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기압 유전체장벽방전 플라즈마에 의한 식품유해 미생물 살균
Steriliza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by Atmospheric Pressur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3, 2017년, pp.222 - 227  

이승제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  송윤석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  박유리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  유승민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 ,  전형원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 ,  엄상흠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대기압 유전체장벽방전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식품유해 미생물 사멸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플라즈마 처리 시, 활성종 생성 및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노출시간, 노출거리, 산소비율, 전력 변화에 따른 E. coli의 사멸효과를 조사한 결과, E. coli의 사멸율은 플라즈마 처리를 위한 노출시간, 산소비율, 전력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 반면, 노출거리의 증가에 따라서는 사멸율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미생물 시료가 플라즈마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됨으로서 시료 내 NO 농도가 증가되고, E. coli의 사멸율 역시 증가되는 결과로 뒷받침할 수 있고, 미생물 사멸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활성종의 농도가 증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E. coli와 함께 B. cereus, B. subtilis, B. thuringiensis, B. atrophaeus를 대상으로 대기압 유전체 장벽방전 플라즈마에 의한 살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72.3~91.3%의 높은 사멸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대기압 유전체장벽방전 플라즈마기술은 다양한 미생물에 적용될 수 있는 유용한 살균기술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food-industry applic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atmospheric pressure DBD plasma) as a non-thermal sterilization technology for microorganism. The effects of the key parameters such as power, oxygen ratio, exposur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중 유전체장벽방전은 매우 큰 비평형 조건에서 작동하고, 고출력방전이 가능하며, 전기적 충격이 없고, 넓은 면적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농·식품 처리에 적합한 방전 형태이다6,7). 본 연구에서는 농·식품산업에 적용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유전체장벽방전 형태의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식품유해 미생물의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온 플라즈마 기술 중 대기압 플라즈마의 장점은 무엇인가? 감압 플라즈마는 플라즈마 발생속도의 제어가 용이하고, 균일한 플라즈마 생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진공에 가까운 상태까지 압력을 낮추는 설비가 필요하고, 연속식 처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14). 이에 반해,대기압 플라즈마는 대기압 하에서 플라즈마 생성이 일어나기 때문에 장비가 간단하고, 연속처리가 가능하며, 장치비가 낮은 장점으로 인해 대기압 플라즈마가 농·식품산업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 대기압 플라즈마의 방전 형태는 유전체장벽방전(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코로나방전(corona discharge), 마이크로웨이브방전(microwave discharge), 아크방전(arc discharge) 등이 있다.
미생물 사멸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활성종의 농도는 어떠해야하는가? 이 결과는 미생물 시료가 플라즈마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됨으로서 시료 내 NO 농도가 증가되고, E. coli의 사멸율 역시 증가되는 결과로 뒷받침할 수 있고, 미생물 사멸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활성종의 농도가 증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E.
유전체장벽방전 플라즈마 처리 시, 노출시간에 따라 E. coli의 변화는? coli의 사멸율은 플라즈마 처리를 위한 노출시간, 산소비율, 전력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 반면, 노출거리의 증가에 따라서는 사멸율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미생물 시료가 플라즈마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됨으로서 시료 내 NO 농도가 증가되고, E. coli의 사멸율 역시 증가되는 결과로 뒷받침할 수 있고, 미생물 사멸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활성종의 농도가 증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ok C., Lee T.: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Food Eng. Prog., 16, 33-39 (2012). 

  2. Mok C., Jeon H.: Low pressure discharge plasma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in black pepper powder. Food Eng. Prog., 17, 43-47 (2013). 

  3. Luksiene Z., Buchovec I., Paskeviciute E.: Inactivation of several strains of Listeria monocytogen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packaging material by Na-chlorophyllin-based photosensitization. J. Photoch. Photobio. B, 101, 326-331 (2010). 

  4. Song H.P., Kim B., Choe J.H., Jung S., Moon S.Y., Choe W.H., Jo C.R.: Evalu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o improve the safety of sliced cheese and ham inoculated by 3-strain cocktail Listeria monocytogenes. Food Microbiol., 26, 432-436 (2010). 

  5. Laroussi M.: Low temperature plasma-based sterilization: overview and state-of-the-art. Plasma Process Polym., 2, 391-400 (2005). 

  6. Ryu Y.H., Uhm H.S., Park G.S., Choi E.H.: Sterilization of Neurospora crassa by noncontacted low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surface discharged plasma with dielectric barrier structure. J. Korean Vacuum Soc., 22, 55-65 (2013). 

  7. Son H.H., Lee W.G.: Discharge properties of torch-typ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and its local disinfection of microorganism. Korean Chem. Eng. Res., 49, 835-839 (2011). 

  8. Yoon G.A., Mok C.: Microbial inactivation of grains used in Saengshik by corona discharge plasma j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70-74 (2015). 

  9. Lee H.B., Noh Y.E., Yang H.J., Min S.C.: Inhibition of foodborne pathogens on polystyrene, sausage casings, and smoked salmon using nonthermal plasma treat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13-517 (2011). 

  10. Fridman G., Friedman G., Gutsol A., Shekhter A.B., Vasilets V.N., Fridman A.: Applied plasma medicine. Plasma Process Polym., 5, 503-533 (2008). 

  11. De Geyter N., Morent R.: Nonthermal plasma sterilization of living and nonliving surfaces. Annu. Rev. Biomed. Eng., 14, 255-274 (2012). 

  12. Seo H.Y., Yoo E.M., Choi Y.R., Kim S.H., Kim K.M., Kim K.N.: Effect of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nitrogen and air plasma on the surface properties and the disinfection of denture base resin. J. Korean Soc. Dent. Hyg., 14, 783-788 (2014). 

  13. Kim J.H., Lee M.A., Han G.J., Cho B.H.: Plasma in dentistry: A review of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in dentistry. Acta. Odontol. Scand., 72, 1-12 (2014). 

  14. Mok C., Lee T.: Operational properties and microbial inactivation performance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treatment system. Food Eng. Prog., 15, 398-403 (2011). 

  15. Laroussi M., Leipold F.: Evaluation of the roles of reactive species, heat and UV radiation in the inactivation of bacterial cells by air plasmas at atmospheric pressure. Int. J. Mass Spectrom., 233, 81-86 (2004). 

  16. Bogaerts A., Neyts E., Gijbels R., Mullen V.: Gas discharge plasmas and their application. Spectrochim. Acta B, 57, 609-658 (2002). 

  17. Jo J.O., Lee H.W., Mok Y.S.: Sterilization of scoria powder by corona discharge plasma. Appl. Chem. Eng., 25, 386-391 (2014). 

  18. Mok C., Lee N.H.: Ultraviolet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in stainless steel cups. Food Eng. Prog., 13, 122-129 (2009). 

  19. Oshima T., Tato M.: Bacterial sterilization and intracellular protein release by a pulsed electric field. Adv. Biochem. Eng. Biotechnol., 90, 11-133 (2004). 

  20. Mok C., Song D.M.: Low-pressure plasma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Food Eng. Prog., 14, 202-207 (2010). 

  21. Kim J.E., Kim I.H., Min S.C.: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vegetables and spices using cold plasma treat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35-741 (2013). 

  22. Han I.J., Park J.N., Park J.G., Song B.S., Lee J.W., Kim J.H., Ryu H.S., Park J.R., Chun S.S.: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lk porridge(Tarakjuk) sterilized with radiation techn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885-891 (2011). 

  23. Kim Y.S., Yun S.H., Jeong D.Y., Hahn K.S., Uhm T.G.: Isol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producing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Bacillus cereus and its properties. Kor. J. Microbiol., 46, 270-277 (2010). 

  24. Yoon Y.H., Nam S.H., Joo J.C., Ahn H.S.: Photocatalytic disinfection of indoor suspended microorganisms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spore) with ultraviolet light. J. Korea Acad. Inustr. Coop. Soc., 15, 1204-1210 (2014). 

  25. Jeon J.H., Park J.H.: Toxin gene analysis of Bacillus cereus and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361-367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