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s and Programs of 'Makerspaces' at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1 no.1, 2017년, pp.289 - 306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운영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14개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사례인 '무한상상실' 프로그램의 현황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해외의 메이커스페이스와 같이 확대되고 지속가능한 모형으로 발전하기 위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메이커스페이스에 관한 문헌 및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현황조사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의 발전과정, 프로그램 유형, 지원 유형 및 서비스 성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전담사서와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메이커스페이스의 개념 변화, 필요성, 효과성, 한계점 및 향후 발전방안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메이커스페이스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정책방안으로 다양하고 안정적인 재원 확보, 전문 인력 배치 및 훈련, 적극적인 자원봉사자 활용 방안, 홍보전략 수립, 지역주민이 소통하는 공간을 넘어 신기술을 통한 교육과 창조의 공간, 지역 아카이브 생성의 '메이킹'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s and programs of 'makerspaces' at public libraries. It examines the extended and sustainable service outreach strategies of 14 Korean public libraries whose makerspaces were identified as "infinite imagination spaces." Through interviews with staff members, the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메이커스페이스 발전 방향으로 국외의 경우는 메이커스페이스가 지속적으로 성장해서 새로운 정보기술을 도서관에서 경험하는 기회를 지역주민에게 더 많이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공통적이었다면 국내의 경우는 지속적인 확대방안을 위해서 자원 확보와 인력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의 경우는 메이커스페이스의 홍보가 도서관 내에서도 다른 사서들에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 하지만 Saltter와 Howard 연구(2013)의 경우에서도 호주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전담사서 3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의 효과성, 한계점 및 도전과제를 영역별로 분석한 대표적인 사례연구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미국, 네덜란드, 한국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메이커스페이스 사례조사를 통한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다양한 사서들의 평가를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운영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국내에서 ‘무한상상실’로 제한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확대 방안 및 지속가능한 운영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무한상상실’이 해외의 ‘메이커스페이스’의 개념으로 발전되며‘스토리텔링 공간’에서 ‘인큐베이터 공간’으로 확대되기 위한 정책 및 운영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운영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14개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무한상상실’로 운영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프로그램의 현황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해외의 메이커스페이스와 같은 확대되고 지속가능한 모형으로 발전하기 위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메이커스페이스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다음의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한상상실은 무엇인가? 국내 공공도서관에 ‘메이커스페이스’ 개념이 도입된 것은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한 ‘무한상상실’ 운영이다. 무한상상실은 “과학관, 도서관, 주민센터 등 생활공간에 설치되는 창의적인 공간으로 국민의 창의성, 상상력,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러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시험․제작을 하거나 UCC제작․스토리 창작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되었다 (미래창조과학부, 무한상상실 홈페이지). 하지만 우리나라 ‘무한상상실’은 해외 ‘메이커스페이스’에 비해 과학적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춘 한계점이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홍소람, 박성우 2015).
미국 공공도서관에 최초로 메이커스페이스가 만들어진 사례는? 미국 공공도서관에 최초로 메이커스페이스가 만들어진 사례는 2011년 뉴욕 북부의 ‘파예트빌 프리공공도서관’(Fayetteville Free Public Library) 에 3D 프린터가 구축되면서 ‘Fab Lab’이 만들어진 것이 계기가 되었다. 파예트빌 공공도서관의‘Fab Lab’은 70.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가 전용공간이 마련된 경우에도 갖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국내 메이커스페이스의 또 다른 한계점과 관련하여 홍소람과 박성우(2015)는 해외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경우 대부분 전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반면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무한상상실’로 국한되어 있으며 전용공간이 없고 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전용공간이 마련된 경우도 프로그램 위주로만 개방을 하고 있으며 상시 개방을 하지 않고 있는 것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전용공간의 위치 또한 1층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접근성이 취약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소영, 정유진, 황연숙. 2016. 메이커 스페이스 구성 및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6년 5월 28일, 서울: 서원대학교: 203-206.(Kim, So-Young, Jung, Yu-Jin and Hwang, Yeon-Sook. 2016.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of Maker Space." In Proceeding of 2015 KIID Spring Conference, May 28, 2016, Seoul: Seowon University: 203-206.) 

  2. 노영희. 2014a. 도서관 무한창조공간 구축 및 운영모형 제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1): 53-76.(Noh, Younghee. 2014a. "A Study on Creating and Managing "Makerspaces" in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53-76.) 

  3. 노영희. 2014b.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의 발전방향 논의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2): 7-40.(Noh, Younghee. 2014b. "A Study Sugges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7-40.) 

  4. 노영희, 강정아, 정은지. 2015. 공공도서관 무한창조공간 프로그램과 창의성간의 관계에 대한 평가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71-111.(Noh, Younghee, Kang, Jung-A and Jung, Eun-Ji. 2015. "A Qualitative Evaluatio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an Infinite Creative Space Progra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2): 71-111.) 

  5.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2014.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의 개념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2): 143-171.(Ahn, In-Ja, Choi, Sang-Ki and Noh, Younghee. 2014. "A Study on Establishing Creative Zones and Creative Zone Programm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143-171.) 

  6. 홍소람, 박성우. 2015. 코워킹 스페이스로서의 공공도서관 무한창조공간 개념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245-269.(Hong, So-Ram and Park, Seong-Woo. 2015. "A Concept Analysis on Creative Zone in Public Libraries as Co-working Spa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245-269.) 

  7. Bagley, C. A. 2012. "What is a Makerspace? Creativity in the Library." In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2. ALA TechSource: December. [online] [cited 2016. 12. 10.] 

  8. Belbin, N. and Newcombe, P. 2012. "Fab Labs at the Library." Education Digest, 78(7): 65-68. 

  9. Bowler, L. and Champagne, R. 2016. "Mindful Makers: Question Prompts to Help Guide Young Peoples' Critical Technical Practices in Maker Spaces in Libraries, Museums, and Community-Based Youth Organization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8(2): 117-124. 

  10. Britton, L. 2012. The Makings of Maker Spaces, Part 1: Space for Creation, Not Just Consumption. New York, NY: Library Journal. [online] [cited 2016. 12. 10.] 

  11. Britton, L. and Considine, S. 2012. The Makings of Maker Spaces, Part 3: A Fabulous Home for Cocreation. New York, NY: Library Journal. [online] [cited 2016. 12. 10.] 

  12. Burke, J. J. 2014. Makerspaces: A Practical Guide for Librarians.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13. Dougherty, D. 2012. "The Maker Movement." Innovations, 7(3): 11-14. 

  14. Fallows, D. 2016. How Libraries Are Becoming Modern Makerspaces. Washington, DC: The Atlantic. [online] [cited 2016. 12. 15.] 

  15. Fourie, I. and Meyer, A. 2015. "What to Make of Makerspaces: Tools and DIY only or Is There an Interconnected Information Resources Space?" Library Hi Tech, 33(4): 519-525. 

  16. Koh, K. and Abbas, J. 2015. "Competencies for Information Professionals in Learning Labs and Makerspace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6(2): 114-129. 

  17. Kvale, S. 2007. Doing Interviews. Thousand Oaks, CA: SAGE Publishing. 

  18. Peppler, K. et al. 2015. The Maker Ed Open Portfolio Project: Survey of Makerspaces, Part I. San Francisco, CA: The Maker Education Initiative. [online] [cited 2016. 12. 15.] 

  19. Rowley, J. 2011. "Should Your Library Have an Innovation Strategy?" Library Management, 32(4/5): 251-265. 

  20. Scott, S. H. 2012. Making the Case for a Public Library Makerspace. Chicago, IL: Public Libraries Association. [online] [cited 2016. 12. 10.] 

  21. Sheridan, K. et al. 2014. "Learning in the Making: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ree Makerspac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505-531. 

  22. Slatter, D. and Howard, Z. 2013. "A Place to Make, Hack, and Learn: Makerspaces in Australian Public Libraries." The Australian Library Journal, 62(4): 272-284. 

  23. Willett, R. 2016. "Making, Makers, and Makerspaces: A Discourse Analysis of Professional Journal Articles and Blog Posts about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The Library Quarterly, 86(3): 313-3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