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거점공공의료원 중환자부 공간구성 및 면적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Planning of the Intensive Care Units in the Public District Hospitals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3 no.2, 2017년, pp.47 - 61  

윤우용 (International school of Architecture, Qingdao University of Technology) ,  채철균 (Department of Architecture, Kwangwoon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of the intensive care units through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for the standards establishment of the intensive care units in public district hospitals in the future. Methods: Three Methods have been used in this paper. 1) Lit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거점공공병원의 목적은 무엇인가? 현재의 낮은 의료수가 및 환자회전율 등과 같은 경제적 측면을 고려할 때 민간영역에서 중환자치료를 전담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며, 따라서 일정부분 공공영역에서의 역할분담이 요구된다. 지역거점공공병원은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주요 시설유형 중 하나로서 지역사회 기본적인 의료요구를 충족하고 민간병원이 제공하기 어려운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의료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운영된다. 또한 시설 기준상 수술실, 중환자실, 분만실 등을 필수로 갖추어야 하며 의료전달체계 상 2차 급성기 의료기관으로서 취약계층 진료와 공공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지역거점공공병원이 어려움을 겪고있는 이유는? 또한 시설 기준상 수술실, 중환자실, 분만실 등을 필수로 갖추어야 하며 의료전달체계 상 2차 급성기 의료기관으로서 취약계층 진료와 공공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재 다수의 지역거점공공병원의 경우, 시설의 노후화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민간병원과 비교할 때 의료서비스 공급자 역할을 수행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직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의료서비스의 질적 개선과 더불어 지역거점공공병원에 대한 운영 실태와 물리적 환경에 대한 현황조사가 전제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신축 및 리모델링 시 참고 가능한 건축 계획적 측면에서의 가이드라인 수립 또한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지역거점공공병원이 갖추어야할 시설과 역할은? 지역거점공공병원은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주요 시설유형 중 하나로서 지역사회 기본적인 의료요구를 충족하고 민간병원이 제공하기 어려운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의료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운영된다. 또한 시설 기준상 수술실, 중환자실, 분만실 등을 필수로 갖추어야 하며 의료전달체계 상 2차 급성기 의료기관으로서 취약계층 진료와 공공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재 다수의 지역거점공공병원의 경우, 시설의 노후화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민간병원과 비교할 때 의료서비스 공급자 역할을 수행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usHFG, 2014, Australasian Health Facility Guidelines, Part B, 360-INTENSIVE CARE-GENERAL 

  2. A. Valentin et al., 2011, "Recommendations on basic requirements for intensive care Unit: structur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Intensive Care Med 

  3. Cho SH et al., 2003, "The effects of nurse staffing on adverse events, morbidity, mortality, and medical costs", Nurs Res 

  4. College of Intensive Care Medicine, 2011, "MINIMUM STANDARDS FOR INTENSIVE CARE UNIT", College of Intensive Care Medicine 

  5. Dan R. Thompson et al., 2012, "Guidelines for intensive care unit design", Crit Care Med 

  6. Department of Health, 2013, Health Building Note 04-02, "Critical care Unit", Department of Health UK 

  7. Department of Health UK, 1996, "Guidelines on admission to and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and High dependency Unit", Department of Health UK 

  8. Department of Health UK, 2015, Comprehensive Critical Care, Department of Health UK 

  9. FGI, 2014,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ospitals and Outpatient Facilities, FGI 

  10. Graven SN et al., 1997, "Clinical research data illumin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 patient medical outcomes", J Healthc Des 

  11. Kane RL et al., 2007, "The association of registered nurse staffing levels and patient outcom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 Care 

  12. Kang, Chul-Hwan et al., 2009, "The variation in risk adjusted mortality of intensive care units", Korean J Anesthesio Dec; 57(6) 

  13. Kim, Sang-Bok et all., 2004, "A Study on Nosocomial Infection in Intensive Care Unit",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 Kim.Sang-Bok et all., 2004,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Prevention of Nosocomial Infection in Intensive Care Unit",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5. Richard J. Brilli et al., 2001, "Critical care delivery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 Care Med 

  16. The Intensive Care Society, 1997, "STANDARDS FOR INTENSIVE CARE UNIT", The Intensive Care Society 

  17. 김광문 외, 1999, 병원건축, 세진사 

  18. 양내원, 2004, 병원건축 그 아름다운 당연성, 플러스문화사 

  19. 의료법 시행규칙 제34조 

  20. 이용균 외, 2014, "병원의 중환자실 입원료 적정수가 산정연구", 한국병원경영연구원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