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남부 지역에서 소나무림 벌채 후 형성된 숲 가장자리의 회복 과정
Recovery Process of Forest Edge Formed by Clear-cutting Harvest in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Gangwondo, South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1, 2017년, pp.1 - 9  

김준수 ((주)자연과숲연구소) ,  조용찬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배관호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 벌채 후 형성되는 가장자리 효과의 발생 여부과 회복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생태계 천이와 경관 및 서식지의 공간 영향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필수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관련 주제의 실증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강원 남부 지역의 소나무림 벌채 후 1, 3, 10, 16년이 경과한 장소에 형성된 벌채지 및 임내 가장자리에서 비생물 및 생물 요인의 변화 양상을 선 (20개) 및 방형구 (340개) 조사법을 병용하여 조사하였다. 벌채 후 초기(3년 이내)는 가장 자리에서 인접 숲 내부 방향으로, 15m 깊이까지 식생 피도, 풍부도, 수관 열림도, 그리고 대기 온도 및 습도가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가장자리 형성 이후, 비생물 요인 및 식물 풍부도의 안정화는 각각 10년 및 16년이 소요되었다. 교목종이 초본식물에 비하여 가장자리 환경에서 더 높은 증가 양상을 나타내었고, 교목종의 높은 증가는 하층식생의 동태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벌채에 의한 직 간접적인 서식지 변화는 최소 인접 산림의 15 m에서 20 m까지, 그리고 16년 수준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경관 및 서식지 패치 평가에 필수적인 가장자리 효과의 깊이에 대한 첫 국내 첫 실증 연구자료로 친환경벌채 기준제시 등 활용성이 높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harvest as large scale artificial disturbance makes edge environment in both clear-cutted and forested habitat. To clarify the development and recovery process of forest edge after disturbances is essential to understand vegetation responses and landscape level consequences such as edge-di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림의 벌채 후 생성된 가장자리에서 비생물 및 생물 요인의 변화, 가장자리 효과(edge effect)의 깊이(또는 거리), 그리고 그것의 지속 기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 천이와 경관 및 서식지의 공간 영향을 이해하는 필수 요소는? 큰 규모의 교란으로서 산림 벌채 후 형성되는 가장자리 효과의 발생여부와 회복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생태계 천이와 경관 및 서식지의 공간 영향을 이해하는 필수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Oh et al., 1989; Oh et al.
산림생태학 기초 연구 분야는? , 2005). 벌채로 인한 교란 후 식생천이의 양상과 경로에 대한 연구(Cho et al., 2011; Zang et al.
벌채 지역에 나타난 재생종과 지피식생은? 1 stems·㏊-1)에서 가장 낮았다. 벌채지역에서, 주요 재생종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및 졸참나무 등의 참나무류 및 쇠물푸레나무로 나타났고, 지피식생의 주요 구성종은 큰기름새, 맑은대쑥, 고사리, 가는잎그늘사초 등 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e, K.H., Kim, J.S., Lee, C.S., Cho, H.J., Lee, H.Y. and Cho, Y.C. 2014. Initial development of forest structure and understory vegetation after clear-cut in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uthern Gangwon-do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1): 23-29. 

  2. Baker, J., French, K. and Whelan, R. J. 2002. Bird communities across a natural edge in Southeastern Australia. Ecology 83(11): 3048-3059. 

  3. Barbour, M.G., Burk J.H., Pitts, W.D. and Gilliam, F.S. 1999. Terrestrial Plant Ecology 3rd Ed. Addison Wesley Longman, New York. 

  4. Batary, P. and Baldi, A. 2004. Evidence of an edge effect on avian nest success. Conservation Biology 18: 389-400. doi: 10.1111/j.1523-1739.2004.00184.x 

  5. Chen, J., Franklin, J.F. and Spies, T.A. 1993. Contrasting microclimates among clearcut, edge, and interior of old-growth Douglas-fir forest.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3: 219-237. 

  6. Chen, J., Franklin, J.F. and Spies, T.A. 1995. Growing­season microclimatic gradients from clearcut edges into old­growth douglas­fir forests. Ecological Applications 5(1): 74-86. 

  7. Cho, Y.C., Kim, J.S., Lee, C.S., Cho, H.J., Lee, H.Y. and Bae, K.H. 2011. Early successional change of vegetation composition after clear cutting in Pinus densiflora stands in Souther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2): 240-245. 

  8. Demaynadier, P.G. and Hunter, M.L. 1998. Effects of silvicultural edges on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amphibians in Maine. Conservation Biology 12(2): 340-352. 

  9. Denyer, K., Burns, B. and Ogden, J. 2006. Buffering of native forest edge microclimate by adjoining tree plantations. Austral Ecology 31: 478-489. 

  10. Fox, B.J., Taylor, J.E., Fox, M.D. and Williams, C. 1997. Vegetation changes across edges of rainforest remnants. Biological Conservation 82: 1-13. 

  11. Fraver, S. 1994. Vegetation responses along edge-to-interior gradients in the mixed hardwood forests of the Roanoke River Basin, North Carolina. Conservation Biology 8: 822-832. 

  12. Frazer, G.W., Canham, C.D. and Lertzman, K.P. 1999. Gap light analyzer (GLA), version 2.0: imaging software to extract canopy structure and gap light transmission indices from true-colour fisheye photographs, users manual and program documentation. Simon Frazer University, Burnaby, BC, and the Institute of Ecosystem Studies, Millbrook, NY. 

  13. Gehlhausen, S.M., Schwartz, M.W. and Augspurger, C.K. 2000. Vegetation and microclimatic edge effects in two mixedmesophytic forest fragments. Plant Ecology 147:21-35. 

  14. Honnay, O., Verheyen, K. and Hermy, M. 2002. Permeability of ancient forest edges for weedy plant species invasi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61: 109-122. 

  15. Jose, S., Gillespie, A.R., George, S.J. and Kumar, B.M., 1996. Vegetation responses along edge-to-interior gradients in a high altitude tropical forest in peninsular Indi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87: 51-62. 

  16. Jung, S.G., Oh, J.H. and Park, K.H. 2005. A temporal structur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patterns using landscape indic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2): 145-156. 

  17. Kapos, V. 1989. Effects of isolation on the water status of forest patches in the Brazilian Amazon. Journal of Tropical Ecology 5(2): 173-185. 

  18. Kim, J.S. and Kim, T.Y.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In Korean) 

  19. Korea Forest Service. 2015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www.nature.go.kr/kpni/SubIndex.do (2016.7.1.) (In Korean) 

  20. Lee, T.B. 2004. Color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21. Lee, W.S., Park, K.H. and Kim, D.P. 2008. The analysis of landscape ecological effects of forest by trail-buidling.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2(2): 128-137. 

  22. Lutz, J.A. and Halpern, C.B. 2006. Tree mortality during early forest development: A long-term study of rates, cuases, and consequences. Ecological Monographs, 76(2): 257-275. 

  23. MacNeil, J.E. and Williams, R.N. 2014. Effects of Timber Harvests and Silvicultural Edges on Terrestrial Salamanders. PLoS ONE 9(12): e114683. doi:10.1371/journal.pone. 0114683. 

  24. Magurran, A.E. 2004. Measuring Biological Diversity. Blackwell Publishing, Oxford, UK. 

  25. Marchand, P. and Houle, G. 2006. Spatial patterns of plant species richness along a forest edge: What are their determinan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3: 113-124. 

  26. Matlack, G.R. 1993. Microenvironment variation within and environmental heterogeneity. Vegetatio 84: 1-7. 

  27. Matlack, G.R. 1994. Vegetation dynamics of the forest edgetrends in space and successional time. Journal of Ecology 82: 113-123. 

  28. Moseley, K.R. Ford, W.M. and Edwards, J.W. 2009. Local and landscape scale factors influencing edge effects on woodland salamander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sessment 151: 425-435. doi: 10.1007/s10661-008-0286-6. 

  29. Nelson, C.R. and Halpern, C.B. 2005. Edge-related responses of understory plants to aggregated retention harvest in the pacific northwest. Ecological Applications 15(1): 196-209. 

  30. Oh, K.K, Jee, Y.K., Shim, H.Y. and Kim, S.H. 2005. Monitoring the development precess of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I).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9(3): 258-268. 

  31. Oh, K.K., Kwon, T.H. and Yang, M.Y. 1989.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Kaya mountai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3(1): 51-69. 

  32. Raynor, G.S. 1971. Wind and temperature structure in a coniferous forest and a contiguous field. Forest Science 17(3): 351-363. 

  33. Ries, L., Fletcher Jr, R.J., Battin, J. and Sisk, T.D. 2004. Ecological responses to habitat edges: mechanisms, models, and variability explained.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491-522. 

  34.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The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27: 379-423 and 623-656. 

  35. Williams-Linera, G. 1990. Vegeta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forest edges in Panama. Journal of Ecology 78 (2): 356-373. 

  36. Zang, M., Kim, J.S., Cho, Y.C., Bae, S.W., Yun, C.W., Byun, B.K. and Bae, W.H. 2013. Initial responses of understory vegetation to 15% aggregated retention harvest in mature oak (Quercus mongolica) forest in Gyungsangbukdo.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2): 239-2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