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렬의 매정보감 연구
A Study on the Maejeong-Bogam (梅亭寶鑑, The Book of Treasured Mirror of Japanese Apricot Pavilion) of Dr. HAN Bangryeol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30 no.1, 2017년, pp.1 - 9  

박훈평 (화순 마루요양병원 한방 6과) ,  안상우 (한국한의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Maejeong-Bogam (梅亭寶鑑) is a manuscript, it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academia because of the clear authorship and relevant treatment methodologies. This article is the result of an extensive study on the author and the contents of the manuscript through the use of various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그러나 저자의 거주지나 생몰연도 등 기본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고, 책의 내용에 대해서도 본격적인 연구로서는 미진한 바가 있었다. 본고는 이를 감안하여 본 문헌을 검토하고, 관련 자료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지방에서 행해졌던 두창치료의 실제 모습과 전승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고는 이를 감안하여 본 문헌을 검토하고, 관련 자료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지방에서 행해졌던 두창치료의 실제 모습과 전승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두창경험방』 이후 지방에서 행해진 두창 치료의 흐름을 살피려는 의도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후기에 두창이 전국적으로 유행해서 생긴 결과는? 조선시대 후기에 두창은 전국적으로 유행했으며, 이에 대 응한 결과 다수의 두창 전문의서가 완성되었다. 특히 박진희 의 ����두창경험방����은 17세기 중엽 이후 두창 전문의서의 출간 을 알리는 시작이었으며, 이후 다른 의서들의 기본 참고서로 활용되었다는 평을 받는다.
두창 전문의서가 민간에게 전해진 두 갈래는 무엇인가? 2) 19세기 두창 전문의서는 목판으로 간행된 중국 청대 의 가의 저작과 필사로 민간에서 전해진 조선인 저작의 두 갈 래가 있다. 전자는 조선에 도입된 이후 주로 관에서 의해 편찬 보급되었는데 朱純蝦의 ����痘疹定論����(1713, 4권), 翟良 (자 玉華)의 ����痘科彙編����(1628, 3권), 曾鼎(호 香田)의 ����痘 疹會通����(15권)3)을 들 수 있으며, 후자는 尹志五의 ����鳳城神 方����4), 柳瑺의 ����古今經驗活幼方����이 대표적이다. 후자의 경우 저자가 알려져 있지 않거나, 저술 시기가 명 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박진희의 두창경험방은 두창과 관련해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조선시대 후기에 두창은 전국적으로 유행했으며, 이에 대 응한 결과 다수의 두창 전문의서가 완성되었다. 특히 박진희 의 ����두창경험방����은 17세기 중엽 이후 두창 전문의서의 출간 을 알리는 시작이었으며, 이후 다른 의서들의 기본 참고서로 활용되었다는 평을 받는다.1) 18세기 말 중국에서 조선에 도 입된 인두종법은 정약용의 ����마과회통����에 언급되었고, 1817년 (순조 17) 이종인의 ����시종통편����에 상세하게 기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공정현 저. 주갑덕 역. 국역 만병회춘(하). 서울:계축문화사. 1977:331-332. 

  2. 광주시립민속박물관. 1798년 광주의 과거시험.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2015:1-116. 

  3. 대한감염학회. 한국전염병사. 서울:군자출판사. 200:236, 287-304, 341. 

  4. 박진희. 두창경험방. 필사지미상. 개인소장본. 

  5. 서울대학교 천연물연구소 편. 마진기방 마진편 마과회통. 서울:오롬시스템. 1995:571. 

  6. 저자미상. 봉성신방. 필사지미상.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古7671-91-26. 

  7. 저자미상. 봉성신방. 필사지미상. 개인소장본. 

  8. 월리엄 맥닐 저. 허정 역. 전염병과 인류의 역사. 파주:한울. 1992:272-279. 

  9. 이천. 편주의학입문 외집권지오. 전주:전라감영. 1820.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무구재 古7673-38. 

  10. 임원준 등 원저, 이우성 편. 창진집(영인). 성남:아세아문화사. 1997:441-450. 

  11. 청주한씨대동족보편찬위원회. 육교 정묘 청주한씨대동족보 11. 대전:회상사. 1993:58-60. 

  12. 풍천노씨세보편찬위원회. 풍천노씨세보 상. 대전:회상사. 1975:106. 

  13. 한방렬. 매정보감. 필사지미상.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古7671-91. 

  14. 허준 저. 동의보감국역편찬위원회 역. 대역 동의보감. 서울:법인문화사. 1999:1719. 

  15. 허준 저. 안상우, 권오민 역. 국역 언해두창집요(국역 허준의학전서 3).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11:3-176. 

  16. 김상현. 두창경험방에 나타난 두창 치료의 특징과 그 의의.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6;29(4):37-52. 

  17. 김중권. 매정보감: 이귀복. 선본해제 15. 서울:국립중앙도서관. 2013:107-108. 

  18. 양영준, 안상우. 조선의서 증보만병회춘에 대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06;19(2):119-143. 

  19. 이선아. 19세기 고창지방 은수룡이 남긴 경험의안. 한국의사학회지. 2005;8(2):63-91. 

  20. 이정현. 신규 발굴 의안 명의경험록 연구. 한약정보연구회지. 2016;4(3):51-61. 

  21. 홍세영, 안상우. 우잠잡저에 관한 일고. 호남문화연구. 2009;46:277-323. 

  22. 김희태. "1754년의 전통의서, 한방열의 매정보감" (2017.1.23) 

  23. 안상우. (2013.8.1) "매정보감(1)" 고의서 산책(596) [민족의학신문] 

  24. 안상우. (2013.8.15) "매정보감(2)" 고의서 산책(597) [민족의학신문] 

  25. 안상우. (2013.8.22.) "매정보감(3)" 고의서 산책(598) [민족의학신문] 

  26. 안상우. (2013.8.29.) "봉성집" 고의서 산책(599) [민족의학신문] 

  27. 안상우. (2003.9.1.) "봉성신방" 고의서 산책(170) [민족의학신문] 

  28. 국립중앙도서관. 자료검색DB(ttp://www.nl.go.kr) 

  29.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30. 해남윤씨중앙종친회. 전자족보(http://www.haenamyun.com). 

  31.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고전명저총서 데이터베이스(http://jisik.kiom.re.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