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효모 88-4로 제조한 술의 증류 특성
Qualities of distilled liquor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88-4 separated from traditional Nuruk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3, 2017년, pp.279 - 285  

이대형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이용선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서재순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원선이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조창휘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박인태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김태완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팀) ,  김재호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통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효모를 이용한 증류주의 제조특성을 검토하였다. 발효 마지막 날의 술덧 분석결과 알코올은 최종 발효 시에는 17.2%를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succinic acid가 최종 발효 시 가장 높은 $7,164.7{\pm}85.2ppm$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입국에서 유래된 citric acid가 $1,995{\pm}124.3ppm$로 높게 검출되었다. 증류 조건에 따른 알코올 분석 결과 초류를 7% 버리고 본류를 50%까지 받아 증류 수율이 낮은 증류 조건 6이 알코올이 가장 낮은 $29.6{\pm}0.0%$였으며 본류만 30% 받은 증류 조건 4가 가장 높은 $59.9{\pm}0.1%$였다. n-propanol 분석 결과는 1, 4번 조건 증류주에서 가장 높은 $163.4{\pm}18.3$, $174.0{\pm}0.1ppm$이 측정되었고 isobutanol의 경우에도 n-propanol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1, 4번 조건 증류주에서 가장 높은 $234.5{\pm}28.2$, $231.7{\pm}1.0ppm$이 측정되었다. Acetaldehyde는 1, 4번 조건 증류주에서 가장 높은 $303.4{\pm}4.5$, $325.4{\pm}13.1ppm$이 측정되었다. 증류 직후 공통적으로 14개의 휘발성분이 확인되었고 증류주 전체적으로 높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은 isoamyl alcohol이었다. 초류 커트와 상관없이 본류를 50% 받은 3, 5, 6, 7 번 증류 조건에서 달콤한 향을 나타나는 isobutyl alcohol, pleasant fruit과 floral 향을 내는 ethyl octanoate 높게 검출되었다. 증류 후 관능결과로는 1번 조건이 전체적인 기호도와 종합적 평가($5.8{\pm}0.9$)에서 가장 좋은 관능평가를 받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s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distilled liquor prepared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88-4 separated from traditional Nuruk. From analysis of soju mash (sool-dut)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17.2% of alcohol was detected in the final fermentation with succinic acid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효모 연구는 기존 시판효모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증류주용 효모를 자연계에서 분리하고 이것을 이용한 증류주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An과 Kim(11)의 특허 결과인 전통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향미 증진용 효모를 이용한 증류주의 제조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현대 증류식 소주의 품질 향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효모를 이용한 증류주의 제조특성을 검토하였다. 발효 마지막 날의 술덧 분석결과 알코올은 최종 발효 시에는 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 소주의 향기에 큰 역할을 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전통 소주의 품질은 발효 과정 중 효모 또는 누룩과 같은 미생물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효모는 알코올, 카보닐 화합물, 유기산, ester, 아민과 같은 향기성분을 주로 만들어 낸다. 소주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퓨젤유와 방향족 화합물들은 소주의 향기에 가장 큰 역할을 한다(3). 그 동안 우리나라의 증류주에 대한 연구로는 Cho 등(4)이 국내와 일본에서 쓰이는 스테인리스 감압증류기 대신에 유럽을 포함한 대다수의 증류주를 만드는 나라에서 쓰이는 구리 증류기를 이용하여 증류기의 종류에 따른 향기성분과 증류 효율 등의 품질특성을 밝혔고, 효모의 선택에 따라 제품의 맛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우리나라의 전통 소주 제조법의 유래는? 우리나라의 전통 소주 제조법은 일본 원정을 목적으로 한반도에 진출한 원나라에 의해서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문헌에 소주가 기록된 것은 “고려사”로 고려시대부터 이미 소주를 음용하는 풍속이 널리 퍼져 있었다고 본다.
전통 소주의 특징은? 전통 소주는 쌀 또는 다양한 곡류와 누룩으로 빚어 발효시킨 뒤 증류시킨 증류주이기 때문에 곡류 원료나 증류 방법 및 소줏 고리의 형태에 따라 맛과 향기에 독특한 차이가 있다. 전통 소주의 품질은 발효 과정 중 효모 또는 누룩과 같은 미생물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효모는 알코올, 카보닐 화합물, 유기산, ester, 아민과 같은 향기성분을 주로 만들어 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ang JH. History of Korean tradition liquor. Korean J. Diet. 4: 271-274 (1989) 

  2. An BH. Research status of traditional liquors. Bull. Food Technol. 7: 42-47 (1994) 

  3. FACT. Woorisool Treasure House. 1th ed. Foundation of agri. 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Suwon, Korea. pp. 1-343 (2008) 

  4. Cho HC, Kang SA, Choi SI, Cheong C.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uit spirits from a copper distillation appa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43-752 (2013) 

  5. Min YK, Yun HS, Jeong HS, Jang YS. Changes in compositions of liquor fraction distilled from Samil ju with various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440-446 (1992) 

  6. Lee DH, Lee YS, Cho CH, Park IT, Kim JH, Ahn BH. The qualities of liquor distilled from ipguk (koji) or nuruk under reduced or atmospheric press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25-32 (2014) 

  7. Jeong YJ, Seo JH. Volatile compounds of potato sojues produced by different distillation condition. Korean J. Food Preserv. 19: 433-437 (2012) 

  8. Yi HC, Moon SH, Park JS, Jung JW, Hwang KT. Volatile compounds in liquor distilled from mash produced using koji and nuruk under reduced or atmospheric press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80-886 (2010) 

  9. Kim MS, Lee YH, Kim IY, Eom TK, Kim SH, Jo NM, Yu SR, Jeong Y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irits brewed with Phellinus linteus by different Nuruks. Korean Soc. Food Sci. Nutr. 42: 880-886 (2010) 

  10. Choi SI, Kang SA, Cheong C. Yeast selection for quality optimization of distilled spirits. J. Korea Academia-Industrial 14: 3887-3896 (2013) 

  11. An BH, Kim TH. Flavor promoted distilled spirit us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88-4. Korea Patent. 10-2015-0052555 (2015) 

  12. TSINTSA. Textbook of alcoholic beverage-making. Technical Service Institute, National Tax Service Administration, Seoul, Korea (1997) 

  13. Lee DH, Kim JH, Lee JS.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Korean J. Food Nutr. 22: 606-611 (2009) 

  14. Kwon YH, Jo SJ, Kim JH, Ahn BH.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in yakju made with various brewing conditions: Glutinous rice and pre-treatment.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46-52 (2010) 

  15. So MH, Lee YS, Noh WS. Changes in microorganism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Food Nutr. 12: 226-232 (1999) 

  16. Kim HR, Lee AR, Kwon YH, Lee HJ, Jo SJ, Kim JH, Ahn B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of glutinous rice wines depending on the milling degre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5-81 (2010) 

  17. Lee DH, Jung JW, Lee YS, Seo JS, Park I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for preparation of distilled liquor made of mixed g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5-81 (2010) 

  18. In HY, Lee TS, Lee DS, Noh BS.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5-240 (1995) 

  19. Kwon YH, Lee AR, Kim HR, Kim JH, Ahn BH. Quality properties of makgeolli brewed with various rice and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0-76 (2013) 

  20. Bae SM. Distilled soju production technology. Wogok Pub. Co., Seoul Korea. pp.166-306 (2001) 

  21. Bae SM, Jung SY, Jung IS, Ko HJ, Kim TY. Effect of the amount of water on the yield and flavor of Korean distilled liquor based on rice and corn starc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439-446 (2003) 

  22. Lee DH, Jung JW, Lee YS, Seo JS, Park IT, Kim JH, Ahn BH.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stilled liquor produced using ipguk (koji) during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94-701 (2014) 

  23. Song YO.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oju (distilled liquor) depending on different sources of koji.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Seoul, Korea (2010) 

  24. TSINTSA. Alcoholic Liquors Quality Technic of Field. Technical Service Institute, National Tax Service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