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취반방법이 발아현미밥의 산화방지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발아현미 첨가비율별(0, 10, 20, 30, 50 및 100%)로 제조한 발아현미밥의 기능성분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살펴보았다. 호화특성은 발아현미 비율이 증가할수록 최고점도, 최저점도, 강하점도, 최종점도, 치반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발아현미의 경우 일반 밥솥으로 취반했을 때 $20.54{\pm}0.79-20.03{\pm}0.77$로 나타났으며, 압력밥솥$9.76{\pm}0.26-9.27{\pm}0.43$으로 나타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현미 첨가비율이 10, 20, 30, 50 및 100%로 증가할수록 백미를 기준으로 1.18, 1.39, 1.56, 1.90 및 2.91배 증자하였다. 또한 같은 발아현미 비율일 때 10% 발효알코올을 첨가하여 일반밥솥으로 취반하였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취반 시 발효알코올의 첨가와 압력밥솥으로 조리하였을 때 경도의 유의적인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페놀성분과 radical 소거활성의 증가는 발효 알코올의 첨가와 일반 밥솥으로 취반하였을 때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취반방법에 따른 현미밥의 생리활성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cooked using different methods with different amounts of germinated brown rice (10, 20, 30, and 50%) were compared. Germinated brown rice was cooked using general and high-pressure cooking methods with and without fermented alcoh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가공원료로서의 발아현미 자체의 품질 특성과 산화방지 활성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져 왔으나 취반 방법에 따른 현미의 산화방지 기능 등의 생리활성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밥의 식미와 기능성 함량을 높이고자 하여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발아현미 첨가비율별로 취반방법을 달리하여 현미밥을 제조하고 그 취반특성과 산화방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Lee 등(14)의 연구에 따르면 곡류 가열처리 시 알코올의 첨가는 bound-form의 성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해주어 기능성이 향상된다고 보고하였는데 발아 현미밥의 기능성 증진을 위해 발효알코올을 첨가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 쌀을 3회 수세한 다음 물에 침지한(25o C, 30분) 후, 체에 받쳐 물기를 제거였으며, 가수량은 물 120 mL을 첨가하여 취반하였다. 또한 곡류에 열처리시 알코올 첨가가 기능성이 향상되는 연구(14)를 기초로 발아현미 첨가 밥의 기능성 증진을 위해 발효알코올 첨가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발효알코올 첨가하여 취반할 경우는 예비 실험을 통하여 발효취와 식감 등의 관능적 특성을 감안하여 적정 첨가비율을 설정하였으며, 물 100 mL과 발효알코올 20 mL을 넣어 취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취반방법이 발아현미밥의 산화방지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발아현미 첨가비율별(0, 10, 20, 30, 50 및 100%)로 제조한 발아현미밥의 기능성분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살펴보았다. 호화특성은 발아현미 비율이 증가할수록 최고점 도, 최저점도, 강하점도, 최종점도, 치반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미, 보리 등 기타곡물에 비해 현미에 풍부한 산화방지력을 나타내는 생리기능성 물질은? 현미는 배(embryo), 배젖(endosperm) 및 쌀겨층(과피(pericarp), 종피(testa), 호분층(aleuron layer))으로 이루어진 벼열매로서 벼의 겉껍질인 왕겨층만 한번 벗겨낸 쌀로서 백미에 비하여 영양분의 손실이 적으며 지방, 단백질, 비타민, 식이섬유 및 각종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나다(1). 뿐만 아니라 산화방지력을 나타내는 α-tocopherol, α-tocotrienol, γ-tocopherol, γaminobutyric acid (GABA), arabinoxylane, ferulic acid 및 vitamin B1, E 등과 같은 항당뇨, 항고혈압, 면역기능 증진 등의 생리기능성 물질들이 백미, 보리 및 밀 등의 기타곡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2-4). 그러나 현미의 외피는 단단해서 수분흡수율이 낮아 호화가 잘되지 않고 피트산이 존재하여 소화 흡수성이 떨어진다(5).
기타 곡물 대비 현미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뿐만 아니라 산화방지력을 나타내는 α-tocopherol, α-tocotrienol, γ-tocopherol, γaminobutyric acid (GABA), arabinoxylane, ferulic acid 및 vitamin B1, E 등과 같은 항당뇨, 항고혈압, 면역기능 증진 등의 생리기능성 물질들이 백미, 보리 및 밀 등의 기타곡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2-4). 그러나 현미의 외피는 단단해서 수분흡수율이 낮아 호화가 잘되지 않고 피트산이 존재하여 소화 흡수성이 떨어진다(5). 또한 조리 후에도 남아있는 거친 식감 때문에 부드러운 음식에 길들여진 현대인에게는 식미를 감소시 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6). 이러한 현미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풍부한 영양소를 고루 섭취하고 간편한 취사와 부드러운 텍스처로 식미 기호를 높인 발아현미가 등장하였다(7).
현미란 무엇인가? 현미는 배(embryo), 배젖(endosperm) 및 쌀겨층(과피(pericarp), 종피(testa), 호분층(aleuron layer))으로 이루어진 벼열매로서 벼의 겉껍질인 왕겨층만 한번 벗겨낸 쌀로서 백미에 비하여 영양분의 손실이 적으며 지방, 단백질, 비타민, 식이섬유 및 각종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나다(1). 뿐만 아니라 산화방지력을 나타내는 α-tocopherol, α-tocotrienol, γ-tocopherol, γaminobutyric acid (GABA), arabinoxylane, ferulic acid 및 vitamin B1, E 등과 같은 항당뇨, 항고혈압, 면역기능 증진 등의 생리기능성 물질들이 백미, 보리 및 밀 등의 기타곡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o KH, Choi, YM, Choi SG, Lee JS. The change of some compounds in brown rice germinated by filtrate of loess suspension. J. Agr. Life Sci. 40: 41-48 (2006) 

  2. Krishna AG, Khatoon GS, Shiela PM, Sarmandal CV, Indira TN, Mishra A. Effect of refining of crude RBO on the retention of oryzanol in the refined oil. J. Am. Oil Chem. Soc. 78: 127-131 (2001) 

  3. Moon GS, Kim MJ, Jin MH, Kim SY, Park SY, Ryu BM. Physicochemi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ice stored in an unused tunnel. Korean J. Food Cook. Sci. 26: 220-228 (2010) 

  4. Kim SR, Ahn JY, Lee HY, Ha TY. Various properi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ns. Korea J. Food Sci. Technol. 36: 930-936 (2004) 

  5. Kim JM, Yu MY, Shin MS. Effect of mixing ratio of white and germinated brown ric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ies of extruded rice flours. Korea J. Food Cook. Sci. 28: 813-820 (2012) 

  6. Lee JY, Lee WJ. Quality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brown rice flour added nood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81-985 (2011) 

  7. Kum JS, Choi SK, Lee HY, Park JD, Park HJ.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Preserv. 11: 182-188 (2004) 

  8. Kim MH, Tungjaroenchai W, Ryu GH. Effect of germination time and extrusion temperature on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36-642 (2007) 

  9. Oh SS. Study on nutritional properties of sprouting brown rice.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2002) 

  10. Choi JH.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prouted brown rice flour. Korea J. Food Cook. Sci. 17: 323-328 (2001) 

  11. Kang BR, Park M, Lee HS. Germinat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89-394 (2006) 

  12. Song JC, Park HJ. Takju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a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47-854 (2003) 

  13. Kwak JE, Woon SW, Kim DJ, Yoon MR, Lee JH, Oh SK, Kim IH, Lee JS, Lee JS, Chang JK. Changes in nutracetical lipid constituents of pre-and post-germinated brown rice oil. Korean J. Food Nutr. 26: 591-600 (2013) 

  14. Lee KH, Ham H, Kim MJ, Ko J, Kim HJ, Oh SK, Jeong HS, Woo KS. Effects of heating condition and cultivar on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sorghum. Academia J. Biotech. 4: 347-352 (2016) 

  15. Woo KS,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Oh BG, Nam MH, Jeong JH, Jeong HS, Seo MC.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inegars fermented from cereal cops with incalgyu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71-1178 (2010) 

  16. Kim DJ, Oh SK, Lee JH, Yoon MR, Choi IS, Lee DH, Kim YG. Changes in quality properties of brown rice after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00-305 (2012) 

  17. Lee KH, Ham H, Kim HJ, Park HY, Sim EY, Oh SG, Kim WH, Jeong HS, Woo KS. Functional compon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erminated brown rice according to variety. Korean J. Food Nutr. 19: 145-152 (2016) 

  18.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50: 4959-4964 (2002) 

  19. Park HY, Choi ID, Oh SK, Woo KS, Yoon SD, Kim HJ, Sim EY, Jeong ST. Effects of different cultivars and milling degre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839-1846 (2015) 

  20. Kim DJ, Oh SK, Yoon MR, Chun A, Choi IS, Lee DH, Lee JS, Yu KW, Ki, YK. The change in biological activities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81-789 (2011) 

  21. Moon SH, Lee KB, Han MK. Comparison of GABA and vitamin contents of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different soaking solution. Korean J. Food Nutr. 23: 511-515 (2010) 

  22. Oh SK, Lee JH, Won YJ, Lee DH, Kim JG.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shoot length in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59: 223-229 (2014) 

  23. Lee MK, Park JS, Na H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lbyossal (parboiled rice). Korean J. Food Preserv. 17: 208-213 (2010) 

  24. Konik-rose CM, Moss R, Rahman S, Appels R, Stoddard F, McMaster G. Evaluation of the 40 mg swelling test for measuring starch functionality. Starch 53: 21-26 (2001) 

  25. Wi E, Park J, Shin M.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ng quality of Korean organic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Cook. Sci. 29: 785-794 (2013) 

  26. Jung HN, Choi OJ.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with different milling degree of rice cultivar "Deuraechan". Korean J. Food Cook. Sci. 30: 139-145 (2014) 

  27. Yun HR. Properties of milled, brown and germinated brown rice flours preparation of poundcake using them. Master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Chonnam, Korea (2007) 

  28. Lee KH, Yoon SD, Lee JH, Won YJ, Choi I, Park HY, Woo KS, Oh SK. Studies o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mylopectin and texture analysis test of brown rice after germination. Korean J. Crop Sci. 61: 1-8 (2016) 

  29. Han GJ, Park HJ, Lee HY, Park YH, Cho YS. The quality of cooked rice prepared by both an electric cooker and electric pressure cooker, with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Korean J. Food Cook. Sci. 23: 635-643 (2007) 

  30. Park HW, Woo KJ. The hydration properties and the cooking qualities of various brown rices. Korean J. Soc. Food Sci. 7: 25-40 (1991) 

  31. Middleton E, Kandaswami C.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 115-119 (1994) 

  32. Kim SY, Seo BY, Park EJ. The impact of cooking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370-1377 (2013) 

  33. Nieva MM,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00) 

  34. Kim JE, Joo SI, Seo JH, Lee SP.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89-995 (2009) 

  35. Kim SM, Cho YS, Sung SK.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