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소 기반 공간메트릭스를 이용한 도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 분석: 대구시를 사례로
Analyzing the Spatial Change of Urban Green Spaces with Cell Based Spatial Metrics : A Case Study of Daegu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3 no.1, 2017년, pp.136 - 150  

서현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전병운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소 기반 공간메트릭스를 활용하여 대구시를 사례로 1989년부터 2009년까지 도시 녹지에 대한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토지피복 변화탐지를 통해 대구시 녹지가 다른 토지피복으로 전환된 유형과 면적 및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국지적 차원의 공간적 변화를 도출할 수 있는 이동창 샘플링을 적용하여 크기, 형태, 응집, 다양성 관련 화소 기반 공간메트릭스를 산출하였으며, 1989년에서 1998년, 1998년에서 2009년까지 공간메트릭스 값의 변화를 차이지도로 시각화하여 종관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대구시 시가지 개발축에 따른 녹지의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횡단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20년 동안 대구시 녹지는 달성군, 성서 및 안심 등과 같은 신시가지의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점차 파편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은 화원 일대의 파편화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그 진행속도에 있어서는 칠곡 일대가 가장 빠르게 변화하였다. 초지는 많은 지역에서 그 면적과 응집지수가 감소하여 파편화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안심 일대의 파편화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구시 녹지의 양적 감소 뿐만 아니라 파편화가 진행된 지역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구시가 친환경적인 도시개발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hange of urban green spaces in Daegu from 1989 to 2009 using cell based spatial metrics. To do so, the conversion process of land covers during the past 20 years was explored using a land cover change detection matrix. The synoptic analysis with a moving window sa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연구지역 전체를 요약하는 하나의 평균값으로 공간메트릭스를 산출하는 샘플링을 적용하지 않는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국지적인 차원의 공간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이동창 샘플링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대구시와 같이 도시화가 상대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든 도시를 사례로 이동창 샘플링에 의한 화소 기반 공간메트릭스를 산출하여 도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 2012). 본 연구는 경관메트릭스 또는 공간메 트릭스를 활용하여 토지이용 및 녹지의 변화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고찰하였다.
  • 대구시는 1995년에 달성군이 편입되면서 행정구역 경계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2009년의 행정구역 경계를 기준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녹지는 식생으로 피복된 토지로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은 환경부 토지피복 분류상 산림과 초지를 의미 하므로 환경부에서 제작한 1989년, 1998년, 2009년 대분류 토지피복도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 공간적 변화를 가장 잘 포착할 수 있는 이동창의 크기를 선정하는 방법으로 이동창 크기에 따른 프랙털 차원 값을 비교하는 방법(Jun, 2016)과 분석 결과의 시각적 차이를 확인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창 크기를 달리한 LPI의 분석 결과에 대한 시각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섯 개의 패치(화소)를 가장 최소의 이동창 크기로 규정하고(Zhang, 2013), 대분류 토지피복도 해상도 30m를 기준으로 150m, 300m, 450m에서 이동창 분석을 수행하여 시각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동창 샘플링 방법을 통해 공간메트릭스를 산출한 실증적 사례가 없으며, 시계열적인 공간메트릭스 변화 값을 차이지도(difference map)로 시각화하여 공간적 변화를 분석한 연구는 국외에서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이동창 샘플링을 적용 하여 산출된 화소 기반 공간메트릭스를 활용하여 1989년부터 2009년까지 도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종관 분석은 샘플링 방법에 따라 공간적 패턴을 도출할 수없는 비표본추출 방법과 공간적 패턴을 도출할 수 있는 이동창 방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동창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차이지도를 제작하여 국지적 차원의 공간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횡단축 분석은 이동창 분석을 통해 도출된 화소 기반 공간메트릭스를 활용하여 시가지 개발축에 따라 공간적 변화를 분석 함으로써 차이지도에서 두드러진 공간적 변화가 나타난 지역을 중심으로 보다 국지적인 녹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세 가지 분석을 종합하여 1989년에서 2009년 동안의 대구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 및 고찰하였다.

가설 설정

  • 하지만 4방향 인접규칙은 사선으로 위치해 있는 셀들은 맞닿아 있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어 별개의 경관요소로 분석된다. 이를 변형하여 사선으로 맞닿은 셀들 즉, 8개의 이웃으로 간주하여 같은 패치의 구성원으로 가정하는 것이 8방향 인접규칙이며(McGarigal et al., 2009), 본 연구에서는 8방향 인접규칙을 활용하여 패치를 정의하였다. 패치의 샘플링은 비표본추출 분석 방법과 이동창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메트릭스란 무엇인가? 도시 내 녹지의 공간적 변화는 도시화에 의한 토지 이용변화에서 기인하므로 이러한 과정을 잘 포착할수 있는 지표의 선정이 필요하다. 일부 연구자들은 경관요소들의 구성과 분포를 기하학적으로 분석해 볼수 있는 경관메트릭스 가운데 도시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는데 적합한 경관메트릭스들을 공간메트릭스(spatial metrics)로 정의하고, 미국과 인도 등에서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된 도시를 사례로 하여 실증적 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Herold et al., 2005; Jain et al.
공간메트릭스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공간메트릭스는 분석 자료의 해상도나 지수를 산출하는 샘플링 방법에 따라 값이 매우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지 않으면 연구지역 전체의 공간적 변화를 하나의 평균 값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국지적인 차원의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간 메트릭스의 샘플링 기법이 제안되었으며(McGarigal, 2014), 그 중 이동창 샘플링 기법이 토지이용 및 녹지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활용되었다(Luck and Wu, 2002; Kong and Nakagoshi, 2006).
이동창 샘플링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간 메트릭스의 샘플링 기법이 제안되었으며(McGarigal, 2014), 그 중 이동창 샘플링 기법이 토지이용 및 녹지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활용되었다(Luck and Wu, 2002; Kong and Nakagoshi, 2006). 이동창 샘플링 방법은 공간메트릭스의 값을 화소별로 도출할 수있기 때문에 국지적인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는데 상당히 유용하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동창 샘플링 방법을 통해 공간메트릭스를 산출한 실증적 사례가 없으며, 시계열적인 공간메트릭스 변화 값을 차이지도(difference map)로 시각화하여 공간적 변화를 분석한 연구는 국외에서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공장표.임현철, 1997, 대구시 용도지역 변경과정에 관한 연구: 도시계획 결정고시문을 중심으로, 환경연구, 16(2), 11-33. 

  2. 권선순.최선희.이상돈, 2012. FRAGSTATS 모델을 이용한 용인시 수지/기흥 도시 녹지 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21(5), 781-787. 

  3. 대구광역시, 2015, 대구 도시관리계획 정비 일부변경. 

  4. 윤은주, 2006, 서울시 도시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민감성 및 변별력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동근.최혜영, 2008, 단계적 변화 분석(gradient analysis)을 적용한 도시화의 공간적 평가, 환경영향평가, 17(6), 357-366. 

  6. 이인성.한재웅, 2001, 1985-2000년의 서울시 녹지잠식 경향의 분석, 국토계획, 36(3), 41-54. 

  7. 이현우.이관규, 2007, 국토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 - 평가체계 정립과 녹지총량관점의 실험평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8. 임수진.김감영, 2016, 수도권 스프롤 양상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628-642. 

  9. 황철수, 2010, 미시적 공간단위 자료를 활용한 토지이용변화 탐색, 국토지리학회지, 44(2), 229-241. 

  10. Amiri, R., Weng, Q., Alimohammadi, A. and Alavipanah, S.K., 2009, Spatial-temporal dynamics of land surface temperature in relation to fractional vegetation cover and land use/cover in the Tabriz urban area, Ira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 2606-2617. 

  11. Benedict, M.A. and McMahon, E.T., 2001, Green Infrastructure: Smart Conservation for the 21st Century, Sprawl Watch Clearinghouse. 

  12. Berling-Wolff, S. and Wu, J., 2004, Modeling urban landscape dynamics: a case study in Phoenix, USA, Urban Ecosystem, 7, 215-240. 

  13. Fan, C. and Myint, S., 2014, A comparison of spatial autocorrelation indices and landscape metrics in measuring urban landscape fragment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1, 117-128. 

  14. Herold, M., Couclelis, H. and Clarke, K.C., 2005, The role of spatial metrics in the analysis and modeling of urban land use change, Computer,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29, 369-399. 

  15. Irwin, E.G. and Bockstael, N.E., 2007, The evolution of urban sprawl: evidence of spatial heterogeneity and increasing land fragment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4(52), 20672-20677. 

  16. Jain, S., Kohli, D., Rao R.M. and Bijker, W., 2011, Spatial metrics to analyse the impact of regional factors on pattern of urbanization in Gurgaon, India, Journal of the Indian Society of Remote Sensing, 39(2), 203-212. 

  17. Jun, B.W., 2016, Effect of grid cell size on the accuracy of dasymetric population esti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3), 127-143. 

  18. Kong, F. and Nakagoshi, N., 2006, Spatialtemporal gradient analysis of urban green spaces in Jinan,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8, 147-164. 

  19. Luck, M. and Wu, J., 2002., A gradient analysis of urban landscape pattern : a case study from the Phoenix metropolitan region, Arizona, USA, Landscape Ecology, 17, 327-339. 

  20. McDonnell, M.J. and Hahs, A.K., 2008, The use of gradient analysis studies in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ecology of urbanizing landscapes: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Landscape Ecology, 23, 1143-1155. 

  21. McGarigal, K., 2014, Fragstats Help, University of Massachusetts. 

  22. McGarigal, K., Tagil, S. and Cushman, S.A., 2009, Surface metrics: an alternative to patch metrics for the quantification of landscape structure, Landscape Ecology, 24, 433-450. 

  23. Schneider, A. and Woodock, C.E., 2008, Compact, dispersed, fragmented, extensive? a comparison of urban growth in twenty-five global cities using remotely sensed data, pattern metrics and census information, Urban Studies, 45(3), 659-692. 

  24. Seto, K.C. and Fragkias, M., 2005, Quantifying spatio-temporal patterns of urban land-use change in four cities of China with time series landscape metrics, Landscape Ecology, 20, 871-888. 

  25. Tian, Y., Jim, C.Y., Tao, Y. and Shi, T., 2011, Landscape ecological assessment of green space fragmentation in Hong Kong,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0, 79-86. 

  26. Turner, M.G., Gardner, R.H. and O'Neill, R.V., 2001, Landscape Ecology in Theory and Practice: Pattern and Process, Springer-Verlag. 

  27. Uuemaa, E., Mander, U. and Marja, R., 2012, Trends in the use of landscape spatial metrics as landscape indicators : a review, Ecological Indicators, 2012, 1-7. 

  28. Zhang, C., Wu, J., Grimm, N.B., McHale, M. and A. Buyantuyev, 2013, A hierarchical patch mosaic ecosystem model of urban landscape: 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Ecological Modelling, 250, 81-100. 

  29. Zhang, S., 2013, Socio-Ecological Drivers and Consequences of Land Fragmentation under Conditions of Rapid Urbanization, Ph.D. Thesis, Arizona State University. 

  30. Zhou, X. and Wang, Y.C., 2011, Spatial-tempor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 in response to rapid urbanization and greening polic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0, 268-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