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ring for grandchIldren on grandparents' health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3, 2016년, pp.1 - 23  

양혜경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caring for grandchildren on Korean grandparents' health,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2006 to 2012. We investigate how caregiving is provided and analyze the effects of caregiving on grandparents'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health-rel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 봄에 따라 시간적 여유가 줄어듦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한편 손자녀 돌봄이 라이프스타일 변화, 생활 습관 변화 등으로 건강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Szinovacz, DeViney & Atkinson, 1999). 돌 봄에 따른 시간적 여유가 줄어듦으로 인해 자신 의 건강을 돌아볼 여유가 줄어들게 되고, 운동 및 병원 방문, 취미 및 사회활동의 제약에 따라 스트 레스로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연, 음주 및 가족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불어 직장 이 있는 조부모의 경우 노동시간 감소로 인하여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고 이것이 건강 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Minkler & Roe, 1993).
Lee & Bauer가 시행한 면접조사에서 한국 사회에서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이 보편화된 이유는 무엇으로 나타났는가? 이렇듯 한국 사회에서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이 보편화된 이유는 무엇일까. Lee & Bauer(2013)는 우리나라의 자녀를 맡기는 취업주부와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시행한 결과,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은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가족주의(familism)에서 비롯되며 자녀의 성공을 위하여 그들의 양육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자녀의 경력 개발 및 웰빙, 부모로서의 의무감으로 양육 을 시작하게 된다고 하였으며, 성인 자녀 입장에 서는 부모로부터 재정적, 양육 지원 기대 등 가족 의 양육에 대한 신뢰, 편의성 등에서 조부모에게 양육을 위탁하게 된다고 보고한 바 있다. 2015년 조부모와 성인 자녀를 대상으로 한 육아정책연구 소의 전국 설문조사에서도 비슷한 응답을 보였는 데, 성인 자녀들은 직장생활 혹은 학업을 계속하 고 싶어 조부모에 자녀를 위탁하고, 조부모 입장 에서도 본인 스스로 돌봄을 자원하기 보다는 대 부분 자녀의 부탁을 거절할 수 없어서, 자녀가 마 음 놓고 직장생활이나 학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어 손자녀 양육을 하게 된다고 보고 하였다(이윤진 권미경 김승진, 2015).
손자녀 돌봄은 조부모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고령자의 손자녀 돌봄 노동은 노 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손자녀 돌봄은 삶의 활력과 보람을 제공하여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고령으로 노화되 어 가는 조부모의 건강에 신체적, 정신적인 부담 이 되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노인의 건강은 노화로 인하여 나이가 들수록 쇠퇴하게 되나, 이러한 쇠퇴가 돌봄으로 가속화 되는지, 아 니면 쇠퇴가 지연되는지는 기존의 실증 연구에서 도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김미혜. 김혜선(2004).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4(3), 153-170. 

  2. 김승용. 정미경(2006). 손자녀 돌봄에 대한 조모 및 취업모의 인식 조사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67-96. 

  3. 김시월. 조향숙(2013). 중 고령자 가계의 삶의 만족도 척도개발 및 영향요인-손자녀 돌봄 여부에 따른 비교. 한국소비자학회 2013 춘계학술대회자료집. 

  4. 김윤옥(2009). 민간 영유아 보육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윤주. 방미란(2011). 손자녀를 돌보는 할머니의 경험: 내러티브 탐구. 질적 연구, 12(1), 59-72. 

  6. 김은정. 정순둘(2011). 손자녀 대리양육 조모의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1(3), 177-213. 

  7. 김은주 .서영희(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실제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 192. 

  8. 백경흔(2009). 손자녀 돌봄 경험이 여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신체 및 정신 건강을 중심으로-.여성건강, 10(2), 87-112. 

  9. 백진아(2013). 중장년 기혼여성의 손자녀 양육경험-돌봄 공백의 가족주의적 대응. 담론 201, 16(3), 67-93. 

  10. 보건복지부(2012).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 

  11. 서울시(2012). 통계로 보는 서울 노인의 삶. 

  12. 안희란. 김선미(2015). 손자녀 양육지원 경험에 대한 할머니들의 해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1), 93-109. 

  13. 육아정책연구소(2014). 출산수준 제고와 일 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지원 내실화방안(IV): 맞벌이 가구의 영유아 자녀양육지원 실태 및 개선방안. 

  14. 이영희. 이승신. 박미석(2010). 노년층의 손자녀 돌봄활동이 심리적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010 추계 학술대회자료집. 

  15. 이윤진. 권미경. 김승진(2015). 조부모 영유아 손자녀 양육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16. 이희길(2007). 국내패널조사의 현황 분석. 통계청. 

  17. 전혜정. 조규영. 박민경. 한세황. Wassel, J.I.(2013). 손자녀 양육자로의 전이가 조부모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3(3), 515-536. 

  18. 정순둘. 박애리. 기지혜(2015). 연구논문: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사연구, 16(3), 45-73. 

  19. 최인희. 김영란. 염지혜(2012). 100세 시대 대비 여성노인의 가족돌봄과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 최해경(2006). 조손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실태와 조부모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9(2), 115-142. 

  21. 한국노동연구원(2007). 2006년 고령화패연구 패널조사 사용자 안내서. 

  22. Bachman, H. J. & Chase-Lansdale, P. L.(2005). Custodial grandmothers' physical, mental, and economic well-being: Comparisons of primary caregivers from low-income neighborhoods. Family Relations, 54(4), 475-487. 

  23. Baker, L. A. & Silverstein, M. S.(2008). Depressive symptoms among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multiple roles. Journal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6(3), 285- 304. 

  24. Blustein, J., Chan, S. & Guanais, F. C.(2004). Elevated depressive symptoms among caregiving grandparents. Health Services Research, 39(6 Pt 1), 1671-1690. 

  25. Bowers, B. F. & Myers, B. J.(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s of caregiving. Family Relations, 48(3), 303-311. 

  26. Burton, L.M. & deVries, C.(1992). Challenges and rewards: african american grandparents as surrogate parents. Generations, 16(3), 51-54. 

  27. Burton, L. M.(1992). Black grandparents rearing children of drug-addicted parents: stressors, outcomes, and social service needs. The Gerontologist, 32(6), 744-751. 

  28. Chen, F. & Liu, G.(2012). The health implications of grandparents caring for grandchildren in China.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7(1), 99-112. 

  29. Coe, N. B. & Van Houtven, C. H.(2009). Caring for mom and neglecting yourself? The health effects of caring for An elderly parent. Health Economics, 18(9), 991-1010. 

  30. Do, Y. K., Norton, E .C., Stearns, S. C., & Van Houtven, C. H.(2015). Informal care and caregiver's health. Health Economics, 24(2), 224-237. 

  31. Ehrle, G. M. & Day, H. D.(1994). Adjustment and family functioning of grandmothers rearing their grandchildren. Contemporary Family Therapy: An International Journal, 16(1), 67-82. 

  32. Forsyth C. J.(1994). Bookers and peacemakers:types of game wardens. Sociological Spectrum:Mid-South Sociological Association, 14(1), 47-63. 

  33. Forsyth, C. J., Roberts, S. B. & Robin, C. A.(1992). Variable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mong grandpar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of the Family, 22(2), 51-60. 

  34. Fuller-Thomson, E. & Minkler, M.(2001). American grandparents providing extensive child care to their grandchildren: prevalence and profile. Gerontologist, 41(2), 201-209. 

  35. Goode, W. J.(1960). A theory of role strai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5(4), 483- 496. 

  36. Goodman, C. C. & Silverstein, M.(2001). Grandmother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 An exploratory study of close relations across three generations. Journal of Family, 22(5), 557-578. 

  37. Goodman, C. C. & Silverstein, M.(2002). Grandmothers rasing grandchildren family structure and well-being in culturally diverse families. The Gerontologist, 42(5), 676-689. 

  38. Grinstead, L. N. Leder, S., Jensen, S. & Bond, L.(2003). Review of research on the health of caregiving grandpar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4(3), 318-326. 

  39. Hank, K. & Buber, I.(2009). Grandparent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Journal of Family Issues, 30(1), 53-73. 

  40. Hughes, M., Waite, L., LaPierre, T. & Luo, Y.(2007). All in the family: The impact of caring for grandchildren on grandparents' health.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2(2), 108-119. 

  41. Jendrek, M. P.(1993).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effects on lifesty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3), 609-621. 

  42. Kelley, S. J.(1993). Caregiver stress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5(4), 331-337. 

  43. Kivnick, H. Q.(1981). Grandparenthood and the mental health of grand-parents. Ageing and Society, 1(3), 365-391. 

  44. Ku, L. E., Stearns, S. C., Van Houtven, C. H. & Holmes, G. M.(2012). The health effects of caregiving by grandparents in Taiwan: An instrumental variable estimation.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10(4), 521-540. 

  45. Lee, J. & Bauer, J. W.(2013). Motivations for providing and utilizing child care by grandmothers in South Korea.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5(2), 381-402. 

  46. Marx, J. & Solomon, J. C.(2000). Physical health of custodial grandparents. in C. B. Cox(Ed.), To grandmother's house we go and stay: Perspectives on custodial grandparents(pp. 37- 55), New York, NY:Springer. 

  47. Minkler, M. & Roe, K. M.(1993). Grandmothers as caregivers: Raising children of the crack cocaine epidemic. Sage Publications. 

  48. Minkler, M., Roe, K. M., & Price M.(1992).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Status of Grandmothers Raising Children in the Crack Cocaine Epidemic. The Gerontologist, 32(6), 752-761. 

  49. Musil, C. M. & Ahmad, M.(2002). Health of grandmothers: A comparison by caregiver statu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4(1), 96-121. 

  50. Musil, C. M.(1998). Health,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in grandmother caregiver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5), 441-455. 

  51. Pang, K. Y. C.(2000). Symptom expression and somatizat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Journal of Clinical Geropsychology, 6(3), 199-212. 

  52. Peterson, C. C.(1999). Grandfathers' and grandmothers' satisfaction with the grandparenting role: Seeking new answers to old ques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9(1), 61-78. 

  53. Pruchno, R. A. & McKenney, D.(2002). Psychological well-being of black and white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examination of a two-factor model.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7(5), 444-452. 

  54. Pruchno, R.(1999). Raising grandchildren: The experiences of black and white grandmothers. The Gerontologist, 39(2), 209-221. 

  55. Sands, R. G. & Goldberg-Glen, R. S.(2000). Factors associated with stress among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Family Relations, 49(1), 97-105. 

  56. Silverstein, M., Cong, Z. & Li, S.(2006). Intergenerational transfers and living arrangements of older people in rural China: Consequence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1(5), 256-266. 

  57. Solomon, J. C. & Marx, J.(2000).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custodial grandparents. in B. Hayslip & R. Goldberg-Glen (Eds.),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oretical, empirical and clinical perspectives(pp. 183-206), New York, NY: Springer. 

  58. Staiger, D. & Stock, J. H.(1997). Instrumental Variables Regression with Weak Instruments. Econometrica, 65(3), 557-586. 

  59. Szinovacz, M. E., DeViney, S. & Atkinson, M. P.(1999). Effects of surrogate parenting on grandparents' well-being.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4(6), 376-388. 

  60. Waldrop, D. P. & Weber, J. A.(2001). From grandparents to caregiver: The stress and satisfaction of raising grandchildren. Families in Society, 82(5), 461-472. 

  61. Wheelock, J. & Jones, K.(2002). Grandparents are the next best thing: Informal childcare for working parents in Urban Britain. Journal of Social Policy, 31(3), 441-463. 

  62. Winefield, H. & Air, T.(2010). Grandparenting: Diversity in grandparent experiences and needs for healthcare and sup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care, 8(4), 277- 2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