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선단지 예찰 기법: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 for Forecasting Pine Wood Nematode in Boundary Area: A Case Study of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1, 2017년, pp.100 - 109  

김명준 ((주)산림환경공간기술연구소) ,  방홍석 ((주)산림환경공간기술연구소) ,  이준우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 소나무재선충병(PWN) 피해지의 선단지에 대해서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예찰 및 방제사업 지원을 실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선단지를 중심으로 2016년 2월 15일부터 약 2주간 6개 구역 총 2,284 ha의 면적에 대해 무인항공 촬영을 실시하여 GSD (Ground Sample Distance) 12 cm의 고품질 정사영상 6매를 제작하였다. 정사영상을 바탕으로 1차 피해 의심목 분류를 실시한 결과 총 423본이 분류되었다. 그러나 촬영시기의 계절적 특성, 임상의 다양성 등의 문제로 인해 적중률이 낮아짐에 따라 1차 분류 결과와 스냅사진, 비행정보 등을 활용하여 2차 재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피해 의심목 423본 중 231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231본에 대해 대상지별 주제도를 제작하고 GNSS 등을 이용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 23본의 피해 의심목을 추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추출된 23본에 대해 시료를 채취하여 관련기관에 검증을 의뢰한 결과 23본 모두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활엽수림 14본, 침엽수림 4본, 소나무림 3본, 리기다소나무림 2본 등 다양한 임상에서 피해목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항공촬영에서부터 현장조사까지의 과정에 대해 효율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2.3인의 인력으로 6일에 걸쳐 수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preliminary survey and management support for Pine Wood Nematode (PWN) suppression. We took areal photographs of 6 areas for a total of 2,284 ha during 2 weeks period from 15/02/2016, and produced 6 ortho-images with a high resolution of 12 cm GSD (Ground Sample Dista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의 확보 어려움, 항공예찰의 자료수준, 지상예찰의 제약사항 등을 극복하고자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위치좌표를 갖고 있는 정사영상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봄철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시기를 고려한 신속한 예찰을 위해 효율적인 영상분류 방법을 통해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적중률을 평가하여 무인인항공기를 활용한 소나무재선충병 선단지 예찰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의 확보 어려움, 항공예찰의 자료수준, 지상예찰의 제약사항 등을 극복하고자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위치좌표를 갖고 있는 정사영상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봄철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시기를 고려한 신속한 예찰을 위해 효율적인 영상분류 방법을 통해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적중률을 평가하여 무인인항공기를 활용한 소나무재선충병 선단지 예찰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소나무재선충병 선단지에 대해서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촬영, 정상영상 제작, 영상분류 및 필터링, 현장조사 기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일원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역 선단지를 중심으로 항공예찰을 실시하고 현장검증을 실시하였다. 항공촬영을 위한 대상지 선정은 피해지역을 중심으로 반경 약 2∼3 km 떨어진 지점 1 km 범위 내에서 대상지를 선정하였으며, 총 6개 지역 2,284 ha에 대한 항공예찰을 실시하였다.
  • 또한, 봄철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시기를 고려한 신속한 예찰을 위해 효율적인 영상분류 방법을 통해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적중률을 평가하여 무인인항공기를 활용한 소나무재선충병 선단지 예찰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소나무재선충병 선단지에 대해서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촬영, 정상영상 제작, 영상분류 및 필터링, 현장조사 기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상예찰의 단점은? 현재 소나무재선충병 선단지에 대한 예찰은 주로 지상 예찰 및 항공예찰을 통해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에 대한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지상예찰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항공예찰은 위치좌표를 갖는 자료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황파악 수준에서 실시되는 단점 있다. 또한, 위성 영상의 경우 관련기관의 협조와 더불어 주기가 비교적 길고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원하는 시기의 영상을 확보하는데 제약사항이 있다.
소나무재선충병 예찰을 실시할 경우 소나무 및 잣나무가 포함되어 있는 임지에 대해서 면밀한 예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근거는? 소나무재선충병 확진이 확인된 대상지의 임상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을 포함하여 활엽수림, 침활혼효림, 리기다소나무림 등 다양한 임상에서 피해목이 검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소나무재선충병 예찰을 실시할 경우 소나무 및 잣나무가 포함되어 있는 임지에 대해서 면밀한 예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예찰을 위한 위성 영상 확보가 어려운 이유는? 그러나 지상예찰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항공예찰은 위치좌표를 갖는 자료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황파악 수준에서 실시되는 단점 있다. 또한, 위성 영상의 경우 관련기관의 협조와 더불어 주기가 비교적 길고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원하는 시기의 영상을 확보하는데 제약사항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ndea, H., Cina, A., Piras, M., Marucco, G. and Mulassano, P. 2010. Posizionamento indoor con ricevitori a basso costo: quali prestazioni, 14a Conferenza nazionale ASITA Brescia, Italy. pp. 5. 

  2. Hoffer, R.M., Linden, D.S. and Pasdhke, J.L. 1995. Integration of GIS, GPS and remote sensing for inexpensive assessment of forest insect damage. 1995. ACSM/ASPRS Annual Convention & Exposition Technical Papers (Charlotte. NC) 3: 571-578. 

  3. Jo, M.H., Kim, J.B., Oh, J.S., Park, S.J. and Kwon, S. 2001a. Extraction method of damaged area by Bursaphelenchus xylophilus using satellite image and GI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4: 62-69. 

  4. Jo, M.H., Kim, J.B., Oh, J.S. and Lee, K.J. 2001b. Extraction method of damaged area by Pine tree Pest (Bursaphelenchus xylophilus) using high resolution IKONOS ima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4(4): 72-78. 

  5. Kelly, M. 2002. Landscape dynamics of the spread of sudden oak death, Photogra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68(10): 1001-1009. 

  6. Kim, D.S., Lee, S.M., Chung, Y.J., Choi, K.S., Moon, Y.S. and Park, C.G. 2003. Emergence ecolog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nmus alternatus(Coleoptera: Cerambycidae), a vector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42(2): 307-313. 

  7. Kim, J.B., Kim, D.Y. and Park, N.C. 2010. Development of an aerial precision forecasting techniques for the pine wilt disease damaged area based on GIS and GP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13(1): 28-34. 

  8. Kim, M.I., Lee, W.K. Kwon, T.H. Kwak, D.A. Kim, Y.S., and Lee, S.H. 2011. Early detecting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DI(Detection Index) from portable near unfrared camer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 374-381. 

  9. Kim, S.R., Lee, W.K., Nam, K.J., Song, Y.H., Yu, H.N., Kim, M.I., Lee, J.Y. and Lee, S.H. 2013. Investigation into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trees infoected by pine wilt diseas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4): 499-505. 

  10. Kim, D.I., Song, Y.S., Kim, G.H. and Kim, C.W. 2014.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AV for Korean land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2(1): 29-38. 

  11. Kim, M.J., Bang, H.S. and Lee, J.W. 2016. Evaluation of the positioning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on forest resources using UAV. Korean Society of Forest Engineering 14(1): 21-32. 

  12. Korea Forest Service. 2014. Availability evaluation of UAV for damaged area by pine wilt disease. pp. 171. 

  13. Lee, J.B., Kim, E.S. and Lee, S.H. 2014. An analysis of spectral pattern for detecting pine wilt disease using ground-based hyperspectral camer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5): 665-675. 

  14. Lehmann, J.R., Nieberding, F., Prinz, T. and Konth, C. 2015. Analysis of unmanned aerial system-based CIR images in forestry―a new perspective to monitor pest infestation levels. Forests 2015(6): 594-612. 

  15. Lin, Z. 2008. UAV for mapping-low alttitude photogrammetric survey,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XXXVII, Part B1, Beijing. pp. 1183-1186. 

  16. Nagai, M., Chen, T., Shibasaki, R., Kumagai, H. and Ahmed, A. 2009. UAV-borne 3-D mapping system by multisensor integratio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7(3): 701-708. 

  17. Nasi, R., Honkavaara, E., Lyytikainen-Saarenmaa, P., Blomqvist, M., Litkey, P., Hakala, T., Viljanen, N., Kantola, T., Tanhuanpaa, T. and Holopainen, M. 2015. Using UAVbased photogrammetry and hyperspectral imaging for mapping bark beetle damage at tree-level. Remote Sensing 7(11): 15467-15493. 

  18. Guo, Q., Kelly, M. and Graham, C.H. 2005. Support vector machines for predicting distribution of sudden oak death in California. Ecological Modeling 182: 75-90. 

  19. Son, M.H., Lee, W.K., Lee, S.H., Cho, H.K. and Lee, J.H. 2006. Natural spread pattern of damaged area by pine wilt disease using geo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3): 240-249. 

  20. Turner, D., Lucieer, A. and Wallace, L. 2014. Direct georeferencing of ultrahigh-resolution uav imagery.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52(5): 2738-2745. 

  21. Van Bezooijen, J. 2006. Methods and techniques for nematology. Wageningen: Wageningen University. pp.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