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ultiplex-PCR을 이용한 제주지역 소아청소년의 급성설사질환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Study on Acute Diarrheal Diseas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Jeju Region Using a Multiplex-PCR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9 no.2, 2017년, pp.141 - 149  

이규택 (제주한라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김선미 (제주한라병원 감염관리실) ,  정무상 (제주한라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2년간 Multiplex-PCR을 이용한 소아청소년의 급성설사질환 원인규명을 위해 의뢰된 521 분변 검체를 대상으로 5종의 바이러스 검사와 10종의 세균검사를 실시한 521 분변 검체 중 바이러스나 세균이 확인된 170명 중 중복 감염이 확인된 9명의 검체를 포함하여 179개의 양성검체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남아가 102명(56.98%), 여아가 77명(43.02%)이었으며, 3~4세(51.96%), 5~6세(12.29%)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양성율을 보였다. 179건의 양성 검체 중 중복감염을 포함한 209건(209/521, 40.12%)을 분석한 결과 norovirus-GII 감염이 88건(88/521, 16.89%), Campylobacter spp. 감염이 26건(26/521, 4.99%), rotavirus 감염이 18건(18/521, 3.45%), Clostridium difficile Toxin B 감염이 18건(18/521, 3.45%), adenovirus 감염이 17건(17/521, 3.26%), Clostridium perfringens 감염은 16건(16/521, 3.07%), astrovirus 감염은 11건(11/521, 2.11%), Salmonella spp. 감염은 5건(5/521, 0.96%), norovirus-GI, Yersinia spp., Aeromonas spp. 감염은 각각 3건(3/521, 0.58%), verocytotoxin-producing E. coli 감염은 1건(1/521, 0.19%), Vibrio spp, E. coli O157:H7, Shigella spp. 감염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기(6세 이하)의 계절별 분리 양상을 확인한 결과는 기온이 낮은 겨울(11~2월)에는 주로 norovirus-GI, norovirus-GII가 유행하였고, 기온이 상승하기 시작하는 봄(3~5월)에는 rotavirus가 유행하는 경향을 전형적인 장염바이러스의 경향을 보였다. Astrovirus 경우에는 norovirus-GI, norovirus-GII, rotavirus가 유행하는 시기가 아닌 4월~10월에 유행하는 경향을 보이고, adenovirus인 경우에는 8월~2월까지 유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세균이 원인이 되어 급성설사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중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원인을 파악하고자 할 때에는 유아기 때에는 바이러스 검사를 의뢰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바이러스와 세균을 동시에 의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cause of acute diarrheal disea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521 fecal samples underwent multiple-PCR for a period of two years, between March 2015 and February 20178, in the Jeju region of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179 positive samples, 102 samples were male (56.98%) and 77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5∼2016년도 급성설사질환 원인규명을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H 종합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multiplex PCR 검사가 의뢰된 검체를 통해 확인된 5종의 바이러스와 10종의 세균에 대한 발생빈도와 유행양상과 유아기(6세 이하)의 원인별, 계절별 분리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럽연합의 급성설사질환 관련 감시사업은 무엇인가? 많은 나라에서 급성설사질환 관련 감시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은 36개국의 국가표준실험실(National Reference Lab)이 참여하는 엔터넷(EnterNet)을 운영하고 있으며[4], 미국은 감시체계로 푸드넷(FoodNet)을 호주는 식품매개질환에 대한 감시체계로 오즈넷(OzFoodNet)을 운영하고 있고[5], 캐나다에서는 NESP (National Enteric Surveillance Program)와 C-EnterNet이 유기적으로 운영되고 있다[6]. 일본에서는 국립감염병연구소(NIID)가 중심이 되어 병원체 검출 정보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급성설사질환이란? 급성설사질환은 영ㆍ유아에서 호흡기 감염 다음으로 흔한 질환이며, 사회 경제적인 발전과 더불어 환경 위생과 영양 상태가 좋아짐에 따라 발병률이나 사망률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야채 및 과일 섭취의 증가, 각 국가 간 활발한 농수산품의 거래, 외식 산업의 증가에 기인되어 매년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감염성질환이다[1-3].
비세균성 설사질환의 주요 벼원체인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위장관염의 증상은?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위장관염의 증상은 24∼48시간 정도의 잠복기에 따른 갑작스런 구토와 복통이 특징이고, 특히 소아의 경우 설사가 지연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외에 두통, 근육통, 오한, 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로타바이러스의 주증상은 발열, 구토 그리고 설사이며, 1∼3일의 잠복기를 거쳐 경ㆍ 중증도의 발열과 구토, 복통이 하루 나타나고, 이어 잦은 수양성 설사가 나타난다. 아스트로바이러스는 초기 가벼운 설사가 2∼3일 정도 지속되며 구토, 발열, 식욕결핍, 복통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eo GS, Choi SC. Diarrhea (Based on acute infectious diarrhea). Korean J Med. 2010;78(1):49-53. 

  2. Cheng AC, McDonald JR, Thielman NM. Infectious diarrhea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J Clin Gastroenterol 2005;39(9):757-773. 

  3. Daniel CP, Jan V, Peter GS, Kathryn ME, Mary AS, Geoffrey AW, et al. Norovirus and medically attended gastroenteritis in U.S children. N Engl J Med. 2013;368(12):1121-1130. 

  4. Fisher IS, Meakins S. Surveillance of enteric pathogens in Europe and beyond: Enter-net annual report for 2004. Euro Surveill. 2006;11(34):3032. 

  5. OzFoodNet Working Group. Enhancing foodborne disease surveillance across Australia in 2001: the OzFoodNet network, 2005. Comm Dis Intel. 2006;30(3):278-300. 

  6. Bowman C, Flint J, Pollari F. Canadian integrated surveillance report: Salmonella, Campylobacter, pathogenic E. coli and Shigella, from 1996 to 1999. 2003;29(Suppl 1):1-32. 

  7. Kim NO, Hong SH, Kwak HS.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bacteria causing acute diarrhea in Korea, 2012-2015.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16;9(46):922-928. 

  8. Clark B, McKendrick M. A review of viral gastroenteritis. Curr Opin Infect Dis. 2004;17(5):461-469. 

  9. Moon SK, Lee JI, Yoon HS, Ahn YM. Isolation rate of 4 type virus of acute gastroenteritis in full-term neonates during neonatal period. Korean J Pediatr. 2007;50(9):855-861. 

  10. Newell DG, Koopmans M, Verhoef L, Duizer E, Aidara-Kane A, Sprong H, et al. Food-borne diseases: The challenges of 20 years ago still persist while new ones continue to emerge. Int J Food Microbiol. 2010;139(Suppl 1):3-15. 

  11. Scallan E, Hoekstra RM, Angulo FJ, Tauxe RV, Widdowson MA, Roy SL, et al. Foodborne illness acquired in the United States: Major pathogens. Emerg Infect Dis. 2011;17(1):7-15. 

  12. Potasman I, Paz A, Odeh M. Infectious outbreaks associated with bivalve shellfish consumption: a worldwide perspective. 2002;35(8):921-929. 

  13. Takeshi T, Kuzuko N, Shinjiro H, Shuji N, Masatoshi T, Yoshiyuki S, et al. Virological, serolog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an outbreak of acute gastroenteritis due to recombinant genogroup II norovirus in an infant home. J Clin Microbiol. 2006;44(1):177-182. 

  14. Midthun K, Kapikian AZ. Rotavirus vaccines: an overview. Clin Microbiol Rev. 1996;9(3):423-457. 

  15. Blacklow NR, Greenberg HB. Viral gastroenteritis. N Engl J Med. 1991;325(4):252-264. 

  16. Kim TH, Yim CH, Ahn SY, Kang KJ, Choi YM, Ko JH, et al. Clinical features of respiratory adenovirus infections in pediatric inpatients in a single medical center.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6):402-409. 

  17. Pai HJ. Acute infectious diarrhea. Korean J Med. 2007;73(1):114-118. 

  18. Park JJ. Enterohaemorrhagic E. coli O157:H7. Korean J Clin Lab Sci. 1996;28(1):235-241. 

  19. Sukhotnik I, Miron D, Kawar B, Yardeni D, Siplovich L. Perforated appendicitis in Shigellosis. Isr Med Assoc J. 1999;1(2):124-125. 

  20. Daniels NA, MacKinnon L, Bishop R, Altekruse S, Ray B, Hammond R, et al.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ions in the United States, 1973-1998. J Infect Dis. 2000;181(5):1661-1666. 

  21. Ban MA. Campylobacter jejuni Infections: Update on Emerging Issues and Trend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2001;32(8):1201-1206. 

  2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poisoning statistics [Internet]. Seoul: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cited 2017 April 26].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menu_no519&menu_grpMENU_GRP02. 

  23. Ma SH. Acute infectious diarrhea in pediatric patients. Korean J Pediatr. 2005;48(3):235-250. 

  24. Lee SO, Park YJ, Lee HK, Kim SY, Kim JY, Lee SY, et al. Detection of 13 enteric bacteria and 5 viruses causing acute infectious diarrhea using multiplex PCR from direct stool specimens. Ann Clin Microbiol. 2013;16(1):33-38. 

  25. Cho MC, Noh SA, Kim MN, Kim KM. Direct application of multiplex PCR on stool specimens for detection of enteropathogenic bacteria. Korean J Clin Microbiol. 2010;13(4):162-168. 

  26. Hwang BM, Lee DY, Chung GT, Yoo CK. Laboratory surveillance of viral acute gastroenteritis in Korea, 2014.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15;8(49):1172-1177. 

  27. Shim JO. Differential diagnosis of acute diarrheal disorders in children. J Korean Med Assoc. 2012;55(6):516-5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