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엽록체 DNA (trnL-trnF, rps16-trnK) 염기서열에 의한 국내 민들레속 유전자원의 유전적 변이와 유연관계 분석
Genetic Variatio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araxacum Based on Chloroplast DNA (trnL-trnF and rps16-trnK) Sequenc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0 no.5, 2017년, pp.522 - 534  

류재혁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첨단방사선연구소 방사선육종연구실) ,  유재일 (기초과학연구원 식물노화수명연구단) ,  배창휴 (순천대학교 대학원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환경에서 수집한 국내 민들레속 유전자원 수집종의 엽록체 DNA 영역(trnL-trnF와 rps16-trnK)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내 간 변이배수성을 구명하여 유전자원 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민들레속 유전자원의 배수성은 털민들레,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가 3배체이고, 흰민들레와 흰노랑민들레는 4배체였다. 염기서열의 길이는 trnLtrnF 영역에서 자생종류인 털민들레, 흰민들레, 흰노랑민들레가 931 bp에서 935 bp, 서양민들레는 910 bp, 붉은씨서양민들레는 975 bp로 종간 차이를 나타내었고, 종 특이적 염기서열 88개, 자생종 및 귀화종 특이적 염기서열 41개가 검출되었다. rps16-trnK 영역은 털민들레 882~883 bp, 흰민들레 875~881 bp, 흰노랑민들레는 878~883 bp 서양민들레 874~876 bp, 붉은씨서양민들레는 847~848 bp로 37개 종특이적 염기서열이 검출되었다. 염기서열의 유사도는 trnL-trnF 영역에서 0.860~1.000 사이로 평균 0.949이며, rps16-trnK 영역의 유사도는 0.919~1.000 사이로 평균 0.967이었다.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trnL-trnF 영역은 크게 자생종류와 귀화종류로 구분되었으며, 서양민들레와 붉은씨서양민들레는 같은 종간에 유집되었고, 자생종류는 분리되지 않았으며, rps16-trnK 4개 그룹과 유집되지 않은 5개체로 나뉘었다. 흰노랑민들레는 두 영역 모두 흰민들레와 동일 계통군을 형성하였고, 염기서열상 두 종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유연관계에서 모두독립적으로 존재한 흰민들레 No. 10 (조계산)과 털민들레 1번(광양)은 민들레 유전자원 육성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genetic variation in 24 Taraxacum accessions from various region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sequences of two chloroplast DNA (cpDNA) regions (trnL-trnF and rps16-trnK). T. mongolicum, T. officinale, and T. laevigatum were triploid, and T. coreanum and T. coreanum var.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trnL-trnF와 rps16-trnK 영역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수집한 국내 민들레 속 식물들의 종내·간 변이와 분자계통분류학적 분류체계 및 유전자원 육성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들레란 무엇인가? 민들레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전초, 뿌리, 잎과 꽃 등 전체 부위를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약용자원이다(Yun and Kim, 2010; Ryu, 2012). 한방에서는 민들레(T.
붉은씨서양민들레의 종특이적인 염기서열은 어떠한가? 서양민들레의 종특이적인 염기서열 중 300에서 311번 사이에 서양민들레 종특이적인 염기서열 11개(GTAGACATAAT)를 연속하여 보유하였고, 이외 2개(285번; 티민, 684번 구아닌)의종특이적 염기가 검출되었다. 붉은씨서양민들레는 955번에서 1032번 사이에 77개 염기(CTGGCTCCTTCAGGAATTAGTTGGGATAGCTCAGTTTGGTAGAGCAGAGGACTGAAAATCCTCGTGTCACCTGTTCAAAT)를 보유하였고, 이외에 12개(시토신: 893번, 894번, 910번, 927번, 티민: 906번, 934번, 946번, 구아닌:919번, 921번, 950번, 결손: 911번, 939번)의 염기를 특이적으로 보유하였다. trnL-trnF 영역의 털민들레, 흰민들레, 흰노랑민들레와 서양민들레, 붉은 씨 서양민들레 간 차이를 나타낸 염기서열은 41개가 검출되었다.
엽록체 DNA의 특징은 무엇인가? 엽록체 DNA (chloroplast DNA)는 유전자의 배열, 구조 및 크기 등에 있어서 매우 보존적이며, 세포내에 많은 수가 존재하고 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 실험이 용이하고, 여러 식물에서 엽록체 DNA의 전체 염기서열이 분석되어 비교연구가 가능하므로 엽록체 DNA의 염기서열 분석은 식물 계통 분류에 매우 유용하다(Boo and Park, 2016; Kim et al., 2016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oo, D. and S.J. Park. 2016.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Tilia L. Korean J. Plant Res. 29(5):547-554 (in Korean). 

  2. Chon, S.U., C.H. Bae and S.C. Lee. 2012. Antioxidant and cytotoxic potentials of methanol extracts from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at different plant parts. Korean J. Plant Res. 25(2):232-239 (in Korean). 

  3. Fang, G., S. Hammar and R. Grumet. 1992. A quick inexpensive method of removing ploysaccharides from plant genomic DNA. Biotechniques 13:52-55. 

  4. Huh, M.K., H.J. Yoon and J.S. Choi. 2011. Phylogenic study of genus Citrus and two relative genera in Korea by trnL-trnF sequence. J. Life Sci. 21(10):1452-1459. 

  5. Huh, M.K., S.K. Oh and B.R. Lee. 2013.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Hemerocallis in Korea using rps16-trnK sequences in chloroplast DNA. J. Life Sci. 23(7):847-853. 

  6. Kim, H.S., K.T. Park and S.J. Park. 2016a.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Hydrangea L. Korean J. Plant Res. 29(4):407-418 (in Korean). 

  7. Kim, J.K., J.Y. Park, Y.S. Lee, S.M. Woo, H.S. Park, S.C. Lee, J.H. Kang, T.J. Lee, S.H. Sung and T.J. Yang. 2016b.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s of two Taraxacum species, T. platycarpum Dahlst. and T. mongolicum Hand.-Mazz. (Asteraceae). Mitochondrial DNA Part B. 1:412-413. 

  8. Kitamura, S. 1957. Compositae Japonicae. Mem. Coll. Sci. Univ. Kyoto ser. B, 24:1-42.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Nature www.nature.go.kr. 

  10. Lee, B.R., S.H. Kim and M.K. Huh. 2010. Phylogenic study of genus Asarum (Aristolochiaceae) in Korea by trnL-trnT region. J. Life Sci. 20(11):1697-1703 (in Korean). 

  11. Lee, C.B. 199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Press, Seoul, Korea. pp. 783-784. 

  12. Lee, Y.N. 1996. Flora of Korea. Kyohak Press, Seoul, Korea. pp. 866-868 (in Korean). 

  13. Morita, T. 1976.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diploid and polyploid Taraxacum in Japan. Bull. Natn. Sci. Mus. 2:23-38. 

  14. Martonfiova, L., L. Majesky and P. Martonfi. 2007. Polyploid progeny from cresses between diploid sexuals and tetraploid apomictic pollen donprs in Taraxacum Sect. Ruderalia. Acta Biol. Cracoviensia Ser. Bot. 49(1):47-54.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The Korean Herbal Pharmacopeia. Korea Administration, Seoul, Korea. 

  16.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 Nat. Sci. Mus. 31:129-135. 

  17. Neuhaus, H. and G. Link. 1987. The chloroplast tRNALys (UUU) gene from mustard (Sinapsis alba) contains a class II intron potentially coding for a maturase-related polypeptide. Curr. Genet. 11:251-257. 

  18. Richards, A.J. 1973. The origin of Taraxacum agamospecies. Bot. J. Linn. Soc. 66:189-211. 

  19. Ryu, J.H. 2012. Growth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genus Taraxacum accessions collected in Korea. Department of Plant Sciences, Ph.D. Thesis, Sunchon Nat'l Univ., Korea. 

  20. Ryu, J. and C.B. Bae. 2012.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 analysis of genus Taraxacum accessions collected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5(3):329-338. 

  21. Shibaike, H., H. Akiyama, S. Uchiyama, K. Kasai and T. Morita. 2002. Hybridization between European and Asian dandelions (Taraxacum section Ruderalia and section Mongolica). 2. Natural hybrids in Japan detected by chloroplast DNA marker. J. Plant Res. 115:321-328. 

  22. Salih, R.H.M., L. Majesky, T. Schwarzacher, R. Gornall and P. Heslop-Harrison. 2017. Complete chloroplast genomes from apomictic Taraxacum (Asteraceae): identity and variation between three microspecies. PLoS ONE 12(2): e0168008. 

  23. Soltis, P.S., D.E. Soltis and J.J Doyle. 1992. Molecular systematics of plant. Chapman and Hall. New York, USA. 

  24. Taberlet, P., L. Gielly, G. Patou and J. Bouvet. 1991. Universal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three noncoding regions of chloroplast DNA. Pl. Mol. Biol. 17:1105-1109. 

  25. Thompson, J.D., D.G. Higgins and T.J. Gibsom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 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 Acids Res. 22:4673-4680. 

  26. Tsai, L.C., Y.C. Yu, H.M. Hsieh, J.C. Wang, A. Linacre and J.C. Lee. 2006. Species identification using sequences of the trnL intron and the trnL-trnF IGS of chloroplast genome among popular plants in Taiwan. J. Forensic Sci. 164:193-200. 

  27. Yun, K.W. and M. Kim. 2010. Korean medicinal plants.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502-5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