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 연구에 대한 분석과 성취기준 부합도 평가
Survey the Researches of "Programming Curriculum" and Evaluation with Outcome Criterion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6 no.5, 2017년, pp.235 - 244  

김지수 (가톨릭관동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김정아 (가톨릭관동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이 핵심역량이 되면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래밍 과목의 교육목적은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단순한 컴퓨터 활용 능력과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을 파악하는 수준으로는 달성할 수 없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실생활의 문제 해결을 위한 알고리즘을 작성하고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프로그래밍 영역 교육과정을 강화하였고,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도 마련되었다. 그러나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프로그래밍 교육과정들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이런 교육과정이 성취기준과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연구시 고려할 사항과 교육과정의 운영 결과가 성취기준과 부합하는지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아울러 초 중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에서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ecome core competencies, the main objectives of programming subjects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curriculum is 'computational thinking'. This goal can not be achieved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ming lang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공학’과 ‘기술’을 검색어에서 제외하고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자 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적용 대상별 분석과 사용 도구(언어)별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의 사용과 교육과정의 적용 기간, 교육과정의 검증 방법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성취기준을 통해 바라보며 향후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 성취기준을 만족하는 교과 운영이 되어야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29건의 연구들이 성취기준을 어느정도 만족하는지를 분석하여 각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어느 정도 적용 가능한지를 검증해보았다. 각 대상 연구들이 기준을 만족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Table 5에 정의한 것처럼 동일 성취기준 상 서로 연계된 내용을 하나로 묶어 분류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영역에 대한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5개년의 선행 연구들을 조사한 뒤 적용 대상과 프로그래밍 교육에 사용한 도구, 교수학습 방법, 적용 기간, 교육과정 검증 방법에 대해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 본 논문은 초·중·고등학교의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을 제시한 국내 학술지에 개제된 연구가 그 동안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를 다음 문제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한 첫 단계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초·중·고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영역 교육과정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여 기존 연구들에 대한 진단과 후속 연구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프로그램 교육의 가능성이 높아진 현 시점에서 교과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도 역시 중요하다. 좀 더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 5년간의 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방향과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컴퓨팅 사고력의 정의는? ‘컴퓨팅 사고력’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컴퓨터 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 및 컴퓨팅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생활과 다양한 학문 분야의 문제를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해법을 구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컴퓨팅 사고력’은 ‘추상화(abstraction)능력’과 ‘자동화(automation)능력’, ‘창의·융합능력’을 포함한다.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과제는? 또한, 이를 이용하여 순차, 선택, 반복 구조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하도록 설계 되어 있다. 정보과의 핵심 목표 중 하나인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과제로 실생활 문제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협력 개발의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고등학교 ‘정보’과의 프로그래밍 영역에서 새롭게 도입된 것은? 고등학교 ‘정보’과의 프로그래밍 영역은 텍스트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학습을 기반으로 하여 자료형과 그에 맞는 변수를 활용하고, 다양한 연산자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하도록 되어 있다. 새로운 개념으로 배열과 함수가 등장하며 이를 다양한 학문 분야의 문제 해결을 위한 알고리즘 작성 및 프로그램 구현으로의 응용을 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OE, "General Theory of Curriculum from the elementary to high school and Curriculum of each subject," Notification No. 2015-74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2. D. Shim, "Effects of Learning of Visual Basic and Scratch Programming on the Log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M.S Thesi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12. 

  3. H. Bae, "The Elementary school programming teaching model by problem-based learning,"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9. 

  4. H. Lee, "Effects of using scratch on the fundamental programming concepts learning of professional high school," M.S Thesi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9. 

  5. J. Kim, Y. Lee, and W. Jung, "New pedagogy," KyoYook Book, 1993. 

  6. S. Lee, "Curriculum & Evaluation," YSWPUB, 2013 

  7. K Kwon, Y. Seo, and Y. Lee, "Teaching-Learning System of Problem Based Programming Learning Using Robot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28, No.3, pp.53-65, 2012. 

  8. K. Kim and J. Le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mputational Thinking-Based Programming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9, No.1, pp.27-39, 2016. 

  9. K. Kim and T. Lee, "The Effect of the Object-Oriented Programming Education Using Storytelling Technique on Gifted Children's Logical Thinking Ability,"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pp.27-34, 2013. 

  10. Y. Kim, T. Kim and J. Ki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ming Education Program of Robot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Girls'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9, No.1 pp.31-44, 2015. 

  11. Y. Kim, Y. Jang, I. Yoon, J. Kim and W. Lee, "A Case Study on Course Game Based Elements for Learning Object- Oriented Concept,"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7, No.5, pp.1-13, 2014. 

  12. J. Kim and J. Kim, "Design of Kodu programming Education for Improving Logical Think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pp. 67-71, 2013. 

  13. J. Kim, "Effects of Pair Programming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fficienc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20, No.1, pp. 21-28, 2016. 

  14. J. Kim, "Designing Content Elements of the Programming Curriculum as a Instrumental Subject for Gifted Science High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7, No.4, pp.1-11, 2014. 

  15. H. Kim and H. Lee, "Creative Robot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pp.285-288, 2013. 

  16. C. Yhu and C. Lee, "Effects that Scratch Programming has on Creative Problem-solving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 25, No.1, pp.149-169, 2012. 

  17. W. Moon, "The Application of the Scratch2.0 and the Sensor Board to the Programming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9, No.1 pp.149-158, 2015. 

  18. S. Park and D. Koo, "Development of Learning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Education Robots,"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ternet and Information, No.10, pp.177-178, 2015. 

  19. Y. Park, S. Ahn and Y. Lee, "A Differentiated Instruction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on Programming Education Using Scratch,"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No.2, pp.167-170, 2013. 

  20. J. Park, J. Choi, Y. Seo and Y. Lee, "Designing Robot Programming Lesson Using Leaning Cycle Model,"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No.2, pp.213-216, 2012. 

  21. J. Park, J. Choi, Y. Lee, "Programming education plan for elementary informatics gifted using Scratch 2.0," in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No. 2, pp.219-222, 2013. 

  22. Y. Seo, M. Yeom and J. Kim, "Analysis of Effect that Pair Programming Develope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ity in Elementary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20, No.3, pp.219-234, 2015. 

  23. J. Seo, Y. Kim, J. Kim, B. Jeong and Y. Kim, "Development and Analysis of Creativity,Personality-integrated Programming Education Model for Nurturing Holistic IT Human Resourc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8, No.3, pp.79-91, 2015. 

  24. H. Song and Y. Lee, "Object-Oriented Programming Learning using Robots,"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No.1, pp.111-115, 2013. 

  25. S. An and Y. Lee, "Elementary and Secondary Programming Education Plan Using App Inventor,"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7, No.5, pp.79-88, 2014. 

  26. S. Ah, E. Lee and Y. Lee, "Design of Cooperative Programming Learning Environment Using Scratch 2.0,"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No.2, pp. 171-174, 2013. 

  27. I. Yoo, "Design a Plan of Robot Programming Education Using Tools of Web 2.0,"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8, No.4, pp.499-508, 2014. 

  28. Y. Lee and Y. Seo, "The Robo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choolwide Enrichment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5, No.5, pp.33-41, 2012. 

  29. E. Lee and T. Lee, "Design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hool SW Education Model with Utilizing Entry,"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No.1, pp.43-46, 2015. 

  30. S. Jeon and Y. Lee, "Design of Programming Education with App Inventor," in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No.1, pp.237-240, 2014. 

  31. S. Jeon and Y. Lee, "The Effect of CPS Programming Model on promo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vergent think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5, No.2, pp.1-8, 2012. 

  32. J. Jwon and I. Woo, "The Instructional Model for Robot Programming Using Web2.0 T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8. No.2, pp.345- 356, 2014. 

  33. K. Chae, J. Kim, and T. Kim, "The Instructional Design of Programming based on Discovery Learning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No.1, pp.52-56, 2012. 

  34. T. Hong and S. Jeon, "The Effects of Programming Education with KODU on Problem-Solving Abilities in a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9, No.1, pp.1-10, 2015. 

  35. S, Hwang, J. Choi, and Y. Lee,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Informatics Gifted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Vol.22, No.2, pp.165-168, 2014. 

  36. Y. Chang, "Effects of Pedagogical Robots with Scratch Programming on Creativity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s," M.S Thesis of KunKuk University, 2015. 

  37. H. Song, "Practical Model of Teaching-Learning in context of Constructivism,"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7, No.4, pp.1-22, 20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