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스마트폰 사용이 자기통제력의 매개를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최초 사용시점에 따른 비교
Effects of smartphone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mediation of self-control : Does it matter when to start using smartphone for the first time?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1 no.2, 2017년, pp.247 - 257  

권선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  이수영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이 (1)자기통제력과 (2)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이 (3)자기통제력의 매개를 통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도에 시행된 서울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조사 결과 중에서 중학교 3학년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다집단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스마트폰 사용은 구체적으로 '여가용'과 '학습용'으로 구분하여 자기통제력과 자기주도학습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은 스마트폰 최초 사용 시점을 기준으로 '초등 최초 스마트폰 사용집단'과 '중등 최초 스마트폰 사용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사용시점에 관계없이, '여가용 스마트폰 사용'은 학습자의 자기통제력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용 스마트폰 사용'은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용 스마트폰 사용'은 자기통제력의 매개를 통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학습용 스마트폰 사용'은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how smartphone affects (1)self-control and (2)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iddle-school students, and also affect (3)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mediation of self-control. For these aims, this study used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panel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동발달 초기 스마트폰 사용의 교육적효과 혹은 부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자들 간의 합의를 보이지 못하고 있으나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 기기의 과다 노출은 아동의 발달지체, 과다 비만, 수면 부족,공격성 증가, 전자 기기 중독, 자기 조절 능력 저하 등과 직간접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따라서 스마트폰을 조기 사용한 그룹, 즉 스마트폰 사용기간이 긴 그룹과 다소 늦게 사용하기 시작한 그룹, 즉 사용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그룹 간에 스마트폰 사용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스마트폰 최초 노출 시점의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이 자기통제력의 매개를 통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은 서울교육종단연구 패널 데이터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문항을 ‘여가용’과 ‘학습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이 (1)자기통제력과 (2)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대하여, 또한 (3)자기통제력의 매개를 통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때 스마트폰 사용은 구체적으로 ‘여가용’과 ‘학습용’으로 구분하여 자기통제력과 자기주도학습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설계를 좀 더 구체화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활용을 ‘여가용’과 ‘학습용’으로 구분하여 자기통제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청소년 문제는 청소년의 자기통제력(Self-control), 자기조절(Self-regulation), 혹은 자기주도학습능력(Self-directed learning ability)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며[1][2][14],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과 이들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청소년 문제 파악과 그 해결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소아과학회의 권고 사항은? 한편 스마트폰 사용 시점이 점점 빨라지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유모차에서부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유아들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미국소아과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에서는 아동의 경우 오락용 스크린 사용시간은 하루 1-2시간 이하로 제한해야 하고, 특히 두 살 이하의 아이는 아예 스크린 미디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도록 부모들에게 권고하고 있다. 아동발달 초기 스마트폰 사용의 교육적효과 혹은 부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자들 간의 합의를 보이지 못하고 있으나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 기기의 과다 노출은 아동의 발달지체, 과다 비만, 수면 부족,공격성 증가, 전자 기기 중독, 자기 조절 능력 저하 등과 직간접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 기기의 과다 노출이 아동에게 끼치는 영향은? 유모차에서부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유아들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미국소아과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에서는 아동의 경우 오락용 스크린 사용시간은 하루 1-2시간 이하로 제한해야 하고, 특히 두 살 이하의 아이는 아예 스크린 미디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도록 부모들에게 권고하고 있다. 아동발달 초기 스마트폰 사용의 교육적효과 혹은 부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자들 간의 합의를 보이지 못하고 있으나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 기기의 과다 노출은 아동의 발달지체, 과다 비만, 수면 부족,공격성 증가, 전자 기기 중독, 자기 조절 능력 저하 등과 직간접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따라서 스마트폰을 조기 사용한 그룹, 즉 스마트폰 사용기간이 긴 그룹과 다소 늦게 사용하기 시작한 그룹, 즉 사용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그룹 간에 스마트폰 사용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스마트폰 최초 노출 시점의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폐해는? 그러나 스마트폰이 청소년들 사이에서 대중화 됨에 따라, 스마트폰 과다사용으로 인한 청소년들의 게임중독, 주의력결핍 장애 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15], 이 같은 스마트폰 중독 증세는 학교생활 부적응과 성적저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18]. 또한 청소년의 우울, 공격성, 사회적 관계 같은 심리적 및 사회적측면에도 심각하게 영향을 끼쳐 청소년의 분노조절 장애, 학교폭력 증가, 집단따돌림 등의 청소년 문제의 원인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5][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e-Kyung Kim (2016).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103, 79-106. 

  2. Cho-Yeon Lee (2017).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of the Youth Academic Participation and Effect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3.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4. Daehui Kim, & Phanwoo Park (2016). A Study of E-Book Production Lessons Using SNS Typ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1), 29-38. 

  5. Deok-Mi Hwang (2016). A study on Cyber Verbal Viol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mart phone Social Network Service.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Eunmo Sung, Sung-Hee Jin (2012). The effects of Cell Phone Use According to the Adolescence Gender Differenc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8(4), 389-415. 

  7. Eun-Young Kim, & Shin-il Im (2014). The Recognition of Smartphone Overus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6), 255-279. 

  8. Gae-won Lee (2001). The study on internet addiction of adolescent. A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en's University. 

  9. Gottfredson, M., & Hirs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CA:Stanford University Press. 

  10. Hae-Yeon Cho (2001). A Study on the Juvenile Internet Game Addiction and Personality Traits.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11. Heck, R., Thomas, S. L.(2000). An introduction to multilevel modeling techniques.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2. Hyun-Jin Kim, Hyo-Jung Park, & Hai-Jeong Ahn (2016). A Multi-Group Path Analysis among Smartphone-Internet Addiction, Depression, Aggression, Social Relationships and Violenc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4(1), 77-104. 

  13. Hyun-Mi Nam, & Sun-Wha Ok (2001).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m Self-control and Friends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Problem Behavior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7), 37-58. 

  14. Jae-Bok Song (2014).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ntrol, Anger-Ex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of the Adolescent.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yang University. 

  15. Jin-Oh Choi (2016). Influence of computer/ samrtphone game addiction on ADHD tendency :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leep and dietary problems. The Journal of Practical Education, 29(1), 115-131. 

  16. Jong Cheol Jeong (2014).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silience and Self-Control o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ng-A University. 

  17. Jong Won Kim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Internet?game addiction of middle? high-school students.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nam National University. 

  18. Jong-Mi Moon (2014). Smartphone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Effect of ADHD Tendency.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eimyung University. 

  19. Joohan Kim, Min Kyu Kim, & Sehee Hong (2009). Thesis Writing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 Communications Books, Inc. 

  20.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4). KISDI STAT Report 14-12-01. 

  21.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6). KISDI STAT Report 16-11-15. 

  22. Kyong-Nim Lee (2003).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ption of Communications with Mothers and Self-Control on Game Addic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1), 77-91. 

  2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Korea Press Association (2013). Discussion Resources Book for Creating healthy Smartphone Usage Culture of Adolescent. 

  24. Myoung-ran Kim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control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5. Pintrich, P. R., Smith, D. A. F., Gargia, T., & McKeachie, W. J. (1993).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3(3), 801-813. 

  26. Rowan, C. (2015). Virtual Child: The terrifying truth about what technology is doing to children. Sechelt, BC Canada : Sunshine Coast Occupational Therapy Inc. 

  27. Seok Jin Ju, & Sung Sim Cho (2015). A Study on the Discriminating Factors of Youth's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Daily Average Smartphone Usage Time, Impulsivity, Peer Relationships, Mother's Authoritarianism-rearing Attitudes. Journal of Youth Welfare, 17(1), 97-118. 

  28. Seokjin Ju (2015). The effects of Smart Phone Addiction on University students Adaption to School Life. Youth Culture Forum, 42, 98-127. 

  29. Sung Hwa Jang, & Oc-Jean Kim (2011). The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nd Self-control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dolesc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3), 159-179. 

  30. Yeoung-Mi Kim, & Doo-Beom Kim (2016).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3), 133-162. 

  31. http://imnews.imbc.com/replay/2016/nwdesk/article/3971109_19842.html IMBC News article (2016.5.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