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미지황탕 가미방 투여로 호전된 소아 재발성 혈뇨 1례
A Case Report of Treating Recurrent Hematuria in Childhood by Yukmijihwangtang-gamibang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1 no.2, 2017년, pp.57 - 63  

이선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박은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Yukmijihwangtang-gamibang on recurrent hematuria in childhood. Methods The subject was a male child with macroscopic hematuria. This patient was only treated with oriental herbal medicine. The improvement was observed by subjec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병원 방문. IgA 신증 등 신장의 문제 가능성 의심하여 조직검사 권유하였으나 거부하고 경과관찰 하기로 함. 입원치료 이후 증상 호전되어 퇴원함.
  • 국내 한의학 연구에서 이, 박, 장 등8-10)의 혈뇨와 관련한 증례보고가 있었으나, 한약치료만을 사용하여 소아의 혈뇨를 치료한 치험례 보고는 확인하기 힘들었다. 본 증례에서는 지속되는 원인불명의 육안적 혈뇨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게 六味地黃湯 加味方을 투여하여 소변검사 상 유의한 효과를 확인한 바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이에 저자는 신생검을 권유받았던 원인불명의 육안적 혈뇨를 주소로 방문한 환아 1례에 육미지황탕 가미방을 투여하여 유효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재발성 혈뇨를 호소한 소아 환자에게 육미지황탕 가미방을 투여하여 유의한 효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에게 지속되는 혈뇨가 나타났을 때, 어떻게 조치하는가? 소아는 과로, 생리, 감염, 알레르기 질환, 운동이나 외상 등으로 인한 일과성 혈뇨가 흔하지만2), 지속되는 혈뇨는 여러 신․요로계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원인질환을 찾기 위해 신기능 검사, 소변 단백량, 소변 칼슘량, 혈중 보체 검사, 신 초음파 검사 등의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 사구체 혈뇨와 비 사구체 혈뇨를 감별하고, 사구체 혈뇨가 있다면 최종 진단을 하기 위해 신생검을 시행하는데, 단백뇨가 동반되지 않은 단독 혈뇨 환아에서 대부분 경한 사구체 변화만 보이며3), 임상 경과는 대체로 양호하므로 침습적 검사는 대개 불필요하다4). 따라서, 신기능이 정상이고 단백뇨가 동반되지 않은 무증상 혈뇨의 경우 특별한 처치 없이 정기적으로 소변, 혈액 검사를 하여 질병의 진행 양상을 관찰한다1).
무증상 혈뇨의 특징은? 무증상 혈뇨는 소아에서 비교적 자주 나타나는 증상으로 육안 혈뇨는 0.13%, 현미경 혈뇨는 0.5~2.0% 정도의 빈도를 보이며, 현미경 혈뇨는 신체검사 등에서 소변 검사를 했을 때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1)
한의학적으로 혈뇨의 원인은 무엇인가? 한의학적으로 혈뇨는 尿血, 溺血, 溲血이라고 하며, 膀胱濕熱, 心火亢盛, 脾腎陽虛를 원인으로 본다2). 중의학에서도 濕熱蘊結, 陰虛火旺, 脾不統血, 脾腎陽虛 의 범주에서 치료를 하고 있으며5), 혈뇨를 주증상으로 하는 IgA 신증 등의 질환에 대해 중서의 결합치료를 시행하며 치험례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HS. Hong Chang Eui Pediatrics. Daehan textbook Co. Ltd. Seoul. 2007:874-89. 

  2.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eong HK, Yu SA, Lee SY, Lee JY, Chang GT, Jeong MJ, Chai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ha). Uisungdang Publishing Co. Seoul. 2015:163-4. 

  3. Teruo K. Lessons learned from the Japanese nephritis screening study. Pediatr Nephrol. 1998;2:256-63. 

  4. Yum MS, Yoon HS, Lee JH, Hahn HW, Park YS. Follow-up of children with 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detected in a mass school urine screening test. J Korean Orient Pediatr. 2006;49(1):82-6. 

  5. Sun LJ, Zhang BL. Progress of treating childhood hematuria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TCM. 2006;23(1):12-4. 

  6. Zhai WS, Li B, Zhao YW. Progress on therapy of intergrated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IgA nephropathy in children. Chin Med Mod Distance Educ. 2016;14(7):148-50. 

  7. Lee HZ. Clinical observation of 100 cases of IgA nephritis hematuria treated by the prescription of Guipitang with the western medicine. Chi Med Rec. 2011;8(6):82-3. 

  8. Lee SH, Jeong JY, Cho MR. A clinical case report of severe hematuria patient after ureterolith lithotripsy. Korean J Acupunct. 2015;32(3):144-50. 

  9. Park NC, Kang NH, Kim JH, Yoo ES, Park YK, Hwang DS, Lee JM, Lee CH, Jang JB. A case study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unexplained hematuria with chronic pelvic pain. J Korean Obstet Gynecol. 2016; 29(3):100-9. 

  10. Jang SK, Choi JS, Ann SH, Cho CS, Kim CJ. A case report of lupus nephritis in a child patient treated with Jasinwhalhyul-tang and steroid therapy. Korean J Orient Int Med. 2008;29(3):819-26. 

  11. Ministry of education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KR); 2017 [updated 2017 Mar 28; cited 2017 Apr 13]. Available from: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48&lev0&statusYNW&smoe&m040103&opTypeN&boardSeq70870. 

  12. Yang JI, Lee JH. A clinicopathological analysis of 52 cases of renal biopsy in children. Child Kidney Dis. 2004;8(2):205-13. 

  13. Teruo F, Kandai N, Kazumoto I, Ichiro K, Kunihiko Y, Ryojiro T, Kiyoshi H, Koichi N, Norishige Y, Masafumi M. Long-term follow-up of atypical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are steroids indicated?. Pediatr Nephrol. 2006;(21):194-200. 

  14. Lee KW.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 2nd Vol. Seoul: Yeokang Publishing Co. 2007:892-900. 

  15. Lee KW.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 1st Vol. Seoul: Yeokang Publishing Co. 2007:563-70, 656-66. 

  16. Lee DG. Gookyeokgumgeuyolak. Seoul: Seowondang Publishing Co. 1996:165. 

  17. Jeongukhanuigwadaehak Singyenaegwahakgyosil. Singyenaegwahak. Seoul: Gunja Publishing Co. 2011:30-4. 

  18. He ZY, He YQ, Liao CL, Peng YJ, Li XH, Xiong ZS, Kuang LJ. Effects of Liuwei Dihuang decoction on expression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and complement regulatory protein CR1 of IgA nephropathy rats. Chin J Inform Tradit Chin Med. 2015;22(11):54-7. 

  19. He ZY, Liao CL, He YQ, Peng YJ, Li XH, Kuang LJ, Xiong ZS. Effects of Liuwei Dihuang decoction on IgA nephropathy rats' IL-6, TNF- ${\alpha}$ expression. Acta Univ Tradit Med Sinensis Pharmacol Shanghai. 2015; 29(3):61-5. 

  20. Kim JH, Lee JK, Shin HK. Analysis of studies on Bojungikgi-tang to establishment the fundament for evidence based medicine. Integr Med Res. 2011;17(2): 135-67. 

  21. Kim JH, Lee JK, Ha HK, Seo CS, Lee MY, Lee HY, Jung DY, Lee NH, Lee JA, Huang DS, Shin HK. Analysis of studies on Guibi-tang for fundamental establishment of evidence based medicine. Korean Soc Orient Neuropsychiatry. 2009;20(3):205-16. 

  22. Sin MG.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Seoul: Younglimsa Publishing Co. 2006:338-9, 491-2, 511-2. 

  23. Choi HW. The cause and outcome of asymptomatic gross hematuria in children. Graduate school of Ulsan university. 2012:29. 

  24. Lee SY. Diagnostic approach to hematuria. Korean J Med. 2010;79(1):8-10. 

  25. Stangou M, Bantis C, Skoularopoulou M, Korelidou L, Kouloukouriotou D, Scina M, Labropoulou IT, Kouri NM, Papagianni A, Efstratiadis G. Th1, Th2 and Treg/T17 cytokines in two types of 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Indian J Nephrol. 2016;26(3):159-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