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ss 확산모형을 활용한 국내 주택연금의 중·장기 수요예측
Long-Term Projection of Demand for Reverse Mortgage Using the Bass Diffusion Model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v.42 no.1, 2017년, pp.29 - 41  

양진아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  민대기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  최형석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is expect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by 2050. Given an ag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ing pressure for the early retirement, a sufficient social safety net for elderly population becomes important.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public reverse mortgage program in 2007, which is a pr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bar{\theta}\)20(20년 이후)와 \(\bar{\theta}\)30(30년 이 후)인 경우 잠재시장규모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연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불확실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30년 후보다는 20년 후 잠재시장규모의 하한 값과 상한 값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제시한다.
  • 또한 주택연금은 유사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등 잠재시장규모를 추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택연금 가입자의 수요예측을 위해 주택연금의 잠재시장규모를 추정하기 위한 방안과 함께 NLS 기법과 OLS 기법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모수 추정 방법을 주택연금의 특성에 맞도록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계획기간 δ 이후의 가입대상 규모를 추정하므로 현재의 연령 대신 계획기간 이후의 연령이 60세 이상이 되는 가구를 고려하도록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 분야에서 신제품 및 신기술의 중·장기 수요예측에 많이 사용되는 Bass 확산모형(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국내 주택연금 가입자의 잠재시장규모와 함께 가입자 증가 추세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미래 잠재시장규모를 추정함에 있어 현재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구조와 생존율을 반영하여 미래 인구구조의 변화를 고려한다. <표 2>에 제시된 수식 표기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잠재시장규모 추정 절차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주택연금 잠재시장규모 절차를 적용한 가입 가능 대상자의 상한 값과 하한 값의 변화 결과는 에 제시되었다.
  • 이번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택연금 가입자 추정모형을 이용하여 제시한 가입자 규모가 노후 소득보장이라는 주택연금 제도의 목적과 보증자의 재정 부담이라는 측면에서 갖는 의미를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주택 연금과 유사한 상품이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으며, 다른 나라의 역모기지 상품 수요자료 또한 국가가 갖는 경제·제도적 특성의 상이함에 따라 직접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택연금 가입자의 잠재시장규모를 추정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한다.

가설 설정

  • 예를 들어, p1,10와 p3,4는 각각 10세와 34세 연령의 인구 수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통계청의 인구자료는 연령대별 인구자료만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연령별 인구 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연령대 i에서 연령별 인구 수 비중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pi,j=pi/10과 같이 계산된다.
  • di,j를 연령별 사망률이라 하고, 계획기간 δ를 적용하는 경우 계획기간 후 생존 인구 수 \(\bar{P}_{i,j}\)는 =pi,j(1-di,j)δ와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매년 연령 별 사망률은 di,j로 언제나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ass 확산모형을 활용한 주택연금의 잠재시장규모 예측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17%로 비교적 적정한 예측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잠재시장규모에 따라서 20년 후 주택연금 가입자 규모는 736,785~1,098,931가구로,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추정한 잠재수요에 비해 5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주택연금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향후 7년간 약 28%의 연평균 성장률로 성장하여 약 20년 후 정부의 공적 부담 규모는 연간 약 1,700억에 서 1,800억 정도로 추정되었다.
주택연금이란 무엇인가? 공적보증을 통한 주택연금 (또는 역모기지; reverse mortgage)은 고령화에 따른 대안 중 하나로 2007년 7월 출시되었다.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상환을 보증하는 주택연금이란 주택을 소유한 만 60세 이상 가구가 주택을 담보로 매월 일정 금액을 지급받음으로써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보증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금융기관이 대출을 실행하는 제도이다. 주택연금의 경우 1995년 민간 은행에서 처음으로 출시된 이래로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중단되었으나, 한국주택금융공사의 공적 보증을 통해 다시 활성화 되었다.
보증자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주택연금의 특징은 무엇인가? 주택연금은 가입자의 사망 또는 해지 시점까지 장기간에 걸쳐 대출이 실행되기 때문에 보증자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불확실성이 높고 리스크(risk)가 큰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 주택연금은 기대손실액과 기대보험료가 동일한 수지상등의 원칙에 따라 설정이 되나 시간경과에 따른 경제적인 요인 및 가입자의 특성에 따라 보증자의 순손실 발생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성호, 국민의 노후준비 및 사적연금 가입 실태 조사, 보험금융연구, 2015. 

  2. 김갑태, 마승렬, "주택가격과 금리 시계열의 순환주기와 역모기지 리스크", 보험개발연구, 제17권, 제2호(2006), pp.61-97. 

  3. 김상현, 서정렬, "고령화에 따른 주택연금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실태연구", 부동산학 연구, 제17권, 제4호(2011), pp.45-58. 

  4. 김선주, 유선종, "역모기지 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2006), pp.125-146. 

  5. 김정주, 마승렬, "역주택저당대출 수요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2011), pp.207-225. 

  6. 김정주, "역모기지 수요 변화의 결정요인 분석 과 정책적 시사점", 서울도시연구, 제14권, 제2호(2013), pp.13-33. 

  7. 김태구, 홍정식, "한국과 미국에 있어 영화 수익 관련 통계량과 확산 현상의 비교분석", 경영과학, 제32권, 제1호(2015), pp.133-145. 

  8. 마승렬, "역모기지의 VaR 추정 및 리스크완화 방안", 리스크 관리연구, 제17권, 제2호(2006), pp.103-133. 

  9. 마승렬, 주택연금의 리스크 평가 및 향후 관리 방향, 부동산포커스, 2012. 

  10. 민인식, 조만, "역모기지의 Cross-over Risk와 잠재수요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제17권, 제3호(2009), pp.161-187. 

  11. 박덕배, "주택연금 성장의 제약 요인과 시사점-공유형 역모기지 도입 필요", 이슈리포트, 제14권, 제31호(2014), pp.1-16. 

  12. 박윤서, 변상규, "시장 출시 전 신상품 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 위성 DBM 사례를 중심으로", 경영과학, 제23권, 제3호(2006), pp.41-61. 

  13. 박재경, "2010년도 주택연금 수요실태조사", 주택금융월보, 2010. 

  14. 송영화, 한현수, "혁신채택 및 확산이론의 통신 방송융합(위성 DMB) 서비스 수요추정 응용", 경영과학, 제22권, 제1호(2005), pp.179-197. 

  15. 안상모, 이종아, 정준호, "주택연금 상품 선택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주택연구, 제21권, 제1호(2013), pp.127-154. 

  16. 양재환, 여윤경, "주택연금의 최적 수요자 계층분석을 통한 장수리스크 완화 효과에 관한 연구", 금융연구, 제28권, 제4호(2014), pp.33-62. 

  17. 유선종, 조주현, "일본의 역저당제도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3권, 제4호(1998), pp.105-122. 

  18. 이동욱, 정부 R&D 투자 특성 분석을 위한 성장 모형 적용 방안 탐색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19. 이태리, 박천규, 전성애, 역모기지 시장 활성화 를 위한 주택연금의 발전방향, 국토정책 Brief, 2014. 

  20. 이하늘, 김대희, 강지석, 이동환, 김윤배, "Bass 모형을 통한 WIPI 정책의 영향 분석 : 스마트 폰 시장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 제 22권, 제4호(2015), pp.1-18. 

  21. 최형석, 역모기지 수요증가에 따른 대응방안, 부동산포커스, 2011. 

  22.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연금 수요실태, 주택금융월보, 2008. 

  23. 홍정식, 김태구, 구훈영, "NLS와 OLS의 하이 브리드 방법에 의한 Bass 확산모형의 모수추정", 대한산업공학회지, 제37권, 제1호(2011), pp.74-82. 

  24. Bass, F.M., "A New Product Growth Model for Consumer Durables," Management Science, Vol.15, No.5(1969), pp.215-227. 

  25. Bass, F.M., "A New Product Growth Model for Consumer Durables," Management Science, Vol.50, No.12(2004), pp.1825-1832. 

  26. Bass, F.M., "Comments on a new product growth for model consumer durables the bass model," Management Science, Vol.50 (2004), pp.1833-1840. 

  27. Boehm, T.P. and M.C. Ehrhardt, "Reverse mortgages and interest rate risk," Real Estate Economics, Vol.22, No.2(1994), pp.387-408. 

  28. Case, B. and A.B. Schnare,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HECM reverse mortgage program," Journal of American Real Estate and Urban Economics Association, Vol.22, No.2(1994), pp.301-346. 

  29. Chang, H.-C. and C.-Y. Wang, "A preliminary forecasting with diffusion models : Twitter adoption and Hashtags diffusion," The 11th International DSI and the 16th APDSI Joint Meeting, Taipei, Taiwan, 2011. 

  30. Huang, H.C., C.W. Wang, and Y.C. Miao, "Securitisation of crossover risk in reverse mortgages," The Geneva Papers on Risk and Insurance-Issues and Practice, Vol.36, No.4(2011), pp.622-647. 

  31. Lim, J., C. Nam, S. Kim, H. Rhee, E. Lee, and H. Lee, "Forecasting 3G mobile subscription in China : A study based on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and a Bass diffusion model,"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36, No.10(2012), pp.858-871. 

  32. Rogers, E.M., Diffusion of innovation, New York, 1962. 

  33. Schmittlein, D.C. and V. Mahaja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an innovation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acceptance," Marketing Science, Vol.1, No.1(1982), pp.57-78. 

  34. Srinivasan, V. and C.H. Mason, "Technical note-nonlinear least squares estimation of new product diffusion models," Marketing Science, Vol.5, No2(1986), pp.169-178. 

  35. Van den Bulte, C. and G.L. Lilien, "Bias and systematic change in the parameter estimates of macro-level diffusion models," Marketing Science, Vol.16, No.4(1997), pp.338-353. 

  36. Wan, H., G. Daniel, and K. Paul, An Aging World : 2015. U.S. National Institute on Aging, 2016. 

  37. Wang, L., E.A. Valdez, and J. Piggott, "Securitization of longevity risk in reverse mortgages," North American Actuarial Journal, Vol.12, No.4(2008), pp.345-371. 

  38. Wright, M., C. Upritchard, and T. Lewis, "A validation of the Bass new product diffusion model in New Zealand," Marketing Bulletin, Vol.8(1997), pp.15-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