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원 치매노인의 성별에 따른 낙상경험 요인 비교
Comparison of risk factors for and experiences with falls according to sex among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4 no.1, 2017년, pp.34 - 43  

정은숙 (평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 Fall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by comparing and analyzing fall experience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suffering fall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02 patients with dementia aged 60 yea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요양원에 입원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낙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3개의 노인요양원에 입원한 대상자의 간호기록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기준 국내 치매노인의 수는 몇 몇인가? 2017년 1월 현재 국내 치매노인의 수는 중앙치매센터의 발표에 의하면 70만 명에 이르고 있으며,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에 의하면 2041년에는 200만 명으로 12.3%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치매 유병률 조사에 의하면 2041년에는 치매 노인의 수가 몇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는가? 2017년 1월 현재 국내 치매노인의 수는 중앙치매센터의 발표에 의하면 70만 명에 이르고 있으며,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에 의하면 2041년에는 200만 명으로 12.3%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노인의 낙상위험 요인 중 성별과 관련하여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은 위험 발생률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낙상 고위험군의 정의는 만성질환을 중복적으로 가지고 있는 사람, 네 개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 여자, 75-80세로 보고하고 있다(Lim, Park, Oh, Kang & Paik, 2010). 성별 관련 낙상위험 요인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여자가 남자에 비해 낙상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Kim, Lee & Song, 2008; Yun, 2012), 이는 여자의 평균수명이 남자보다 길어지고 따라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여자의 비율이 높아지며, 여자의 골다공증 유병률도 높아져 낙상의 발생비율도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Yeom & Na, 2012). 이 밖에 노인의 낙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위험요인에는 이전 낙상경험, 약물복용, 보행장애, 수면장애, 전신쇠약(Kim & Lee,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exander, N. B. (1996). Gait disorders in older adult.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44(4), 434-445. 

  2. Chai, K. J. (2010). A literature review a program of intervention for prevention of falling in the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4(2), 27-34. 

  3.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4. Hendrich, A. L., Bender, P. S., & Nyhuis, A. (2003). Validation of the hendrich II fall risk model: A large concurrent case/control study of hospitalized pati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16(2), 9-21. 

  5. Kang, Y. O., & Song, R. Y. (2015).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fall episodes and fall-related risks of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Muscle Health, 22(3), 149-159. 

  6. Kim, M .K., Lee, M. S., & Song. H. J. (2008). An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falls in the elderly by gender.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2), 1-18. 

  7. Kim, S. J., & Lee, Y. M. (2014). Falls risk factors of elderly in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4), 2191-2203. 

  8. Kim, Y. S., & Choi. K. S (2013). Fall risk factors and fall risk assessment of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1), 74-82. 

  9. Ko, H. E., Kim, J. W., Kim, H. D., Jang, Y. S., Chung, H. A. (2013). Construction validity of the MoCA-K to MMSE-K, LOTCA-G in the Community living Elderly.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 312-320. 

  10. Lee, A. S., & Yoon, C. K. (2010). Risk factors of falls in hospital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5), 2511-2523. 

  11. Lim, E. S., Kim, D. S., & Kim, B. W. (2013), Comparisons of the falls and intrinsic fall risk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the elderly at transitional periods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2), 276-290. 

  12. Lim, J. O. (2015). Circumstances risk factors and predictors of falls among dementia inpatients of a long-term care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yongnam. 

  13. Lim, J. O., & Gu, M. O. (2016). Fall-related circumstances and fall risk factors among inpatient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8(2), 72-83. 

  14. Lim, J. O, Park, W. B., Oh, M. K., Kang, E. K., & Paik, N. J. (2010). Falls in a proportional region population in korean elderly: incidence, consequences, and risk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 Society, 14(1), 8-17.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prevalence of dementia research in 2013[Internet]. Seoul. 

  16. Morse, J., Morse, R., & Tylko, S. (1989). Development of scale to identify the fall-prone patient. Canadian Journal on Aging, 8(4), 366-377. 

  17. Murphy, S., & Trickle, D. L. (2001). Participation in daily living tasks among older with fear of falling.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3), 538-544. 

  18. Nam, Y. H., & Lee, M. S. (2014). Effect of fall risk factors on injury severit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3), 81-91. 

  19. Nationa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Elementary statistics he resources in 2013 [Internet]. Seoul. 

  20. Rubenstein, L. Z. (2006). Fall in older people: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strategies for prevention. Age and Ageing, 35(S2), 37-41. 

  21. Rubenstein, L. Z., & Josephson, K. R. (2006). Falls and their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What does the evidence show. The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90(5), 807-824. 

  22. Sattin, R. W.(1992). Falls among older persons: A public health perspective.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13, 489-508. 

  23. Schoenfelder, D. P., & Rubenstein, L. M. (2004). An exercise program to improve failrelated outcomes in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17(1). 21-31. 

  24. Schwendimann, R., DeGeest, S., & Milsen, K. (2006). Evaluation of the morse fall scale in hospitalized patients, Age and Ageing, 35(5), 311-313. 

  25. Shin, J. G. (2011).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falls among elderly in a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6. Soriano, T. A., DeCherrie, L. V., & Thomas, D. C. (2007). Falls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A review for primary-care providers. Clinical Intervention Aging, 2(4), 545-554. 

  27. Yeom, J. H. (2015). The effect of falling on the mortality of elderly korean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68, 389-408. 

  28. Yeom, J. H., & Na, H. J. (2012). Risk factors of falls among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2), 577-592. 

  29. Yim, E. S., Kim, D. S., & Kim, B. H. (2013). Comparisons of the Falls and Intrinsic Fall Risk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the elderly at Ttransitional Periods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2), 276-290. 

  30. Yun, E. S. (2012). Fall prediction model for community -dwelling elders based on gen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6), 810-8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