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TS 염기서열 분석 및 CAPS를 이용한 조이시아 속(Zoysia) 들잔디와 갯잔디의 구별
Molecular Identification of Zoysia japonica and Zoysia sinica (Zoysia Species) Based on ITS Sequence Analyses and CAPS 원문보기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원예과학기술지, v.35 no.3, 2017년, pp.344 - 360  

홍민지 (제주대학교 생명공학부) ,  양대화 (제주대학교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  정옥철 (제주대학교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  김양지 (제주대학교 생명공학부) ,  박미영 (제주대학교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  강홍규 (제주대학교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  선현진 (제주대학교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  권용익 (제주대학교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  박신영 (제주한라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양바오로 (충남대학교 농학과) ,  송필순 (제주대학교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  고석민 (오믹시스) ,  이효연 (제주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Zoysia 속 잔디는 학교운동장 및 공원, 골프장, 스포츠경기장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식재되고 있는 중요한 잔디이다. 해안가에서 자생하는 Zoysia 속 들잔디와 갯잔디는 외부 형태적 특성이 유사하여 외부 형태적 분류 뿐 만 아니라 분자생물학적 분류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nrDNA-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의 DNA 바코드 분석을 통해서 자생하는 들잔디와 갯잔디의 분자생물학적 신속한 분류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난지형 잔디인 Zoysia 속 들잔디(Z. japonica) 및 갯잔디(Z. sinica)와 한지형 대표 잔디인 크리핑 벤트그라스(A. stolonifera) 및 켄터키 블루그라스(P. pratensis)의 nrDNA-ITS 염기서열을 확보하였다. 확보된 들잔디및 갯잔디, 크리핑 벤트그라스, 켄터키 블루그라스의 ITS 염기서열 전체 구간은 각 686bp와 687bp, 683bp, 681bp으로 확인되었으며, nrDNA-ITS 내부 염기서열구간 분석 결과, ITS1의 크기는 248-249bp, ITS2는 270̵-274bp, 5.8S rDNA는 163-164bp의 차이로, 각 4종의 잔디가 ITS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식별되었다. 특히, 들잔디와 갯잔디 nrDNA-ITS 염기서열은 19 염기(2.8%) 차이를 나타냈으며, ITS1과 ITS2의 G + C 함량은 55.4-63.3% 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들잔디와 갯잔디의 ITS 염기서열 차이를 바탕으로 CAPS 마커로 전환하여 대조구 및 수집된 자생 Zoysia 속 잔디 영양체 62개체를 분석한 결과, 외부형태학적 분류법으로 들잔디 개체, 갯잔디 개체로 동정되었지만, ITSCAPS 마커를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분류법으로 들잔디 36개체와 갯잔디 22개체 뿐만 아니라 들잔디와 갯잔디간의 자연교배종 4개체도 식별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들잔디와 갯잔디는 ITS 염기서열 및 ITS 기반 CAPS를 통하여 식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Zoysiagrasses are important turf plants used for school playgrounds, parks, golf courses, and sports fields. The two most popular zoysiagrass species are Zoysia japonica and Zoysia sinica. These are widely distributed across different growing zones and are morphologically distinguishable from each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ITS 분석을 바탕으로 Zoysia 속 들잔디와 갯잔디 간의 유연관계 및 종 구별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및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의 산, 해안지역, 섬에서 자생하는 Zoysia 속 잔디를 수집하고, ITS 염기서열 구간을 이용하여 자생 Zoysia 속 잔디로부터 들잔디 및 갯잔디를 구별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잔디별 ITS 염기서열 차이를 기반으로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CAPS) marker (Konieczny and Ausubel 1993; Kunihisa et al.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및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의 산, 해안지역, 섬에서 자생하는 Zoysia 속 잔디를 수집하고, ITS 염기서열 구간을 이용하여 자생 Zoysia 속 잔디로부터 들잔디 및 갯잔디를 구별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잔디별 ITS 염기서열 차이를 기반으로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CAPS) marker (Konieczny and Ausubel 1993; Kunihisa et al., 2003; Kim et al., 2012)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잔디류의 분류 및 식별을 위해서 ITS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였고, ITS 염기서열 차이를 기반으로 CAPS marker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CAPS marker를 이용하면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들잔디 및 갯잔디, 들잔디와 갯잔디의 자연 교배종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구별할 뿐만 아니라 교잡종 개발 및 교잡 가능성 분석, 신품종 계통 분석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Zoysia 속 잔디는 어떤 잔디인가? Zoysia 속 잔디는 학교운동장 및 공원, 골프장, 스포츠경기장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식재되고 있는 중요한 잔디이다. 해안가에서 자생하는 Zoysia 속 들잔디와 갯잔디는 외부 형태적 특성이 유사하여 외부 형태적 분류 뿐 만 아니라 분자생물학적 분류도 필요하다.
바닷가 및 갯벌과 같은 장소의 잔디에 있어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분류 또한 필요한 실정이 필요한 이유는? , 2013). 그러나 바닷가 및 갯벌과 같은 장소에서 자생하는 내염성 들잔디 및 갯잔디의 경우에는 다른 난지형 잔디에 비해 외부 형태적 특성이 매우 유사하여 비전문가가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기존의 외부형태학적 동정법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분류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잔디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 2012). 잔디는 생육적온에 따라 고온에 강한 난지형 잔디와 저온에 강한 한지형 잔디로 구분되며, 난지형 잔디에는 대표적으로 들잔디(Zoysia japonica)와 갯잔디(Zoysia sinica), 금잔디(Zoysiamatrella), 왕잔디(Zoysiamacrostachya), 버뮤다그라스(Cynodon dactylon)등이 속하며, 한지형 잔디는 크리핑 벤트그라스(Agrostis stolonifera), 켄터키 블루그라스(Poa pratensis), 톨훼스큐(Festuca arundinacea), 라이그라스(Lolium perenne) 등이 있다(Kim and Lee, 2010). 우리나라에서 주로 자생하는 난지형 잔디 Zoysia속(Zoysia species) 중 잔디로 이용되는 것은 들잔디(Z.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