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효모와 누룩 첨가량의 영향
Effects of Yeast and Nuruk on the Quality of Korean Yakju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9 no.3, 2011년, pp.274 - 280  

이대형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  강희윤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  이용선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  조창휘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  김순재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  이종수 (배재대학교 생명유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품종과 발효제효모 첨가량 등이 약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다산쌀, 고아미 2호쌀, 큰눈쌀, 추청쌀, 영안쌀을 이용해서 약주를 제조한 후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특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추청쌀을 이용해 제조한 약주가 18.9% 가장 높았고 고아미 2호쌀이 14.0%로 가장 낮았다. 발효 온도에 따른, 누룩과 효모 첨가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20^{\circ}C$에서 누룩 2%, 효모 0.8%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의 알코올 함량이 $18.4{\pm}0.5%$로 최고를 나타내었고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15^{\circ}C$에서 누룩 3%, 효모 0.8%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 역시 알코올 함량이 높고 기호성도 비교적 우수하였다. 담금 회수, 발효방법, 가수량에 따른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발효 3일에는 9.9-10.6%의 에탄올이 생성되었으나 발효 7일에는 17.1-17.2%로 에탄올 생성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멥쌀 대비 100%로 급수하여 만든 죽을 3단 담금 하여 발효 시켰을 때 19.2%의 에탄올을 생성하여 가장 높았고 기호도도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rice varieties, fermentation temperature, nuruks and yeast on the quality of yakju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were investigated. Among various yakju made by using some rice varieties, Chucheong yakju produced the highest ethanol of 18.9%. The maximum amount of ethanol was produced w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우리나라 약주의 표준화 및 다양한 제조방법에 따른 과학화된 자료는 부족한 실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주 제조방법과 발효온도에 따른 누룩과 효모의 첨가량이 약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약주 품질의 표준화와 과학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약주를 제조하는 방식은 어떤 것이 일반적인가? 전통 약주에 대해서는 재래식 형태의 제조 기술 개발, 원료 및 술덧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누룩 및 술덧 중의 미생물과 효소의 분포, 다양한 한약재를 첨가한 약주의 개발 등이 연구 보고되고 있다[7, 13]. 현재 국내에서는 누룩만을 이용하여 약주를 제조하는 전통 방식과 개량누룩에 효모를 첨가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3].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약주가 전분질을 증자하는 획일적인 방법으로 제조되었고 그 전분질 또한 멥쌀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곡자와 시판 효모를 사용하여 약주가 제조되고 있을 뿐 전분질 형태의 종류, 전처리의 유무, 선발 효모와 무증자용 전통 누룩을 이용한 전통주 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약주란 무엇인가? 쌀을 75% 이하로 도정해서 양질의 전분만을 원료로 쓰는 청주[8] 외에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술을 일반 백미 형태로 만들어 쌀에 있는 대부분의 전분과 미량의 단백질을 사용한다. 찹쌀이나 멥쌀을 주원료로 하는 약주는 발효제로서 누룩을 사용하고 발효용 효모를 첨가하여 당화와 발효가 동시에 진행되어 제조되는 병행 복발효주이다[14]. 이 때 발효원료로서는 전분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곡류, 서류 등이 이용되면 전분질은 미생물이나 맥아(麥芽)에 의하여 생성되는 당화효소에 의하여 발효성 당으로 전환되고[16] 당분은 효모에 의하여 혐기적 상태에서 알코올과 탄산가스로 분해된다[11].
약주가 발효되는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찹쌀이나 멥쌀을 주원료로 하는 약주는 발효제로서 누룩을 사용하고 발효용 효모를 첨가하여 당화와 발효가 동시에 진행되어 제조되는 병행 복발효주이다[14]. 이 때 발효원료로서는 전분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곡류, 서류 등이 이용되면 전분질은 미생물이나 맥아(麥芽)에 의하여 생성되는 당화효소에 의하여 발효성 당으로 전환되고[16] 당분은 효모에 의하여 혐기적 상태에서 알코올과 탄산가스로 분해된다[11]. 전분질이 원료인 우리나라 술 만들기에서는 알코올 생성을 위해 누룩의 당화 작용과 효모의 알코올 발효 과정이 모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ae, S. M. 2006. Edible Everything can become Alcoholic Beverages. pp. 9-109. Wogok Pub Co. Korea. 

  3. Bae, S. M., Y. H. Lee, M. K. Lee, S. A. Kang, and C. Cheong. 2008. Effects of traditional Nuruk ration yeast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yakju.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41-48. 

  4. Bruce, W. Z., C. F. Kenneth, H. G. Barry, and S. N. Fred. 1995. pp. 370-372, 426-428.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Chapman & Hall, New York, U.S.A. 

  5. Choi, J. H., J. A. Jeon, S. T. Jung, J. H. Park, S. Y. Park, C. H. Lee, T. J. Kim, H. S. Choi, and S. H. Yeo.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ktanju Fermented by using Different Commercial NuruksKor. J. Microbiol. Biotechnol. 39: 56-62. 

  6. Jang, J. H. 1989.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 J. Dietary Cult. 4: 271-274. 

  7. Kim, C. A., W. G. Lee, I. S. Lee, and M. H. Wang.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i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s of Codonopsis lancelate. Kor. J. Food Sci. Technol. 40: 201-206. 

  8. Kim, H. R., A. R. Lee, Y. H. Kwon, H. J. Lee, S. J. Jo, J. H. Kim, and B. H. Ahn.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of Glutinous Rice Wines Depending on the Milling Degre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5-81. 

  9. Kim, J. H., J. C. Lee, G. S. Lee, B. C. Jeon, N. M. Kim and J. S. Lee. 2002. Manufacture and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ginseng liquor. J. Ginseng Sci. 26: 74-78. 

  10. Kim, J. H., J. H. Lee, H. J. Kim, S. Y. Choi, and J. S. Lee, 2003. Effects of barley koji and legumes on the quality and fibrinolytic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66-1070. 

  11. Kwon, Y. H., S. J. Jo, J. H. Kim, and B. H. Ahn 201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in Yakju Made with Various brewing Conditions; Glutinous Rice and Pre-treatment.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46-52. 

  12. Lee, D. H., J. H. Kim and J. S. Lee. 2009.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Korean J. Food & Nutr. 22: 606-611. 

  13. Lee, D. H., W. J. Park, B. C. Lee, J. C. Lee, D. H. Lee, and J. S. Lee. 2005.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Wine by Using Gugija(Lycii fructus). Kor. J. Food Sci. Technol. 37: 789-794. 

  14. Lee, S. R. 1986. Korean Fermentation Foods. Ewha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224-294. 

  15. NTSTS Institute. 1997. Textbook of alcoholic beveragemaking.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Seoul, Korea. 

  16. Park, J. H., S. M. Bae, C. Yook, and S. J. Kim. 200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with old rice. Kor. J. Food Sci. Technol 36: 609-615. 

  17. Song, B. H., D. H. Kim, S. G. Kim, Y. D. Kim, and K. S. Choi. 1998. Distribution of minerals within the degreed brown rice kernel. Agric. Chem. Biotechnol. 31: 162-1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