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의료 환경 내 가족 참여 음악 중재 연구 고찰
Review of Music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in Medical Settings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4 no.1, 2017년, pp.17 - 39  

최다인 (이화음악재활센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에서 실시된 의료 환경 내 가족 보호자 대상 음악 중재 연구를 고찰하고 가족 보호자의 참여 유형에 따라 중재 목표, 음악 중재 내용 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음악 중재와 가족 보호자, 호스피스, 중환자, 소아병동, 재활 등의 세부 의료 환경 등을 검색어로 하여 2016년까지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과정을 통해 국내 연구 5편, 국외 연구 38편의 총 43편을 최종 선정,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가족 보호자만 중재에 참여한 논문이 5편, 환자와 가족이 동반 참여한 논문이 38편이었다. 국외에서는 다양화된 형태의 가족 참여 연구가 1980년대 후반부터 시행된 반면, 국내에서는 가족 보호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중재 연구는 미비하고 환자와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형태의 연구만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단독 참여 연구는 주로 완화의료 병동에서 진행되었으며, 환자의 배우자가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다. 가족 동반참여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 암병동 등에서 실시되는 비중이 높고, 부모의 참여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가족 단독 참여 연구에서는 수동적인 음악 중재가 시행된 경우가 많은 반면, 환자와 보호자가 동반 참여한 연구에서는 적극적인 음악 중재가 사용되는 비중이 보다 많았다. 본 연구 결과는 의료 환경 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가족 중심 돌봄의 개념이 국내 의료 환경 내 음악 중재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review Korean-written and English-written studies on music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in medical settings.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studies published through 2016, using the keywords of music intervention, family caregivers, and specified set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외 의료 환경 내 환자의 가족 보호자를 포함하는 음악 중재 연구를 검색하기 위해서 전자 학술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였다. 먼저 국내 자료 수집을 위해 학술 데이터베이스 중 학술연구 정보서비스(RISS), 국회도서관, Google Scholar, 교보문고 스콜라를 활용하였다.
  • 이처럼 의료 환경 내 치료 서비스로써의 음악치료 영역에서도 환자의 가족 보호자 대상 중재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관심이 실제 임상 연구 내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전반적인 동향과 음악 중재의 유형 및 수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실시된 의료 환경 내 가족 보호자 대상 음악 중재 연구를 고찰하고 참여한 가족 보호자 유형에 따라 목표 영역, 음악활동 유형 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제 연구 제목이나 주제 범위에는 가족의 참여 여부나 중재 개입 수준이 명료하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Arnon etal, 2006; Chaput-McGovern & Silverman, 2012; Gilad & Arnon, 2010; Grasso, Button, Allison, & Sawyer, 2000), 본 연구에서는 가족중심 음악중재를 핵심단어로 선택하여 기존 음악중재와의 차이점과 세부 특성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실제 연구 제목이나 주제 범위에는 가족의 참여 여부나 중재 개입 수준이 명료하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Arnon etal, 2006; Chaput-McGovern & Silverman, 2012; Gilad & Arnon, 2010; Grasso, Button, Allison, & Sawyer, 2000), 본 연구에서는 가족중심 음악중재를 핵심단어로 선택하여 기존 음악중재와의 차이점과 세부 특성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를 통해 특정 의료환경 내에서 어떠한 임상 연구가 진행되어왔는지 고찰한 경우가 있으나(Tung, 2014), 음악중재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은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의료 환경 내 가족 보호자의 음악 중재 연구의 참여 및 개입 유형에 따른 변인 및 음악사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들은 국내 음악 치료 연구 및 임상 현장에서 가족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중재를 구성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적절한 판단 근거 및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실시된 의료 환경 내 환자의 가족 보호자가 참여한 음악 중재 연구를 가족 보호자의 참여 유형에 따라 음악 중재가 어떻게 시행되었는지 고찰하고 세부 의료환경, 목표 영역, 적용된 세부 음악 중재 기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의료 환경 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가족 중심 돌봄의 개념이 국내 의료 환경 내 음악 중재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실제 연구 제목이나 주제 범위에는 가족의 참여 여부나 중재 개입 수준이 명료하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Arnon etal, 2006; Chaput-McGovern & Silverman, 2012; Gilad & Arnon, 2010; Grasso, Button, Allison, & Sawyer, 2000), 본 연구에서는 가족중심 음악중재를 핵심단어로 선택하여 기존 음악중재와의 차이점과 세부 특성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치료의 장점은? 환자 가족의 신체적, 심리정서적 다양한 필요에 맞춰 제공이 가능한 중재 서비스 중 음악치료는 음악이라는 치료매체의 특성을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활용되어 오고 있다(Shultis &Gallagher, 2016). 일반적으로 음악 매체는 의료 환경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신체, 심리, 사회, 정서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필요를 위한 치료적 개입에 적용될 수 있고(Burns & Meadows,2015), 참여 수준의 범위가 비교적 넓어 의료 환경 내 환자와 가족 보호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중재를 구성하는 게 가능하다. 특히 환자와 가족 간 관계적 특성 및 연령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환자의 연령이 낮거나, 질병의 심각도가 높은 등 세부의료환경적 특성을 바탕으로 융통적 접근이 가능하다.
의료 환경 내 치료 중재에서 가족의 참여의 장점은? 의료 환경 내 치료 중재에서 가족의 참여는 치료 과정 및 효과성 측면에서 볼 때 여러 가능성을 보여준다. 소아 혹은 돌봄의 필요가 중한 환자의 경우 가족 참여가 치료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가족에게 일관된 치료 방향과 계획을 안내하여 환자 돌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간병 과정에서 가족들이 경험하는 피로 또는 소진에 대한 대처 및 관리차원의 중재가 환자 돌봄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Hong, Tae, & Noh, 2012).
가족 중심 돌봄의 개념의 도입은 어떠한 변화를 가지고 왔는가? 그 중 가족중심(family-centered) 돌봄은 환자중심 돌봄이 확대된 개념으로 의료 환경 내 치료에서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Bamm & Rosenbaum, 2008). 이전의 의료 서비스는 전문 의료진에 의해 결정된 처치를 환자가 일방적으로 제공받는 방식이었으나(Bruns & Klein, 2005), 가족 중심 돌봄의 개념이 적용되면서 전문 의료진과 가족이 함께 치료에 필요한 의사 결정 과정에 협력하는 형태로 변화되어 치료 과정에서 가족의 주체적인 참여자 역할수행이 이루어지고 있다(Coyne, O’Neill, Murphy, Costello, & O’shea, 2011). 이러한 가족 보호자의 역할 참여는 단순 참여의 수준을 벗어나 치료 과정 중 가족의 지지적 역할이 환자의 치료 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 임상적으로 보고되고 있다(Mitchell, Chaboyer, Burmeister, & Foster,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Anderson, J. C. (2012). Effects of original songwriting in music therapy sessions on the hospice experience and bereavement proces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Florida University, Florida. 

  2. Arnon, S., Shapsa, A., Forman, L., Regev, R., Bauer, S., Litmanovitz, I., & Dolfin, T. (2006). Live music is beneficial to preterm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environment. Birth, 33(2), 131-136. 

  3. Bamm, E. L., & Rosenbaum, P. (2008). Family-centered theory: Origins, development, barriers, and supports to implementation in rehabilitation medicin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9(8), 1618-1624. 

  4. Bieleninik, Ł., Ghetti, C. M., & Gold, C. (2016). Music therapy for premature infants and their parents/caregiv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5(sup1), 131. 

  5. Blumenfeld, H., & Eisenfeld, L. (2006). Does a mother singing to her premature baby affect feedin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linical Pediatrics, 45(1), 65-70. 

  6. Bruns, D. A., & Klein, S. (2005). An evaluation of family-centered care in a level III NICU. Infants & Young Children, 18(3), 222-233. 

  7. Burns, D. S., & Meadows, A. (2015). Music therapy research. In B. L. Wheeler (Ed.), Music therapy handbook (pp. 91-102). New York: Guilford Press. 

  8. Cevasco, A. M. (2008). The effects of mothers’ singing on full-term and preterm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responses. Journal of Music Therapy, 45(3), 273-306. 

  9. Chaput-McGovern, J., & Silverman, M. J. (2012). Effects of music therapy with patients on a post-surgical oncology unit: A pilot study determining maintenance of immediate gains. The Arts in Psychotherapy, 39(5), 417-422. 

  10. Choi, Y. K. (2010). The effect of music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anxiety,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family caregivers of hospice pati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47(1), 53-69. 

  11. Choi, Y. S., Bae, J. H., Kim, N. H., & Tae, Y. S. (2016). Factors influencing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cancer patients(노인 암환자 가족원의 돌봄 부담감 영향요인). Asian Oncology Nursing, 16(1), 20-29. 

  12. Chorna, O. D., Slaughter, J. C., Wang, L., Stark, A. R., & Maitre, N. L. (2014). A pacifier-activated music player with mother’s voice improves oral feeding in preterm infants. Pediatrics, 133(3), 462-468. 

  13. Coyne, I., O'Neill, C., Murphy, M., Costello, T., & O’shea, R. (2011). What does familycentered care mean to nurses and how do they think it could be enhanced in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12), 2561-2573. 

  14. Curtis, J. R., Treece, P. D., Nielsen, E. L., Gold, J., Ciechanowski, P. S., Shannon, S. E., ... Engelberg, R. A. (2016). Randomized trial of communication facilitators to reduce family distress and intensity of end-of-life care.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93(2), 154-162. 

  15. Do, J.-E. (2010). The effects of group song psychotherapy on the families of stroke patients(그룹 노래 심리치료가 뇌졸중 환자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효과)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16. Docherty, S. L., Robb, S. L., Phillips-Salimi, C., Cherven, B., Stegenga, K., Hendricks-Ferguson, V., ... Haase, J. (2013). Parental perspectives on a behavioral health music intervention for adolescent/young adult resilience during cancer treatment: Report from the children’s oncology group.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52(2), 170-178. 

  17. Dvorak, A. L. (2015). Music therapy support groups for cancer patients and caregivers: A mixed-methods approach. Canadian Journal of Music Therapy, 21(1), 69-105. 

  18. Ettenberger, M., Odell-Miller, H., Cardenas, C. R., & Parker, M. (2017). Family-centered music therapy with preterm infants and their parents in the Neonatal-Intensive-Care-Unit (NICU) in colombia: A mixed-methods study.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6(3), 207-234. 

  19. Fancourt, D., Williamon, A., Carvalho, L. A., Steptoe, A., Dow, R., & Lewis, I. (2016). Singing modulates mood, stress, cortisol, cytokine and neuropeptide activity in cancer patients and carers. Ecancermedicalscience, 10, 631. 

  20. Fields, A. (2014). Diversity, culture and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in the medical setting: Implications for clinicians and supervisors. In L. F. Gooding (Ed.), Medical music therapy (pp. 13-15). Silver Spring, MD: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21. Gilad, E., & Arnon, S. (2010). The role of live music and singing as a stress-reducing modality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environment. Music and Medicine, 2(1), 18-22. 

  22. Glasscoe, C. A., & Quittner, A. L. (2008).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cystic fibrosis and their familie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8(3), CD003148. doi:10.1002/14651858.CD003148.pub2. 

  23. Goldbeck, L., Fidika, A., Herle, M., & Quittenr, A. L. (2014).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cystic fibrosis and their familie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4(6), CD003148. doi:10.1002/14651858.CD003148.pub3. 

  24. Grasso, M. C., Button, B. M., Allison, D. J., & Sawyer, S. M. (2000). Benefits of music therapy as an adjunct to chest physiotherapy in infants and toddles with cystic fibrosis. Pediatric Pulmonology, 29(5), 371-381. 

  25. Han, S. Y., & Chae, S.-M. (2016). Perceived parental stress and nursing support for fathers of high risk infants(고위험신생아 아버지가 지각한 스트레스와 간호지지).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2(3), 190-198. 

  26. Hartling, L., Newton, A. S., Liang, Y., Jou, H., Hewson, K., Klassen, T. P., & Curtis, S. (2013). Music to reduce pain and distress in th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Pediatrics, 167(9), 826-835. 

  27. Hong, M. J., Tae, Y. S., & Noh, M. Y. (2012).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ways of coping and burnout of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소진의 관계). Asian Oncology Nursing, 12(1), 92-99. 

  28. Hwang, J.-E. (2015). An analysis of literatures on the use of music in the ICU: From Music Therapy Perspectives(중환자 대상 음악사용 연구 문헌 분석: 치료적 관점에서)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9. Im, M., & Oh, J. (2016). An integrative review on family-centered rounds for hospitalized children caring(입원아동 돌봄을 위한 가족중심 순회의 통합적 고찰).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2(2), 107-116. 

  30. Jang, M.-Y. (2013). The effects of kangaroo care and voice intervention on preterm infants and their mothers(미숙아 어머니의 캥거루 케어와 목소리 중재 효과)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31. Jayamala, A. K., Lakshmanagowda, P. B., Pradeep, G. C. M., & Goturu, J. (2015). Impact of music therapy on breast milk secretion in mothers of premature newborns.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9(4), 4-6. 

  32. Johnston, C. C., Filion, F., & Nuyt, A. M. (2007). Recorded maternal voice for preterm neonates undergoing heel lance. Advances in Neonatal Care, 7(5), 258-266. 

  33. Jung, Y. R. (2015). Effects of song discussion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노래 가사 토의가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2(1), 43-64. 

  34. Kain, Z. N., Caldwell-Andrews, A. A., Krivutza, D. M., Weinberg, M. E., Gaal, D., Wang, S. M., & Mayes, L. C. (2004). Interactive music therapy as a treatment for preoperative anxiety in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esthesia & Analgesia, 98(5), 1260-1266. 

  35. Kim, E. J.,, Choi, Y. S., Kim, W.-C., & Kim, K. S. (2016).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centered o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4(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3(1), 19-40. 

  36. Kim, S. A. (2006). The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mood state and relaxation of hospice patients and caregiv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Florida State University, Florida. 

  37. Kim, S. J., Oh, Y. J., Kim, K. J., Kwak, Y. L., & Na, S. (2010). The effect of recorded maternal voice on perioperative anxiety and emergence in children. Anesthesia and Intensive Care, 38(4), 1064-1069. 

  38. Kitawaki, A. (2007).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involving family members of terminally ill patients in hospice on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and stress levels of family memb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ichigan State University, Michigan. 

  39. Krout, R. E. (2003). Music therapy with imminently dying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Facilitating release near the time of death.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20(2), 129-134. 

  40. Kuhn, D. (2002). The effects of active and passive participation in musical activity on the immune system as measured by salivary immunoglobulin A(SlgA). Journal of Music Therapy, 39(1), 30-39. 

  41. Lai, H. L., Chen, C. J., Peng, T. C., Chang, F. M., Hsieh, M. L., Huang, H. Y., & Chang, S. C. (2006).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music during kangaroo care on maternal state anxiety and preterm infants’ respon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2), 139-146. 

  42. Lai, H. L., Li, Y. M., & Lee, L. H. (2011).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with nursing presence and recorded music on psycho-physiological indices of cancer patient caregiver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5-6), 745-756. 

  43. Lee, J. H. (2015). The effects of music on pain: A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Pennsylvania. 

  44. Lee, S. (2006). My happy life despite pain: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music autobiography experience of a hospice patient(고통 속에서도 행복한 내 삶의 여정: 종말기 환자의 음악자서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8(2), 22-44. 

  45. Lee, S., Oh, H., Suh, Y., & Seo, W. (2016). A tailored relocation stress intervention programme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transferred from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to a general ward.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5), 302-313. 

  46. Lenburg, C. B., Klein, C., Abdur-Rahman, V., Spencer, T., & Boyer, S. (2009). The COPA Model: A comprehensive framework designed to promote quality care and competence for patient safety.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5), 312-317. 

  47. Lim, J. H., Kim, G., & Shin, Y. (2016). Effects for kangaroo care: Systematic review & meta analysis(캥거루 케어가 미숙아와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3), 599-610. 

  48. Lindenfelser, K. J., Hense, C., & McFerran, K. (2011). Music therapy in pediatric palliative care: Family-centered care to enhance quality of life.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29(3), 219-226. 

  49. Loewy, J., Stewart, K., Dassler, A. M., Telsey, A., & Homel, P. (2013).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vital signs, feeding, and sleep in premature infants. Pediatrics, 131(5), 902-918. 

  50. Lor, M., Crooks, N., & Tluczek, A. (2016). A proposed model of person-, family-, and culture-centered nursing care. Nursing Outlook, 64(4), 352-366. 

  51. Magill, L., & Berenson, S. (2008). The conjoint use of music therapy and reflexology with hospitalized advanced stage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Palliative and Supportive Care, 6(3), 289-296. 

  52. Melnyk, B. M., Alpert-Gillis, L., Feinstein, N. F., Crean, H. F., Johnson, J., Fairbanks, E., ... Corbo-Richert, B. (2004). Creating opportunities for parent empowerment: Program effects on the mental health/coping outcomes of critically ill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Pediatrics, 113(6), e597-e607. 

  53. Mitchell, M., Chaboyer, W., Burmeister, E., & Foster, M. (2009). Positive effects of a nursing intervention on family-centered care in adult critical car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8(6), 543-552. 

  54. O’Callaghan, C. C., Hudson, P., McDermott, F., & Zalcberg, J. R. (2011). Music among family carers of people with life-threatening cancer. Music and Medicine, 3(1), 47-55. 

  55. O’Callaghan, C. C., O’Brien, E., Magill, L., & Ballinger, E. (2009). Resounding attachment: Cancer inpatients’ song lyrics for their children in music therapy. Supportive Care in Cancer, 17(9), 1149-1157. 

  56. Okamoto, M. (2005). Effects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on grief and spirituality of family members of patients in a hospice set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Florida State University, Florida. 

  57. O’Kelly, J. (2008). Saying it in song: Music therapy as a carer support interv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14(6), 281-286. 

  58. Park, J.-S., Hong, K.-J., & Bang, K.-S. (2013). Effects of the ‘Intervention - Mother’s Song’ on physical response and behavioral state of low-birth weight infan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어머니의 노래 들려주기 중재가 저출생체중아의 생리적 반응과 행동 상태에 미치는 효과).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3), 198-206. 

  59. Preti, C., & Welch, G. F. (2011). Music in a hospital: The impact of a live music program on pediatric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Music and Medicine, 3(4), 213-223. 

  60. Schlez, A., Litmanovitz, I., Bauer, S., Dolfin, T., Regev, R., & Arnon, S. (2011). Combining kangaroo care and live harp music therapy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etting. Israel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3(6), 354-358. 

  61. Shultis, C., & Gallagher, L. (2016). Medical music therapy for adults. In B. L. Wheeler (Ed.), Music therapy handbook (pp. 441-453), New York: Guilford Press. 

  62. Silverman, M. J. (2014). Effects of family-based educational music therapy on acute care psychiatric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An exploratory mixed-methods study.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3(2), 99-122. 

  63. Slivka, H. H., & Magill, L. (1986). The conjoint use of social work and music therapy in working with children of cancer patients. Music Therapy, 6(1), 30-40. 

  64. Sumathy, S., Bhuvaneswari, R., & Kala, V. (2016). Live music therapy in waiting area of intensive care units: A novel concept for betterment of close relatives of ICU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edical Scences, 4(3), 950-952. 

  65. Teckenberg-Jansson, P., Huotilainen, M., Polkki, T., Lipsanen, J., & Jarvenpaa, A. L. (2011). Rapid effects of neonatal music therapy combined with kangaroo care on prematurely-born infants.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0(1), 22-42. 

  66. Tung, Y. C. S. (2014). Supporting family caregivers in end-of-life car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music therapy resources 1990 to 2012 (Unpublished master's thesis). Concordia University, Quebec, Canada. 

  67. Vianna, M. N., Barbosa, A. P., Carvalhaes, A. S., & Cunha, A. J. (2011). Music therapy may increase breastfeeding rates among mothers of premature newbor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rnal De Pediatria, 87(3), 206-212. 

  68. Walworth, D. D. (2009). Effects of developmental music groups for parents and premature or typical infants under two years on parental responsiveness and infant social development. Journal of Music Therapy, 46(1), 32-52. 

  69. Whipple, J. (2000). The effect of parent training in music and multimodal stimulation on parent-neonate interaction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Music Therapy, 37(4), 250-268. 

  70. Whitehead-Pleaux, A. M., Zebrowski, N., Baryza, M. J., & Sheridan, R. L. (2007). Exploring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ediatric pain: Phase 1. Journal of Music Therapy, 44(3), 217-241. 

  71. Wlodarczyk, N. (2007).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spirituality of persons in an in-patient hospice unit as measured by self-report. Journal of Music Therapy, 44(2), 113-1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