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전형 저온 플라즈마 시스템을 이용한 분말식품의 균일한 살균 연구
A Study of Homogeneous Sterilization of Micro-sized Food Powder by Rotatable Low-Temperature Plasma Syste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2, 2018년, pp.301 - 307  

김명찬 ((주)셀로닉스) ,  박덕모 ((주)셀로닉스) ,  한진수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  우인봉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  김동후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  장성은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  윤찬석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  김인 ((주)셀로닉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relatively effective process is used to sterilize Escherichia coli on the surface of micro-sized calcium citrate powder using nitrogen and argon as process gases in a low-temperature vacuum plasma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and to introduce the effectivene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말 처리에 적합한 저온 플라즈마 전극 및 챔버를 고안하여 대표적인 식중독 균인 대장균을 대상으로 플라즈마 살균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분말식품의 균일한 살균 효과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연산 칼슘(calcium citrate, Gadot Bio- chemical Industries LTD) 분말은 칼슘강화제로 체내 칼슘 흡수력이 우수한 건강보조식품 성분 중의 하나로, 수백 미크론 크기이며, 수분에 대한 용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액상 대장균 접종 시 분말의 표면성분 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정되었다.
  •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온도에 민감한 식품 분말을 대상으로 30℃ 이하에서 균일한 살균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온 회전형 플라즈마 장치는 분말형 식품의 대장균 살균뿐만 아니라, 기타 유해균의 균일한 살균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미크론 크기 분말의 본래 식품영양을 유지하고 치밀한 위생유지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변에는 대장균뿐만 아니라, 다종의 타 세균도 함께 존재하지만, 모든 종류의 세균에 대한 살균 공정 조건을 동시에 확립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므로, 우선 가장 흔한 유해 미생물인 대장균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이후 연구에서 타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과를 다루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분말식품의 살균처리를 위해 저온 회전형 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하여 대장균(E. coli)에 대한 살균 효과를 살펴보았다. 대장균에 접종된 구연산 칼슘 분말에서는 배양 후 대장균에 의해 형성된 푸른 점이 나타났으나, 플라즈마 처리 후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질소와 아르곤 각각의 유량에 따른 살균 효과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플라즈마 살균 메카니즘은? 최근 식품 분야로 응용범위를 넓히고 있는 플라즈마 기술은 가스분자가 전기 방전에 의해 이온, 라디칼, 여기입자, 전자, 고/저속 중성입자로 전환되어 공존하는 활성화된 상태를 이용하며, 또한 생성된 활성종이 안정화될 때 전자 에너지 수준에 따르는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한다(Park 등 2013). 플라즈마 살균 메카니즘은 ① UV 조사에 의한 유해 세균체의 DNA 및 세포질의 분자 구조 파괴, ② 광탈착(photodesorption), ③ 활성종에 의한 에칭(etching) 순서로 이뤄지며, UV 단독 조사보다는 플라즈마에 의한 복합적인 살균 방법이 더 우수하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었다(Lisovskiy 등 2000; Moisan 등 2002).
플라즈마 기술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식품 분야로 응용범위를 넓히고 있는 플라즈마 기술은 가스분자가 전기 방전에 의해 이온, 라디칼, 여기입자, 전자, 고/저속 중성입자로 전환되어 공존하는 활성화된 상태를 이용하며, 또한 생성된 활성종이 안정화될 때 전자 에너지 수준에 따르는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한다(Park 등 2013). 플라즈마 살균 메카니즘은 ① UV 조사에 의한 유해 세균체의 DNA 및 세포질의 분자 구조 파괴, ② 광탈착(photodesorption), ③ 활성종에 의한 에칭(etching) 순서로 이뤄지며, UV 단독 조사보다는 플라즈마에 의한 복합적인 살균 방법이 더 우수하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었다(Lisovskiy 등 2000; Moisan 등 2002).
저온 회전형 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한 플라즈마 분말 처리 유무에 따른 대장균의 살균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배양 후 5일 동안 방치된 플라즈마 미처리 샘플의 경우, 푸른색의 점 크기가 더욱 커지고 색깔이 짙어졌으나, 처리된 샘플에서는 방치 전과 거의 변화가 없었다. 플라즈마 미처리 분말의 표면에서는 대장균 형상에서 기인된 둥글고 긴 형태의 이미지가 확인되었으나, 처리 후 분말의 표면에서는 그러한 형상 대신 대장균이 사멸된 잔유물의 이미지가 관찰되었다. 처리 후, 대장균은 부피가 축소되고 구멍이 나거나 파괴되어 균체 내부의 구성 물질이 외부로 드러난 사멸 형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온도에 민감한 식품 분말을 대상으로 30℃ 이하에서 균일한 살균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온 회전형 플라즈마 장치는 분말형 식품의 대장균 살균뿐만 아니라, 기타 유해균의 균일한 살균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미크론 크기 분말의 본래 식품영양을 유지하고 치밀한 위생유지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zharonok V, Filatova I, Bosneaga Iu, Bologa M, Shedikova O. 2011. Non-thermal plasma sterilization in RF and MW discharges. Rom Journ Phys 56:62-68 

  2. Cheigh CI, Mun JH, Chung MS. 2012. Nonthermal sterilization and shelf-life extension of seafood products by intense pulsed light treatment. Korean J Food & Nutr 25:69-76 

  3. Kim BR, Kim AJ, Hong HJ, Shin JKe. 2013. Sterilization of yeast isolated from Makgeolli by intense pulsed light treatment in batch system. Food Eng Prog 17:159-164 

  4. Kadlec T, Babicky V, Clupek M. 2011. Application of pulsed electric field on bacteria. WDS'11 Proceedings of Contributed Papers, Part II. pp.263-266 

  5. Kelly-Wintenberg K, Montie TC, Brickman C, Roth JR, Carr AK, Sorge K, Wadsworth LC, Tsai PPY. 1998. Room temperature sterilization of surfaces and fabrics with a one atmospheric uniform glow discharge plasma. J Ind Microbiol Biotechnol 20:69-74 

  6. Lee KN, Paek KH, Ju WT, Lee YH. 2006. Sterilization of bacteria, yeast, and bacterial endospores by atmospheric-pressure cold plasma using helium and oxygen. J Microbiol 44:269-275 

  7. Lisovskiy VA, Yakovin SD, Yegorenkov VD, Terent'eva AG. 2000. Plasma sterilization in low-pressure RF discharge. ВО ПРОСЫ АТОМНОЙ НАУКИ И ТЕХНИКИ 2000. №1. Серия: Плазменная электроника и новые метод ы ускорения 2:77-81 

  8. Moisan M, Barbeau J, Crevier MC, Pelletier J, Philip N, Saoudi B. 2002. Plasma sterilization. Methods and mechanisms. Pure Appl Chem 74:349-358 

  9. Morent R, De Geyter N. 2011. Inactivation of bacterial by non-thermal plasmas. InTech. Biomedical Engineering - Frontiers and Challenges Chapter 2:25-54 

  10. Mok CK, Song DM. 2010. Low-pressure plasma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Food Eng Prog 14:202-207 

  11. Mok CK, Lee TH. 2011. Operational properties and microbial inactivation performance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treatment system. Food Eng Prog 15:398-403 

  12. Mok CK, Jeon HJ. 2013. Low pressure discharge plasma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in black pepper powder. Food Eng Prog 17:43-47 

  13. Oh NS, Kim MY, Jang GY, Baek SY, Joung MY. 2017. Comparison of UV-irradiation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sterilization for storage stability of carrot juice. Korean J Food Nutr 30:1113-1118 

  14. Oh YJ, Lee HN, Kim JE, Lee SH, Cho HY, Min SC. 2015. Cold plasma treatment application to improve microbiological safety of infant milk powder and onion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7:486-491 

  15. Park HA, Kim SY. 2012. Nutritional supplements. J Korean Med Assoc 55:889-897 

  16. Park SR, Hong JW, Lee HJ, Kim GC. 2013. Plasma medicine; how can nonthermal atmospheric plasma be applied to medicine. J Life Sci 23:838-846 

  17. Paskalov G. 2015. Plasma sterilization of dispersed material. 2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plasma chemistry P-II-7-25 

  18. Shin JK, Kim BR, Kim AJ. 2010. Nonthermal food processing technology using electric power. Food Sci Ind 43:21-34 

  19. Shintani H, Sakudo A, Burke P, Mcdonnell G. 2010. Gas plasma sterilization of microorganisms and mechanisms of action (Review). Exp Ther Med 1:731-738 

  20. Sohbatzadeh F, Colagar HA, Mirzanejhad S, Mahmodi S. 2010. E. coli, P. aeruginosa, and B. cereus bacteria sterilization using afterglow of non-thermal plasma at atmospheric pressure. Appl Biochem Biotechnol 160:1978-1984 

  21. Won MY, Choi HY, Lee KS, Min SC. 2016. Helium dielectric barrier discharge-cold plasma treatment for microbiological safety a preservation of onion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8:486-491 

  22. Youn GA, Mok CK. 2015. Microbial inactivation of grains used in Saengshik by corona discharge plasm j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7:70-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