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가족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6, 2017년, pp.561 - 570  

박동영 (구미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조 (경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가족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가족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은 건강증진행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결과 가족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은 건강증진행위를 37.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이 간호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어 바람직한 건강증진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가족기능과 건강지각,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건강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ome factors such as family func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 - 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sults showed th...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관련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간호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건강증진행위 수행을 높이기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가족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상관성을 확인하며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가족 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평점이 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 지역의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족 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평점이 2.
  • 따라서 건강관리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간호 대학생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관련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간호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건강증진행위 수행을 높이기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의 지각정도[23]를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24]이 개발하고 [25]이 번역한 SES(Self-Efficacy Scale)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이 도구는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전혀 아니다’ 1점에서 ‘아주 그렇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건강증진행위란 무엇인가? 생활양식의 구성요소가 되는 계속적인 활동으로 더 높은 수준의 건강상태에 도달하기 위하여 능동적으로 환경에 반응하는 것으로 안녕 수준뿐만 아니라 자아실현, 자기성취를 증진시키기 위한 행위를 말한다[26]. 본 연구에서는 [27]이 개발한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HPLP)을 [28]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이 연구에서 다중 회귀분석으로 알아낸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71점 중간 수준 이상으로 건강증진 행위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 경제상태, 운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가족 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 기능, 자기효능감, 건강지각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가족 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이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어 바람직한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가족 기능과 건강지각,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건강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를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E. K. Yoo, M. H. Kim, and T. K. Kim,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Climacteric Symptom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9, No. 2, pp. 225-237, 1999. 

  2. S. Y. Joe, I. S. Lee, Y. L. Ham, and J. H. Kim, "Factors Leading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Students in a Nursing School of a University-based on the SAT-," J Korean Acad Soc Nurs Edu, Vol. 12, No. 1, pp. 78-85, 2006. 

  3. K. A. Park and M. R. Song, "Factors that Influence Nursing Imag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 No. 4, pp. 137-157, 2001. 

  4. J. S. Lee, J. A. Yoon, and K. J. Don, "Effectiveness of Enneagram Group Counseling for Self-identification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3, No. 5, pp. 649-657, 2013. 

  5. J. W. Oh and Y. S. Moon, "A Predictive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0, pp. 391-403, 2014. 

  6. M. Y. Chon, M. H. Kim, and C. M. Cho,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J.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 Promotion, Vol. 19, No. 2, pp. 1-13, 2002. 

  7. H. S. Park and G. E. Yi,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10, No. 2, pp. 347-361, 1999. 

  8. H. J. Kim and S. N. Yoon, Community Health Nursing, Soomoonsa, 1998. 

  9. J. S. Chung, Effect of Family Cohesion and Parent-Adolescent's Communication Styl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nam University, 2009. 

  10. M. K. Sim, "The Effect of Self Esteem, Family Functioning, Social Suppor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Adolescents," Journal The Academic Society of Parent-Child Health, Vol. 8, No. 1, pp. 64-74, 2006. 

  11. T. U. Kim, S. N. Yang, J. H. Choi, S. R. Kim, and H. J. Koh, "The Relation of Health-Related Behaviors and Family Func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Vol. 26, No. 1, pp. 9-14, 2005. 

  12. J. H. Kim, S. J. Kim, and Y. H. Park,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13, No. 3, pp. 431-440, 2001. 

  13. M. Y. Chon, M. H. Kim, and M. C. Chung,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19, No. 2, pp. 1-13, 2002. 

  14. Y. S. Byeon and J. W. Oak,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9, No. 4, pp. 5715-5723, 2008. 

  15. S. J. Kim and E. Y. Jung, "A Relevance on Health Percepti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8, pp. 5394-5403, 2015. 

  16. H. S. Park, G. E. Lee, and Y. L. Hong,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on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9, No. 3, pp. 239-254, 2000. 

  17. E. J. Yeun, H. J. Kim, and M. S. Jeon,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Hospital Registered Nurses-Mood States, Resourcefulness, and Health Percep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2, pp. 198-208, 2011. 

  18.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39, No. 2, pp. 175-191, 2007. 

  19. Y. M. An and J. H. Kim, "Comparison of Maternal Self-esteem, Postpartal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Mothers of Normal and of Low Birth-weight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3, No. 5, pp. 580-590, 2008. 

  20. D. H. Olson, J. Portner, and Y. Lavee, FACES III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St, Paul Minnesota, 1985. 

  21. J. E. Ware and C. D. Sherbourne,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SF-36);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Vol. 30, p.473, 1992. 

  22. H. J. Kim,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myung University, 1997. 

  23. J. O. Yu and B. Y. Cho, "The Effect of an Internet Community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 Care Behavior in Worker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5, No. 7, pp. 1258-1267, 2005. 

  24.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and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 51, No. 2, pp. 663-671, 1982. 

  25. H. Y. Hong,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1995. 

  26. N. J. Pender, Health Promotion and Nursing, Seoul, Korea, Korea University Institute of Nursing research, 1999. 

  27. S. N. Walker, K. R. Sechrist, and N. J. Pende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 36, No. 2 pp. 76-81, 1987. 

  28. Y. O. Suh, "Health Promoting Lifestyle, Hardiness and Gender Role Characteristics in Middle-Aged Women,"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Vol. 2, No. 1, pp. 119-134, 1996. 

  29. I. S. Park, R. Kim, and M. S. Park,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3, No. 2, pp. 203-211, 2007. 

  30. H. J. Lee, "An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maj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2, pp. 989-999, 2014. 

  31. K. S. Paek,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J.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14, No. 2, pp. 232-241, 2003. 

  32. E. A. Kim, A study on the Relations of Health Promoting Daily Life Style and Self-Efficiency about boys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1999. 

  33. A. L. Ha, Self-Efficacy Feeling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of Women in Their Twen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2002. 

  34. Y. J. Yoo, Family science, Shin Jung, 2004. 

  35. H. K. Kim, S. O. Lee, and Y. S. Par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amily Functioning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 Aged Women in Korea," Kongju Culture College, Vol. 26, pp. 277-294, 1999. 

  36. M. K. Kim and I. S. Kwon, "Influence of Self Esteem, Family Function and Social Support on Welln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ild Health Nurs Res, Vol. 22, No. 1, pp. 1-10, 2016. 

  37. S. Y. Min and K. S. Paek, "The Effects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8, No. 4, pp. 562-571, 2007. 

  38. G. S. Kim, Y. H. Cho, J. S. Ra, and J. Y. Park, "Correlations amo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Networks, and Health Behavior i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 22, No. 2, pp. 211-223, 2008. 

  39. Y. R. Kim and H. H. Yoo,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Learners' Self-Efficacy, Instructional Motivation and School life-Related Coping," Humanities, Vol. 10, pp. 93-115, 2002. 

  40. Y. S. Park and I. C. Kim, "Self-Efficacy, Achievement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 Indigenous Psycholoical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7, No. 1, pp. 37-54, 2003. 

  41. S. Y. Lim, K. M. Kwon, Y. K. Jeong, and K. S. Han, "Comparison to Stres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between Nursing Student and the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18, No. 2, pp. 119-124, 2010. 

  42. N. J. Pender,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Third Edition, Appleton & Lange, Stamford, Connecticut, 199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