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인항공기(UAV) 영상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의심목 탐지
Detection of Damaged Pine Tree by the Pine Wilt Disease Using UAV Image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5 no.3, 2019년, pp.359 - 373  

이슬기 (강원대학교 통합과학전공) ,  박성재 (강원대학교 통합과학전공) ,  백경민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김한별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이창욱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 소나무림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는 질병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재선충병의 고사목 관측은 현장조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물리적, 경제적 문제가 있어 대규모 삼림을 관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이 재발한 지역에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하였다. 이후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Support Vector Machine(SVM) 감독분류 기법을 통해 소나무재선충병 의심목을 탐지하였고. 감독분류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접근성이 높은 산림에 대해 감독분류를 실시한 후 현장 조사 결과간의 비교를 통해 정확도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rsaphelenchus xylophilus(Pine wilt disease) is a serious threat to the pine forest in Korea. However, dead wood observation by Pine wilt disease is based on field surve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bserve large-scale forests due to physical and economic problems. In this paper, high resolution...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오차 행렬을 통한 정확도 산출 방법은 분석자가 취득한 자료를 검증자료로써 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취득한 자료의 왜곡 등의 요인으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감독 분류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 더 정확한 검증 방법인 현장 조사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소나무재선충병 산림 지역의 경우 표본이 적고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산림을 선정하여 감독 분류 후 현장 조사를 시행하였다.
  • 하지만 현장 조사는 험준지 등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많이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 조사가 가지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무인항공기 기반의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감독 분류 기법을 적용한 소나무재선충병 탐지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고해상도 산림 영상을 획득하고, ANN과 SVM을 이용하여 감독 분류를 수행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 지표의 정보에는 축적 의존성이 있어 정보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해상도가 존재하며(Ku, 2011), 소나무재선충병 의심목을 판독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산림의 가시 영상을 획득하고, 그 영상을 기반으로 소나무재선충병 의심목을 분류하고자 한다. 소나무재선충병 의심목은 수분과 양분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잎의 색이 갈변되는 특징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고화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의심목을 탐지하고,감독 분류를 동해 소나무재선충병을 탐지하고자 한다. 또한 본연구결과의 정확도를 도출하고 현장 조사를 통해 감독 분류 및 정확도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 , 2011; Lee and Park, 2019)등 산림 조사 및 분석을 위한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의 검증을 위해 신뢰도가 검증된 현장 조사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에 따라 본연구결과의 검증을 위해 현장 조사를 시행하고, 감독 분류 결과와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연구지역의 경우 표적 표본이 적고 접근이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전파 알고리즘(Back-Propagation on Algorithm)의 기대효과는? 두 번째 단계는 목표 출력과 첫 번째 단계에서의 출력 차이를 계산하여 오차를 계산하고 각 층의 가중치와 바이어스를 갱신하는 것이다. 갱신한 가중치와 바이어스를 이용하여 다시 전 방향으로 출력하게 되면 첫 번째 단계에서 얻은 출력보다 오차가 적어진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계산 값과 실제 값의 차이를 최소화 시키는 분류를 진행하는 방법이다(Robert, 1992).
소나무재선충병이란? 산림 병해 중 하나인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 소나무림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질병이다. 소나무 재선충을 보유한 매개충(북방수염하늘소, 솔수염하늘소 등)이 나무 사이를 이동하며, 나무를 섭취할 때 소나무 재선충이 나무 조직 내부로 침입 및 증식하여 뿌리로부터 올라오는 수분과 양분 이동을 방해하여 나무를 말라 죽게 하는 병이다(Kim et al., 2003).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원격탐사의 장점은 무엇인가? , 2017). 특히,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원격탐사는 신속성, 동시성을 가지며 소규모 지역에 대해 고해상도 영상자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장소에 대하여 더욱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Choi et al., 2011;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ek, K.H., 2005. Forest pest division and pine wilt disease, Proc. of Busan Development Forum, Busan, vol. 2005, no. 96, pp. 88-89. 

  2. Baek, W.K., S.H. Park, N.K. Jeong, S.K. Kwon, W.J. Jin, and H.S. Jung, 2017. A study for the techniques and applications of NIR remote sensing based on statical analyses of NIR-related paper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5): 889-9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K.H., J. Heo, J.H. Jung, C.J. Kim, and K.M. Kim, 2011. Review and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biomass estimation using remotely sensed data: from five different perspectives,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19(1): 87-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K.A., J. Lee, and I. Lee, 2011. Development of a close-range real-time aerial monitoring system based on a low altitude unmanned air vehicle,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19(4): 2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Y.R., J.S. Lee, and H.C. Yun, 2015. Extraction of forest resources using high density LiDAR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 Geodesy Photogrammetry, 33(2): 73-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ortes, C. and V. Vapnik, 1995. Support-vector networks, Machine Learning, 20(3): 273-297. 

  7. Ha, S.R., C.K. Kyoung, S.Y. Park, and D.H. Park, 2002. Estimation of classification accuracy of JERS-1 satellite imagery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method and size of training reference dat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1): 27-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eon, Y.J. and J.I. Kim, 2003. Supervised classification systems fo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9(3): 301-3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ung, Y.J., 2015. Pine wood nematode,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 124-128. 

  10. Kadavi, P.R. and C.W. Lee, 2018. Land cover classification analysis of volcanic island in Aleutian arc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from landsat imagery, Geosciences Journal, 22(4): 653-665. 

  11. Kim, D.I., Y.S. Song, G. Kim, and C.W. Kim, 2014.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AV for korean land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2(1): 29-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D.S., S.M. Lee, Y.J. Chung, K.S. Choi, Y.S. Moon, and C.G. Park, 2003. Emergence ecolog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a vector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42(4): 307-3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M., W.K. Lee, T.H. Kwon, D.A. Kwak, Y.S. Kim, and S.H. Lee, 2011. Early detecting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DI (detection index) from portable near infrared camer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 374-3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M.J., H.S. Bang, and J.W. Lee, 2017.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 for forecasting pine wood nematode in boundary area: a case study of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6(1): 100-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S.R., E.S. Kim, Y. Nam, W.I. Choi, and C.M. Kim, 2015.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pine wilt disease using time series hyperspectral aerial imager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5): 385-3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Y.S., W.K. Lee, S.E. Jung, T.H. Kwon, and J.B. Kim, 2009. Early diagnosis of pine wilt disease with agricultural digital camera, Proc. of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Seoul, Korea, Aug. 19, vol. 2009, pp. 388-3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orea Forest Service, 2016, National forest inventory repor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192. 

  18. Ku, C.Y., 2011. A study on managing and processing the images with different spatial resolution for the systemic land cover classification,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5(3): 375-3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C.M., T.H. Lim, S.M. Lee, I.S. Mun, S.S. Han, and D.W. Lee, 2015. Nematicidal and reproduction supression activity of actinomyces isolates against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Korean Journal Pesticide Science, 19(2): 141-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D.K., J.E. Ryu, E.Y. Kim, and S.W. Jeon, 2008. Analysis of forest structure using lidar data - a case study of forest in Namchon-dong, Osa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ment, 17(5): 279-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H.J., J.H. Ryu, S.R. Yand, and D.S. Koo, 2011. Extraction forest information by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lidar data for calculate forest biomass, Proc.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Symposium, Ilsan, Korea, Oct. 28, pp. 99-100. 

  22. Lee, K.W. and J.K. Park, 2019. Economic evalu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for forest pest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 440-4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Murmu, S. and S. Biswas, 2015. Application of fuzzy logic and neural network in crop classification: a review, Aquatic Procedia, 4: 1203-1210. 

  24. Pakhale, G.K. and P.K. Gupta, 2010. Comparison of advanced pixel based (ANN and SVM) and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approaches using landsat-7 Etm+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2(4): 245-251. 

  25. Paola, J.D. and R.A. Schowengerdt, 1995. A review and analysis of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s for classification of remotely-sensed multi-spectral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6(16): 3033-3058. 

  26. Park, T.J., W.K. Lee, M.I. Kim, and G.S. Cui, 2011. Application proposal of remotely sensed data for scale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forest volume from National Forest Inventory, Proc.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Symposium, Ilsan, Korea, Oct. 28, pp. 197-200. 

  27. Robert, H.N., 1992. Theory of the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Neural Networks for Perception Computation, Learning, and Architectures, Academic Press, MA, USA. 

  28. Smola, A.J. and B. Scholkopf, 2004. A tutorial on support vector regression, Statistics and Computing, 14(3): 199-222. 

  29. Story, M. and R.G. Congalton, 1986. Accuracy assessment: a user's perspective,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2(3): 397-399. 

  30. Vapnik, V.N., 1995. The Nature of Statistical Learning Theory, Springer New York, NY, USA. 

  31. Xiu, L.N. and X.N. Liu, 2003.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processing in remote sensing, Remote Sensing Technology and Application, 18(5): 339-345. 

  32. Yim, J.S., W.S. Han, J.H. Hwang, S.Y. Chung, H.K. Cho, and M.Y. Shin, 2009.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based upon satellite data and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5(4): 311-3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Yuan, H., D.W.C. Vanand, and S. Khorram, 2009. An automated artificial neural network system for land use/land cover classification from Landsat TM imagery, Journal of Remote Sensing, 1(3): 243-265. 

  34. Zhao, B.G., K. Futai, J.R. Sutherland, and Y. Takeuchi, 2008. Pine Wilt Disease, Springer Japan, Tokyo, Jap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