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판염전 결정지 내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다양성 및 Culturomics법을 이용한 고도 호염균의 분리
Phylogenetic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ies in a gray solar saltern and isolation of extremely halophilic bacteria using culturomic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3 no.1, 2017년, pp.29 - 38  

조건영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한송이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황경숙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토판염전 결정지에 서식하는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다양성을 분석하고 culturomics법에 기반하여 고도 호염균의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토판염전 내 세균밀도를 조사한 결과, 직접검경법에 의한 생균수는 평판배양법에 비해 $10^3{\sim}10^4$ 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어 배양이 곤란한 세균(viable but non-culturable bacteria, VBNC)이 다수 존재해 있음으로 판단되었다. 토판염전 결정지 내 세균군집 다양성 해석을 위해 배양비의존적 방법인 pyrosequencing 분자기법을 이용하였다. 세균군집의 경우 1,778 OTUs, 다양성 지수 6.16로 나타났으며, 18문46강85목140과 243속으로 확인되었다. Archaea군집은 643 OTUs, 다양성 지수 4.95로 3문6강7목7과 38속이 분포해 있음이 확인되었다. 고도 호염균 생육에 적합한 배양배지 및 배양조건을 고려한 총 59가지의 다양한 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137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분리된 고도호염균의 16S rRNA 유전자 분석결과, 총4문11속의 다양한 계통군으로 확인되었으며 호염성 archaea 계통군 Haloterrigena 속과 haloferax 속이 culturomics법을 통해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 고도 호염균 다양성 확보를 위해 culturomics법이 매우 효과적임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logenetic diversity of the bacterial community and isolation of extremely halophilic bacteria using culturomics in a gray solar saltern. The number of bacterial living cells, enumerated in a gray solar saltern by direct fluorescence microscopy was three to fou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pyrosequencing분자기법을 이용하여 밝힌 토판염전 결정지 내 세균군집의 특성을 국내 장판염 천일염전 결정지 내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Kim, 2012; Park and Lee, 2015) 결과와 비교・검토하였다. 토판염전 결정지 내 세균군집의 종 다양성 지수는 6.
  • 본 연구에서는 토판염전 결정지에 서식하는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다양성을 분석하고 culturomics법에 기반하여 고도 호염균의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토판염전 내 세균밀도를 조사한 결과, 직접검경법에 의한 생균수는 평판배양법에 비해 103~104 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어 배양이 곤란한 세균(viable but non-culturable bacteria, VBNC)이 다수 존재해 있음으로 판단되었다.
  • 갯벌을 단단하게 다진 판 위에 여러 단계의 증발지를 거친 고농도 염분이 농축된 함수를 가두고 증발시켜 소금을 생산하는 토판염전 결정지는 해수유래 미생물과 갯벌(토양)유래 미생물이 공존 하고 있는 생태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판염전결정지에 서식하는 세균 밀도를 조사하였다. 전세균수(total direct count; TDC)는 핵산에 친화성이 가장 우수한 EtBr을 이용하여 결정지시료를 염색한 후 형광현미경하에서 직접 검경한 결과, 3.
  • 해수유래 미생물과 갯벌(토양) 유래 미생물이 공존하고 있는 토판염전의 특수한 생태계 내 미생물군집 특성에 관한 정보는 매우 미흡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를 끌어올려 6단계의 증발지를 거쳐 고농도 함수를 증발시킨 후 소금을 생산하는 토판염전 결정지의 토양생태계에 분포하는 세균군집구조를 차세대 시퀀싱(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iques; NGS) 분자기법을 이용하여 계통해석하고, 고도 호염성 세균 생육에 적합한 다양한 배양배지와 배양 조건을 적용한 대규모 배양법인 culturomics법(Lagier et al., 2012)으로 고도 호염성 세균 다양성을 확보하여 생명연구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염성 미생물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호염성 미생물은 소금호수, 염전, 해양 등 염분 함량이 높은 자연 환경에서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Bacteria, Archaea 및 Eucarya의 모든 계통군에서 발견되고 있다. 호염성 세균의 경우, Proteobacteria를 비롯한 Cyanobacteria, Firmicutes, Actinobacteria, Spirochaetes, Flavobacterium-Cytophaga 및 Bacteroidetes 등의 계통군이 보고되었으며, archaea 영역은 Euryarchaeota 외에 Nanoarchaeota 등이 분리 보고되었다(Oren, 2008; Ventosa et al.
호염성 세균의 계통군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호염성 미생물은 소금호수, 염전, 해양 등 염분 함량이 높은 자연 환경에서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Bacteria, Archaea 및 Eucarya의 모든 계통군에서 발견되고 있다. 호염성 세균의 경우, Proteobacteria를 비롯한 Cyanobacteria, Firmicutes, Actinobacteria, Spirochaetes, Flavobacterium-Cytophaga 및 Bacteroidetes 등의 계통군이 보고되었으며, archaea 영역은 Euryarchaeota 외에 Nanoarchaeota 등이 분리 보고되었다(Oren, 2008; Ventosa et al., 2015).
염전에 사용한 바닥소재가 갯벌인 경우에 만들어지는 천일염을 토판염이라고 하는데, 토판염의 특징은 무엇인가? 장판염은 가소성소재를 이용한 장판 바닥에서 생산된 천일염이다. 토판염은 갯벌을 단단하게 다진 결정지 판위에 여러 단계의 증발지를 거쳐 염분이 고농도로 농축된 함수를 가두어 증발시켜 소금을 생산하는 천일염으로, 소금 결정이 형성될 때 주성분인 NaCl 뿐만 아니라 갯벌 유래 다양한 무기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Park et al., 2000;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n-Amotz, A. and Avron, M. 1989. The biotechnology of mass culturing Dunaliella for products of commercial interest, pp. 91-114. In Cresswell, R.C., Rees, T.A.V., and Shah, N. (eds.), Algal and cyanobacteiral Biotechnology.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Press. 

  2. Chun, J., Kim, K.Y., Lee, J.H., and Choi, Y. 2010. The analysis of oral microbial communities of wild-type and toll-like receptor 2-deficient mice using a 454 GS FLX Titanium pyrosequencer. BMC Microbiol. 10, 101-108. 

  3. Cole, J.R., Wang, Q., Cardenas, E., Fish, J., Chai, B., Farris, R.J., Kulam-Syed-Mohideen, A.S., McGarrell, D.M., Marsh, T., Garrity, G.M., et al. 2009. The Ribosomal Database Project: improved alignments and new tools for rRNA analysis. Nucleic Acids Res. 37, 141-145. 

  4. DeLong, E.F. 1992. Archaea in coastal marine environments. Proc. Natl. Acad. Sci. USA 89, 5685-5689. 

  5. Edgar, R.C., Haas, B.J., Clemente, J.C., Quince, C., and Knight, R. 2011. Uchime improves sensitivity and speed of chimera detection. Bioinformatics 27, 2194-2200. 

  6. Eichler, J. 2000. Novel glycoproteins of the halophilic archaeon Haloferax volcanii. Arch. Microbiol. 173, 445-448. 

  7. Jiang, Y.X., Wu, J.G., Yu, K.Q., Ai, C.X., Zou, F., and Zhou, H.W. 2011. Integrated lysis procedures reduce extraction biases of microbial DNA from mangrove sediment. J. Biosci. Bioeng. 111, 153-157. 

  8. Kamekura, M. 1986. Production and function of enzymes from eubacterial halophiles. FEMS Microbiol. Rev. 39, 145-150. 

  9. Kim, H.N. 2012. The structure of microbial communities at solar saltern in Korea as revealed by pyrosequeincing of 16S rRNA genes. 51. BS thesis. Graduate School, Hankuk Univ. Foreign, Korea. 

  10. Koh, H.W., Kim, S.J., Rhee, S.K. and Park, S.J. 201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the halophilic archaea isolated from solar saltern, Gomso. Korean J. Microbiol. 51, 427-434. 

  11. Lagier, J.C., Armougom, F., Million, M., Hugon, P., Pagnier, I., Robert, C., Bittar, F., Fournous, G., Gimenez, G., Maraninchi, M., et al. 2012. Microbial culturomics: paradigm shift in the human gut microbiome study. Clin. Microbiol. Infect. 18, 1185-1193. 

  12. Lee, K.D., Park, J.W., Choi, C.R., Song, H.W., Yun, S.K., Yang, H.C., and Ham, K.S. 2007. Salinity and heavy metal contents of solar salts produced in Jeollanamdo province of Korea. Korean J. Food Sci. Nutr. 36, 753-758. 

  13. Li, W. and Godzik, A. 2006. Cd-hit: a fast program for clustering and comparing large sets of protein or nucleotide sequences. Bioinformatics 22, 1658-1659. 

  14. Oren, A. 2008. Microbial life at high salt concentrations: phylogenetic and metabolic diversity. Saline Systems 4, 2. 

  15. Oren, A. 2015. Halophilic microbial communities and their environments. Curr. Opin. Biotechnol. 33, 119-124. 

  16. Park, J.W., Kim, S.J., Kim, S.H., Kim, B.H., Kang, S.G., Nam, S.H., and Jung, S.T. 2000.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42-1445. 

  17. Park, S.H. and Lee, G.H. 2015. Diversity and identification of halophilic bacteria by pyrosequencing in a solar salterns of Jeungdo, Korea. Korean J. Nat. Conservation 9, 149-156. 

  18. Park, J.S., Whang, K.S., and Cheon, J.S. 2005. Procedure of microbial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Worldscience. Korea. 

  19. Pastor, J.M., Bernal, V., Salvador, M., Argandona, M., Vargas, C., Csonka, L., Sevilla, A., Iborra, J.L., Nieto, J.J., and Canovas, M., et al. 2013. Role of central metabolism in the osmoadaptation of the halophilic bacterium Chromohalobacter salexigens. J. Biol. Chem. 288, 17769-17781. 

  20. Perez-Pomares , F., Bautista, V., Ferrer, J., Pire , C., Marhuenda-Egea, F.C., Bonete, M.J. 2003. Alpha-amylase activity from the halophilic archaeon Haloferax mediterranei. Extremophiles 7, 299-306 

  21. Pfluger, K., Baumann, S., Gottschalk, G., Lin, W., Santos, H., and Muller, V. 2003. Lysine-2, 3-aminomutase and ${\beta}$ -lysine acetyltransferase genes of methanogenic Archaea are salt induced and are essential for the biosynthesis of NE-acetyl- ${\beta}$ -lysine and growth at high salinity. Appl. Environ. Microbiol. 69, 6047-6055. 

  22. Qian, P.Y., Wang, Y., Lee, O.O., Lau, S.C.K., Yang, J.K., Lafi, F.F., Al-Suwailem, A., and Wong, T.Y.H. 2011. Vertical stratific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Red sea revealed by 16S rDNA pyrosequencing. ISME J. 5, 507-518. 

  23. Quince, C., Lanzen, A., Davenport, R.J., and Turnbaugh, P.J. 2011. Removing noise from pyrosequenced amplicons. BMC Bioinformatics 12, 38. 

  24. Santorelli, M., Maurelli, L., Pocsfalvi, G., Fiume, I., Squillaci, G., La Cara, F., Del Monaco, G., and Morana, A. 2016. Isol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a novel alpha-amylase from the extreme haloarchaeon Haloterrigena turkmenica. Int. J. Biol. Macromol. 92, 174-184. 

  25. Saum, R., Mingote, A., Santos, H., and Muller, V. 2009. A novel limb in the osmoregulatory network of Methanosarcina mazei Go1: Ne-acetyl- ${\beta}$ -lysine can be substituted by glutamate and alanine. Environ. Microbiol. 11, 1056-1065. 

  26. Schloss, P.D., Westcott, S.L., Ryabin, T., Hall, J.R., Hartmann, M., Hollister, E.B., Lesniewski, R.A., Oakley, B.B., Parks, D.H., Robinson, C.J., et al. 2009. Introducing mothur: open-source, platform-independent, community supported software for describing and comparing microbial communities. Appl. Environ. Microbiol. 75, 7537-7541. 

  27. Shannon, P., Markiel, A., Ozier, O., Baliga, N.S., Wang, J.T., Ramage, D., Amin, N., Schwikowski, B., and Ideker, T. 2003. Cytoscape: a software environment for integrated models of biomolecular interaction networks. Genome Res. 13, 2498-2504. 

  28. Ventosa, A., de la Haba, R.R., Sanchez-Porro, C., and Papke, R.T. 2015. Microbial diversity of hypersaline environments: a metagenomic approach. Curr. Opin. Microbiol. 25, 80-87. 

  29. Whang, K.S., Yang, H.C., and Someya, T. 2003. The detection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viable but non-culturable soil bacteria using a modified direct viable count method. Korean J. Microbiol. 39, 181-186. 

  30. Weisburg, W.G., Barns, S.M., Pelletier, D.A., and Lane, D.J. 1991. 16S ribosomal DNA amplification for phylogenetic study. J. Bacteriol. 173, 697-7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