 

  5. 김영근, 2008, "노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대구광역시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6(3): 99-110. 

  6. 김정연.이석구.이성국, 2010,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30: 471-484. 

  7. 김혜진, 2016, "손자녀 돌봄과 중, 고령자의 주관적 노후인식에 관한 연구: 여성과 남성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2): 299-320. 

  8. 민기채. 2010, "조손가족 조부모의 소득구성원과 총소득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30: 323-341. 

  9. 박상규, 2006,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785-796. 

  10. 박선권. 2012. "사회노년학 이론의 갈래, 추세, 정책적 함의",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2(단일호): 73-101. 

  11. 박순미, 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3(단일호): 291-318. 

  12. 백경흔, 2009, "손자녀 돌봄 경험이 여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 10(2): 87-112. 

  13. 보건복지부, 2015,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보건복지부. 

  14. 양혜경, 2016,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1-23. 

  15. 이재림, 2013, "손자녀 양육지원에 따른 조모와 취업모의 관계 경험-세대 간 지원제공 및 수혜의 의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1-24. 

  16. 임안나.박영숙, 2015,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가 노년기 시작연령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29(3): 349-364. 

  17. 전혜정.조규영.박민경.한세황, 2013, "손자녀 양육자로의 전이가 조부모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3(3): 515-536. 

  18. 정순둘.박애리.기지혜, 2015,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사연구, 16(3): 45-73. 

  19. 정주원.송현주, 2012, "60대 중고령자들의 주관적 노후인식과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7(단일호): 333-355. 

  20. 진지혜.안정신, 2012, "유아의 기질과 조부모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조부모와 손자녀 친밀감의 중재 효과", 한국노년학, 32(4): 1025-1039. 

  21. 최은희, 2015, "기본간호학회지 게재 논문의 통계학적 방법 유형과 오류",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4). 

  22. 최인희.김영란.염지혜, 2012, 100세 시대 대비 여성노인의 가족돌봄과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3. 최해경, 2006, "조손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 실태와 조부모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9(2): 115-142. 

  24. 통계청(2015). 2015 고령자통계, 서울:통계청. 

  25. 하석철.홍경준. 2014.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이 성인 자녀와의 호혜적 관계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돌봄 지속 유형에 따른 경제적 지원 기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1(3): 51-77. 

  26. Alkharusi, H., 2012, "Categorical variables in regression analysis: a comparison of dummy and effect co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4(2): 202-210. 

  27. Allison, P. D., Long, J. S., and Krauze, T. K., 1982, "Cumulative advantage and inequality in scie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5): 615-625. 

  28. Baker, L. A., Cahalin, L. P., Gerst, K., and Burr, J. A., 2005, "Productive activitie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The influence of number of activities and time commitment", Social Indicators Research, 73(3): 431-458. 

  29. Baker, L. A., and Silverstein, M. 2008. "Preventive health behaviors among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3(5): S304-S311. 

  30. Baker, L. A., Silverstein, M., and Putney, N. M. 2008.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Changing family forms, stagnant social policies", Journal of societal & social policy, 7: 53-69. 

  31. Bakk, L., 2012, Gender and racial disparities in cost-related medication nonadherence: the effect of Medicare Part D and factors impacting compliance among older women and Black Americans,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32. Bullock, K., 2004, "The changing role of grandparents in rural families: The results of an exploratory study in southeastern North Carolina Families in Society", The Journal of Contemporary Social Services, 85(1): 45-54. 

  33. Chen, F., Liu, G., and Mair, C. A. 2011. "Intergenerational ties in context: Grandparents caring for grandchildren in China", Social Forces, 90(2): 571-594. 

  34. Chin, M., Lee, J., Lee, S., Son, S., and Sung, M., 2012, "Family policy in South Korea: Development,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1(1): 53-64. 

  35. Crystal, S., and Shea, D. G., 2002, "Introduction cumulative advantage, public policy, and late-life inequality",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2(1): 1-13. 

  36. DiPrete, T. A., and Eirich, G. M., 2006, "Cumulative advantage as a mechanism for inequality: A review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developments", Annual review of sociology, 32: 271-297. 

  37. Dupre, M. E. 2008. Educational differences in health risks and illness over the life course: A test of cumulative disadvantage theory. Social Science Research, 37(4): 1253-1266. 

  38. Ferraro, K. F., and Kelley-Moore, J. A., 2003, "Cumulative disadvantage and health: long-term consequences of obes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8(5): 707-729. 

  39. Fuller-Thomson, E., and Minkler, M., 2000, "Articles-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Grandmothers Who Are Raising Their Grandchildren",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ging, 6(4): 311-324. 

  40. Giarrusso, R., Feng, D., Wang, Q.-W., and Silverstein, M., 1996, "Parenting and co-parenting of grandchildren: effects on grandparents' well-being and family solida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Policy, 16(12): 124-154. 

  41. Hayslip, B., and Kaminski, P. L. 2005.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uggestions for practice", The Gerontologist, 45(2): 262-269 

  42. Hughes, M. E., Waite, L. J., LaPierre, T. A., and Luo, Y., 2007, "All in the family: The impact of caring for grandchildren on grandparents' health",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2(2): S108-S119. 

  43. Jun, H. J., 2015, "Educational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Functioning of Grandmothers Caring for Grandchildren in South Korea", Research on aging, 37(5): 500-523. 

  44. Kim, E. H.W., and Cook, P. J., 2011, "The continuing importance of children in relieving elder poverty: Evidence from Korea", Ageing & Society, 31(6): 953-976. 

  45. Lee, J., 2009, Motivations for providing and utilizing grandmaternal childcare for employed mothers in South Korea.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46. Lee, J., and Bauer, J. W., 2010, "Profiles of grandmothers providing child care to their grandchildren in South Korea",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41(3): 455-475. 

  47. Little, R., and Rubin, D., 1987, Statistical analysis with missing data. New York: Wiley. 

  48. Maehara, T., and Takemura, A. 2007. "The norms of filial piety and grandmother roles as perceived by grandmothers and their grandchildren in Japan and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1(6): 585-593. 

  49. Merton, R. K., 1968, "The Matthew effect in science", Science, 159(3810): 56-63. 

  50. Minkler, M., Fuller-Thomson, E., Miller, D., and Driver, D. 1997. "Depress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rchives of Family Medicine, 6(5): 445-452. 

  51. Minkler, M., and Roe, K. M., 1993, Grandmothers as caregivers: Raising children of the crack cocaine epidemic. Sage Publications, Inc. 

  52. Moen, P., Robison, J., and Dempster-McClain, D. 1995. "Caregiving and women's well-being: A life course approac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6(3): 259-273. 

  53. Musil, C. M., Jeanblanc, A. B., Burant, C. J., Zauszniewski, J. A., and Warner, C. B., 2013, "Longitudinal analysis of resourcefulness, family strain, and depressive symptoms in grandmother caregivers", Nursing outlook, 61(4): 225-234. 

  54. OECD, 2013,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at age 65", in Health at a Glance, 2013: OECD Indicators, OECD Publishing, Paris. http://www.oecd-ilibrary.org/social-issues-migration-health/life-expectancy-at-birth-females_20758480-table6. 

  55. O'Rand, A. M., 2002, "Cumulative advantage theory in life course research",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2: 14-30. 

  56. O'Rand, A. M., and Landerman, R. 1984. "Women's and Men's Retirement Income Status Early Family Role Effects", Research on Aging, 6(1): 25-44. 

  57. Park, K. S., Phua, V., McNally, J., and Sun, R., 2005, "Diversity and structure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Elderly parent-adult child relations in Korea",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20(4): 285-305. 

  58. Pearlin, L. I. 1989. "The sociological study of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0(3): 241-256. 

  59. Thomas, G., 1997, "What's the use of theory?", Harvard Educational Review, 67(1): 75-104. doi:10.17763/haer.67.1.1x807532771w5u48 

  60. Wakabayashi, C., and Donato, K. M., 2006, "Does caregiving increase poverty among women in later life? Evidence from the Health and Retirement Surve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7(3): 258-274. 

  61. Yang, S., Khang, Y. H., Harper, S., Smith, G. D., Leon, D. A., and Lynch, J., 2010, "Understanding the rapid increase in life expectancy in South Korea",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0(5): 896-9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