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한론(傷寒論)』 영역본과 『동의보감(東醫寶鑑)』 영역본 잡병편 '한(寒)'문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English Translations of Shanghanlun (Treatise on Cold Damage) and the Cold Pathogen Chapter of Donguibogam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30 no.1, 2017년, pp.33 - 41  

김도훈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김동율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정지훈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tilized Corpus-based Analysis process to compare the Cold Pathogen chapter in the 'English version of "Donguibogam"' to the 'English version of the "Shanghanlun"' translated by 罗希文 (Luo xi wen). Results of the linguistic analysis indicate that TTR, a ratio of number of types to number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또한 赵霞의 논문에서는 杨 洁德가 번역한 『傷寒論』의 번역전략과 특징을 네 가지로 밝혔는데, 주석을 결합시킨 음역, 교류를 목적으로 한 직역, 中醫 개념을 해석한 술어와 西醫 술어의 사용, 조문의 의학 사상의 각도에서 中醫의 문화적 특징 전달 등으로 규정하였다.8) 본 논문에서도 두 논문에서 서술한 번역 원칙 및 전략을 참고하여 두 번역본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 『東醫寶鑑』 ‘寒’문에서는 이들 처방을 그대로 수록하기도 하고 후대 의가들의 처방을 인용하여 서술을 하고 있다. 『傷寒論』에 나오는 처방명에 대한 번역 또한 두 파일을 비교하여 보면 약간의 차이점을 보이는데 대표적인 것들을 표로 정리하여 보았다.
  • 본 논문에서는 상술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한의학의 대표적 서적인 『傷寒論』의 영역본과 『東醫寶鑑』 영역본에서 상한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잡병편 ‘寒’문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각각의 같은 점과 상이점을 찾아보고 상이점이 나타나게 된 원인 등을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 아울러 앞으로 다양하게 진행될 한의학서적의 번역작업을 통하여 전통의학을 서구사회에 알릴 수 있게 되기를 기원하면서 이를 위하여 필수적인 양질의 번역연구 환경의 조성을 촉구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罗본> Question : How does the Greater Yang syndrome come into being?
  • <罗본> Question : What are the difference and respective symptoms and signs of Blocked-up Chest (Jiexiong) and Viscera Stagnancy (Zangjie)?
  • h1>Ⅰ.
  • h1>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傷寒論』의 특징은 무엇인가? 중국은 이미 오래전 부터 자국의 고의서를 영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한국은 최근에야 『東醫寶鑑』 발간 400주년을 맞이하여 『東醫寶鑑』의 영역 작업을 행하여 결과물을 내놓게 되었다. 수많은 한의학 서적 중에서 『傷寒論』은 외감 열성병 질환을 다룬 최초의 서적으로서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영향을 끼친 책이다. 그러하기에 중국은 물론이고 서구에서도 『傷 寒論』을 번역하는 작업이 다양하게 이루어 졌다.
번역본에서 '육경'에 대한 표현의 차이는?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傷寒論』의 중요한 표현 방식인 육경, 즉 삼음삼양에 대한 표현이 다르다. 罗본에서는 태양, 양명, 소양, 태음, 소음, 궐음을 각각 Initial Yang, Greater Yang, Lesser Yang, Initial Yin, Lesser Yin, Greater Yin(Jue Yin)으로 번역하고 있는 반면에 ‘寒’문에 서는 태양, 양명, 소양, 태음, 소음, 궐음을 각각 Greater Yang, Yang brightness, Lesser Yang, Greater Yin, Lesser Yin, Reverting Yin으로 번역하고 있다. 9) 상한의 육경은 역대로 많은 의가들에 의해 그 해석이 분분하였는데, 그것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른 관점이 이와 같이 영어로의 번역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좋은 의서 번역을 위한 논문 저자의 제언은 무엇인가? 번역에서의 이전능력이란 언어능력과 주제능력을 통합하여 효과적으로 상호 관련시켜, 원문에 충실하면서도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좋은 번역을 위해 어휘의 선택, 사용하는 문법 구조, 도착어에서 명시하는 출발어의 암시적 정보량, 사용하는 보충자료의 유형과 범주를 늘려가면서 언어학적 요소들을 제고하여, 출발어에 충실 하면서도 도착어 독자에게 원문과 흡사한 효과를 줄 수 있는 문화적 등가실현 역량을 갖추어 14) 질 수 있도록 양질의 연구 환경이 만들어 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오준호. 東醫寶鑑 전산화 성과와 한의학 고문헌 전산화의 과제. 한국의사학회지. 2015;28(1):111-119. 

  2. 이승재. 번역등가와 언어학적 갭에 대한 고찰. 통번역학연구. 2012;16(1):129-144. 

  3. 정지훈, 김동률, 김도훈. 코퍼스 분석방법을 이용한 東醫寶鑑 영역본의 어휘 분석. 한국의사학회지. 2015;28(2):37-45. 

  4. 林亭秀, 孫燕. > 的英譯發展與思考. 中醫?育. 2010;29(3):29-31. 

  5. 楊樂, 周春祥. 基于兩個 > 譯本的中醫英譯方法探析. 時珍國醫國藥. 2013;24(8):2037-2039. 

  6. 趙霞. 楊潔德 > 英譯本?譯策略探究. 西部中醫藥. 2015;28(5):150-153. 

  7. 이상원. 東醫寶鑑의 傷寒에 대한 認識.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8. 雷燕. 三種 > 英譯本的對比硏究. 南京中醫藥大學 碩士學位論文. 2008. 

  9. 羅希文譯. 傷寒論. 北京:新世界出版社. 2007. 

  10. Kim Namil, Cha Wung Seok, et al. DONGUIBOGAM. Seoul: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11. Luo Xiwen. Treasured Mirror for Eastern Medicine. Beijing:Social Science Academic Press. 2012. 

  1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 손안에 동의보감'.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