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비강내 침술을 병행한 후각장애 치험 2례
A Case Study of an Olfactory Disorder in Two Patients Combined by Intranasal Acupuncture Treatment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1 no.2, 2017년, pp.25 - 33  

전보람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민상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은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ase of an olfactory disorder in two patients combined by intranasal acupuncture treatment. Methods The authors mainly performed infrared irradiation while acupuncturing nasal and bilateral Yeonghyang-hyeol (迎香穴, LI20) in two patients with ol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에서 연구를 위해 환자의 검사, 시술 등의 정보를 추가로 수집하지 않으며 후향적으로만 자료를 수집하여 보고하는 3례 이하의 증례보고로서 심의면제를 받았다.
  • 그 외 침술치료 연구로는 비색증 해소를 위한 內迎香穴 자침으로 放血을 유도한 홍 등11), 김 등12)의 연구 정도만 찾을 수 있었다. 이에 저자는 비강내 침술을 병행하여 후각장애의 증상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관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不聞香臭: 냄새가 맡아지기 시작. 시큼한 냄새 위주.
  • ∙不聞香臭: 냄새가 맡아지는 시간은 조금 길어졌으나, 다양한 냄새는 못 맡음. VAS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도성 장애의 경우 치료 방법은? 후각장애의 치료는 그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전도성 장애의 경우에는 부비동 수술 등으로 비강 내 폐쇄나 협착된 부위를 해결하면 후각기능의 큰 호전을 보인다. 감각신경성 장애의 경우에는 경구 및 국소 스테로이드의 사용 및 zinc sulfate 등의 약물요법, 성상신경절 차단술 등이 시행되고 있으나6), 어떠한 치료방법도 높은 치유율을 보이는 것은 없다고 알려져 있다7).
한의학에서 후각을 느끼지 못하는 원인을 무엇이라 하는각? 한의학에서는 후각을 느끼지 못하는 것을 鼻聾, 不聞香臭라 하고, 원인으로는 肺經에 風熱이 鬱滯되거나, 脾胃濕熱이 鼻竅를 薰蒸하거나, 肺脾陽虛, 血瘀阻肺 등에 의해 발생한다고 하였다8). 현재까지 鼻질환에 대한 연구는 비염, 부비동염이 주를 이루었으나, 후각장애를 주소 (Chief complaint)로 하는 임상적 연구는 麗澤通氣湯을 이용한 김 등9), 洪里 등10)의 한약치료 연구가 있다.
후각장애의 원인 중 감각신경성 원인 무엇인가? 현재까지 알려진 원인은 크게 감각신경성 원인과 전도성 원인으로 구분한다. 감각신경성원인에는 만성 비부비동 질환, 두부외상, 상기도 감염, 신경퇴행성 질환, 독소 등이 있고, 전도성 원인에는 비용종, 종양, 비강협착, 외상성 비강 폐쇄 등이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ong SC, Ahn JY, Cho JH, Lim DJ, Park GH. Clinical analysis of the etiology of Korean olfactory disorders.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2008;51: 717-21. 

  2. Bramerson A, Johansson L, Ek L, Nordin S, Bende M. Prevalence of olfactory dysfunction: the skovde population-based study. Laryngoscope. 2004;114:733-7. 

  3. Moon HS, Lee HJ, Sung CH, Lim SJ, Choi JH. The efficacy of stellate ganglion block in sensorineural anosmia patients unresponsive to steroid therapy. Korean J Pain. 2007;20:154-7. 

  4. Lee NS, Yoon HR, Park JY, Yum JH, Seo JH, Cho JH, Park KH, Moon DE. The efficacy of stellate ganglion block in olfactory disorder following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2003;46(7):568-71. 

  5. Holbrook EH, Leopold DA. An updated review of clinical olfaction.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6;14:23-8. 

  6. Holbrook EH, Leopold DA. Anosmia: diagnosis and management.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3;11:54-60. 

  7. Min YG, Lee CH, Kwon TY, Lee CH, Yun JB, Lee KS. Quantitative evaluation of efficacy of systemic steroid therapy for the patients with olfactory disturbance. Korean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8;41(1): 37-41. 

  8. Noh SS. Wonsaekanyibiinhugwahak. Seoul: IBC-gihoek. 2007:565-6, 615-7. 

  9. Kim HT, Nam CG, Bae SH. A case of olfactory disturbance treated with Ryetaktongi-tang. J Physiol Pathol Korean Med. 2001;15(5):830. 

  10. Kazuyoshi KR, Tetsuro OK, Go IT, Takayuki HN, Yukari GN, Toshihiko HW. A case of neurogenic olfaction disorder successfully treated by Reitakutsukito. Kampo Med. 2010;61(5):718-21. 

  11. Hong SJ, Choi GH, Song IS.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intranasal acupuncture treatment on pediatric allergic rhinitis. J Korean Orient Pediatr. 2011;25(2): 15-26. 

  12. Kim YB, Yoon SH. A clinical observation of the nasal acupuncture therapy on nasal obstruction. J Korean Orient Ophthalmol Otorhinolaryngol Dermatol. 1999; 12(2):205-11. 

  13. Lee JH, You SW. Five years follow-up of posttraumatic and postviral olfactory disorders and analysis of quality of life.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2010;55(8):482-6. 

  14. Landis BN, Hummel T. New evidence for high occurrence of olfactory dysfunctions within the population. Am J Med. 2006;119(1):91-2. 

  15. Hong SC, Yoo YS, Kim SC, Kim YC, Kim YS. Transition of the olfactory recovery in patients with olfactory disturbance. Korean J Otolaryngol. 2000;43:844-8. 

  16. Duncan HJ, Seiden AM. Long-term follow-up of olfactory loss secondary to head trauma and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5;121(10):1183-7. 

  17. Deems DA, Doty RL, Settle RG, Moore-Gillon V, Shaman P, Mester AF, Kimmelman CP, Brightman VJ, Snow JB. Smell and taste disorders, a study of 750 patients from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mell and taste center.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1;117(5):519-28. 

  18. Dhong HJ, Shin DB, Rho HI, Chung SK, Chu KC. Clinical analysis of olfactory disorders. Korean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4;44(9):946-50. 

  19. Hong SC, Yoo YS, Kim ES, Kim SC, Park SH, Kim JK, Kang SH. Development of KVSS test (Korean Version of Sniffin’ Sticks test). Korean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9;42(7):855-60. 

  20. Hong SC, Ahn JY, Cho JH, Lim DJ, Park GH. Clinical analysis of the etiology of Korean olfactory disorders.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2008; 51(8):717-21. 

  21. Wolfensberger M, Hummel T. Anti-inflammatory and surgical therapy of olfactory disorders related to sino-nasal disease. Chem Senses. 2002;27:617-22. 

  22. Hilberg O. Effect of Terfenadine and Budesonide on nasal symptoms, olfaction, and nasal airway patency following allergen challenge. Allergy. 1995;50:683-8. 

  23. Seiden AM, Duncan HJ. The diagnosis of a conductive olfactory loss. Laryngoscope. 2001;111(1):9-14. 

  24. Son JM, Hong SU. The antiallergic effects of Yeotaectonggitang (YTT) on the mice model with allergic rhinitis by regulation of PPAR- $\gamma$ . J Korean Orient Ophthalmol Otorhinolaryngol Dermatol. 2010;23(2):109-24. 

  25. Gong JH. Jeungbomanbyeonghoechun hagwon. Seoul: Iljoongsa. 1994:12. 

  26. Shin JY. Bangyakhappyeonhaeseol. Seoul: Singwangmunhwasa. 1989:169. 

  27. You TS, Jin YS, Jeong GM. Study of the effects of Hyunggaeyeungyo-tang on the anti-allergic effect in rats and mice. J Korean Orient Pediatr. 1990;4(1):19-30. 

  28. Hwang SY, Lee JR, Kim SC, Jee SY. A study on genotoxicity test of Hyeonggaeyeongyo-tang extract. Kor J Herbol. 2007;22(4):287-300. 

  29. Park JH, Hong SU. The effects of Hyunggaeyungyo-tang of suppression of iNOS production on mice with allergic rhinitis. J Korean Orient Ophthalmol Otorhinolaryngol Dermatol. 2012;25(1):12-21. 

  30. Lee HJ, Park EJ. A study on allergic rhrnitis. J Korean Orient Pediatr. 2001;15(2):167-75. 

  31. Lee JE, Song YK, Lim HH.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Bofu-tsusho-san on obese patients. J Korean Med Obes Res. 2010;10(1):1-16. 

  32. Kim HJ, Yoon KM, Im EY, Byun JS, Kim DJ, Kwak MA. Three case report of Bangpungtongsung-san effect on improvement of hypertension patients. J Physiol Pathol Korean Med. 2009;23(3):740-3. 

  33. The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Seoul: Hanmieuihak. 2016:155-7, 200-2. 

  34. Shin JH, Lee JC, Kim KB. Recent clinical research on effect of acupuncture for rhinitis -within RCT, review-. J Korean Orient Pediatr. 2012;26(1):46-59. 

  35. Bae WY. Recent advances in basic research of olfac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2015; 58(10):663-6. 

  36. Bae WY. Postviral olfactory disorder.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2010;53(11):669-74. 

  37. Duncan HJ, Seiden AM. Long-term follow-up of olfactory loss secondary to head trauma and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5;121(10):118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