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호남권 전통된장과 고추장의 미생물 군집구조의 분석
Comparison of microbial community profiling o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Deonjang, Gochujang) produced in Jeonbuk, Jeonnam, and Jeju province a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3 no.1, 2017년, pp.39 - 48  

조성호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박해석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조승화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임은정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양호연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하광수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김은지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양승조 (주식회사 천랩연구소) ,  정도연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방식으로 제조하는 전통 장류인 된장과 고추장은 제조하는 환경과 방법, 미생물 그리고 제조자에 따라 다양한 풍미와 특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된장과 전통 고추장의 미생물 분포도를 제주도(된장 2점, 고추장 2점), 전남권(된장 3점, 고추장 3점), 전북권(된장 7점, 고추장 5점)으로 구분하여 미생물(세균, 진균) 분포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대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시료는 종균을 이용하지 않고 자연발효 되었고, 1~5년간 발효 숙성된 제품으로 수집되었다. 전통 된장의 세균 분포도를 보면, 3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우점하는 세균은 B. amyloliquefaciens와 Tetragenococcus halophilus이었으며, Bacillus 속은 전남권(43.16%), 전북권(64.54%)에서 주요한 우점균 이었다. 그러나 제주도의 시료는 Bacillus 속이 0.22%로 내륙과 제주도는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진균 분포도를 보면, Candida versatilis는 3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우점 하였으며, Candida 속은 전남권(64.22%), 전북권(33.68%)이었고, Mucor 속은 전북권(36.73%), 전남권(15.66%)의 주요한 우점종이었다. 그러나 제주도 시료는 곰팡이 보다는 효모인 Candida 속과 Zygosaccharomyces rouxii가 우점균이었다. 전통 고추장의 세균 분포도를 보면, 3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우점하는 세균은 B. subtilis와 B. licheniformis이며, B. amyloliquefaciens는 호남권에서만 우점종 이었다. 전반적으로 고추장에서 Bacillus 속이 우점균이라는 내용과 일치되는 결과를 나타냈다(Jin et al., 2007). 진균 분포도를 보면, 3개 권역의 고추장에서 공통적인 우점종이 없었으며, 제주도와 전남권은 Aspergillus 속과 Rhizopus 속이 우세하였고, 전북권은 Zygosaccharomyces rouxii가 우점종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표본에서는 전통 된장과 전통 고추장은 지역적인 특징보다는 각 시료의 군집특성에 따라 유사 군이 형성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표본을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지역적, 시료 특성별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미생물의 군집 분포도를 정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the diversity of microbial population of Korean traditional Deonjang and Gochujang produced in Jeju, Jeonnam, and Jeonbuk province area, microbial communities were analyzed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In this result, the dominant bacteria of Deonjang in three area were B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제주도는 섬 지역으로 사면이 바다로 쌓였으며, 우리나라 제일 남단에 위치하여 제주도와 호남지역의 특이적인 기후 및 풍토 특성을 고려한 미 생물 군집연구는 흥미로운 연구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 지역인 제주도와 내륙이면서 바다를 접하고 있는 전라남도 그 리고 한국의 대표적인 농업지역인 전라북도에서 생산되는 전통 장류(된장, 고추장)에 대한 세균과 진균에 대한 미생물 군집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장형 된장 제조에 주로 사용하는 균은 무엇인가? amyloliquefaciens와 Tetragenococcus halophilus, 진균 중 곰팡이는 Mucor 속, 그리고 효모는 Candida 속과 Zygosaccharomyces rouxii가 우점종 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를 위해 수 집된 전통 된장에서는 공장형 된장 제조에 주로 사용하는 Aspergillus oryzae는 비우점균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숙성 후 된장에서 Bacillus 속의 상대적 군집빈도가 92.
숙성 전과 비교하면 숙성 후 된장의 세균군집구조에서 우점종은? , 2011). 숙성 후 된장의 세균군집구조 는 숙성 전에 비해 Bacillus 종들이 증가 되었으며 상위 5위까 지가 Bacillus종들이 전체군집의 92.2%를 차지하였다고 밝 혔다(Kim et al., 2011).
종 수준에서 비율 5% 이상인 종을 볼 때 제주 고추장의 진균 분포도는 어떻습니까? 81%)를 보였다. 제주도 고추장의 경우에는 Aspergillus flavus (44.84%), Candida sp. (11.29%)를 나타내었다. 전남권의 경우, Rhizopus arrhizus (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olger, A.M., Lohse, M., and Usadel, B. 2014. Trimmomatic: a flexible trimmer for Illumina sequence data. Bioinformatics 30, 2114-2120. 

  2. Edgar, R.C. 2010. Search and clustering orders of magnitude faster than BLAST. Bioinformatics 26, 2460-2461. 

  3. Edgar, R.C., Haas, B.J., Clemente, J.C., Quince, C., and Knight, R. 2011. UCHIME improves sensitivity and speed of chimera detection. Bioinformatics 27, 2194-2200. 

  4. Fu, L., Niu, B., Zhu, Z., Wu, S., and Li, W. 2012. CD-HIT: accelerated for clustering the next-generation sequencing data. Bioinformatics 28, 3150-3152. 

  5. Herlemann, D.P., Labrenz, M., Jurgens, K., Bertilsson, S., and Waniek, J.J. 2011. Transitions in bacterial communities along the 2000 km salinity gradient of the Baltic Sea. ISME J. 5, 1571-1579. 

  6. Jin, H.S., Kim, J.B., and Lee, K.J. 2007. Major microbial composition and its correlation to the taste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Nutr. 20, 363-368. 

  7. Jung, W.Y., Jung, J.Y., Lee, H.J., and Jeon, C.O. 2016.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communities responsible for fermentation of Deonjang: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Front. Microbiol. 7, 827. 

  8. Jung, J.Y., Lee, S.H., Jin, H.M., Hahn, Y.S., Madsen, E.L., and Jeon, C.O. 2013. Metatranscriptomic analysis of latic acid bacterial gene expression during kimchi fermentation. Int. J. Food Microbiol. 163, 171-179. 

  9. Jung, J.Y., Lee, S.H., Kim, J.M., Park, M.S., Bae, J.W., and Hahn, Y.S. 2011. Metagenomics analysis of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Appl. Environ. Microbiol. 77, 2264-2274. 

  10. Kim, O.S., Cho, Y.J., and Lee, K. 2012. Introducing Eztaxon-e: a prokaryotic 16S rRNA gene sequence database with phylotypes that represent uncultured species. Int. J. Syst. Evol. Microbiol. 62, 716-721. 

  11. Kim, Y.S., Jeong, D.Y., Hwang, Y.T., and Uhm, T.B. 2011. Bacterial community profiling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by pyrosequencing method. Korean J. Microbiol. 47, 275-280. 

  12. Lee, J.M., Jang, J.H., Oh, N.S., and Han, M.S. 1996. Bacterial distribution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60-266. 

  13. Nam, Y.D., Park, S.L., and Lim, S.I. 2012. Microbial composi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Kochujang" analyzed by a massive sequencing technique. J. Food Sci. 77, 250-256. 

  14. Park, J.A., Choi, N.C., and Kim, S.B. 2013.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animal carcass disposal soils. J. Kor. Soc. Environ. Eng. 35, 503-508. 

  15. Schoch, C.L., Seifert, K.A., Huhndorf, S., Robert, V., Spouge, J.L., and Levesque, C.A. 2012. Nuclear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as a universal DNA barcode marker for Fungi. Proc. Natl. Acad. Sci. USA 109, 6241-6246. 

  16. Shin, D.H., Ahn, E.Y., Kim, Y.S., and Oh, J.Y. 2001. Changes in the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94-99. 

  17.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nd An, E.Y. 1997.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s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1-9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