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6, 2017년, pp.121 - 130  

정현숙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  공정현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  전미양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역량 증진 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이 임상에서 경험한 환자안전 사고는 낙상(50.0%), 주사바늘 찔림(18.5%), 환자확인 오류(12.0%), 주사투약 오류(7.5%), 경구투약 오류(4.3%)순이었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환자안전관리 태도(t=6.09, p<.001), 임상의사결정능력(t=3.97, p<.001) 및 성별(t=2.56, p=.011)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안전관리 태도, 임상의사결정능력 및 성별을 고려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d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Confidence in Performance Patient Safety Management targeted nursing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228 nursing students. The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patientl safety accidents in the fall (50.0%), needle puncture (18.5%), P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역량 증진 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안전에 대한 기본 교육과 함께 환자 안전을 실천하는데 필요한 의사소통, 팀워크와 리더십 등의 기술에 대한 교육도 함께 실시할 필요가 있다[20-21]. 이에 본 연구진은 간호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관리 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 할 때 시나리오 기반 표준화 환자 또는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 또한 수술전후 간호를 중심으로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의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28]에서 동료학습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를 형성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환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예비 간호사의 역할을 체험할 수 있어 간호대학생의 간호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28] 결과를 근거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의사결정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시뮬레이션과 동료학습방법을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하는 이유는? 환자 안전사고는 환자에게 정신적인 피해와 고통을 주고 입원기간을 연장시키며, 기존의 질병을 악화시키는 등 경제적인 손실과 환자 상태를 위협하는 원인이 된다[17]. 그러므로 의료기관 종사자 뿐 아니라 임상실습에서 환자간호에 참여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역량을 증진시켜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환자안전에 대한 정책이나 규제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가? 그러나 당시에는 의료기관인증평가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어서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 인증을 신청한 병원의 환자안전에 대해 평가하는 것 이외에는 환자안전에 대한 정책이나 규제가 없었다. 그러나 2013년 국가에서 요양병원과 정신병원은 의무적으로 인증평가를 받게 하면서 환자안전관련 기준들이 강화되었고[5], 2015년 1월 환자안전법이 제정되고 2016년 7월부터 환자안전법이 시행되고 있다.
환자안전사고는 무엇인가? 환자안전사고는 병원내에서 발생하는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사고로, 그 사고로 인해 환자에게 발생한 피해의 유무와 상관없이 병원에서 일어나는 모든 종류의 과오(error), 실수(mistake), 사고(accident) 등을 포함한다[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9)는 환자안전을 ‘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허용되는 최소한으로 낮추는 것’ 으로 정의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ospital survey on patients safety culture". Agency for Health Research and Quality(AHRQ) Publication, 2004. from http://www.ahrq.gov/qual/patientsafetyculture/hospsurvindex.htm 

  2. "World Health Organization. Final technical report for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patient safety", Retrieved January, 2009, from http://www.search.who.int/search?qFinal+technical+report+for+the+conceptual+framework+++++++for+the+international+classification+for+patient+safety&ieutf8&sitedefault_collection&client_en&proxystylesheet_en&outputxml_no_dtd&oeutf8 

  3. L. T. Kohn, J. M. Corrigan, & M. S. Donaldson, "To erro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0. 

  4. S. I. Le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mechanism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Korea", Seoul: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p. 4, p. 15, 2013. from http://cdc.go.kr/CDC/notice/CdcKrInfo0201.jsp?menuIdsHOME001-MNU1154-MNU0005-MNU1889&cid21512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Agency. Gdelines for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2007. Policy-Healthcare-2007-20. http://khna.or.kr/bbs/linkfile/2007/070527.pdf 

  6. J. H. Park, "Hospital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small & medium hospitals(Seoul, Incheon)", Gacho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1. 

  7. E. N. de Vries, M. A. Ramrattan, S. M. Smorenburg, D. J. Gouma, & M. A. Boermeester, "The incidence and nature of in-hospital adverse events: A systematic review",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Vol. 17, No. 3, pp. 216-23, 2008. https://doi:10.1136/qshc.2007.023622. 

  8. "The study on cost of medical accident to improving risk in comprehensive valu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9. Seo, Y. S., & Do, E. S, "Influence of Safety Culture Perception, Safety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s Perceived for Nurses in Nursing Home". Jou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303-311, 2015.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53854 

  10. J. M. Lee, S. J. Hong & M. H. Park,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ICU Nurses" Crisisonomy, Vol. 9, No.11, pp. 273-290, 2013.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10197 

  11. J. H. Park, & M. H. Park,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20, No. 1, pp. 5-14, 2014. 

  12. S. H. Son, "A study on nur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practice in safety management", Keimy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6. 

  13. S. H. Choi, & H. Y. Le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um".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1, No. 2, pp. 184-192, 2015.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2.184 

  14. W. S. Madigosky, L. A. Headrick, K. Nelson, K. R. Cox, & T. Anderson, "Changing and Sustaining Medical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Patient Safety and Medical Fallibility", Academic Medicine, Vol. 81, No. 1, pp. 94-101, 2006. 

  15. H. M. Jenkins, "A research Tool for Measuring Perceptions of Clinical Decision Mak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 1, No. 4, pp. 221-229, 1985. 

  16. G. H. Beak, "A Study on Reporting system on accident in patient safety-focusing on comparing the reforming medical law systems in Japan", Kangwon law review, Vol. 45, No. 1, pp. 325-351, 2015. 

  17. Y. M. Lee, "Safety Accident Occurrence to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1, pp. 117-124, 2012.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117 

  18. K. K. Kim, M. S. Song, K. S. Lee, & H. K. Hur. "Study on factors affecting nurses' experience of non-reporting inci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2, pp. 454-463, 2006. 

  19. H. R. Roh, H. J. Seol, S. S. Kang, I. B. Suh, & S. M. Ryu, "Using Medical Error Cases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 20, No. 3, pp. 265-271, 2008 http://dx.doi.org/10.3946/kjme.2008.20.3.265 

  20. H. Lester, & J. Q. Tritter, "Medical error: a discussion of the medical construction of error and suggestions for reforms of medical education to decrease error", Medical Education, Vol. 35, pp. 855-861, 2001. 

  21. J. M. Lee, S. J. Hong, & M. H. Park,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ICU Nurses", Crisisonomy, Vol. 9, No. 11, pp. 273-290, 2013. 

  22. S. S. Huh, & H. Y. Kang, "The Attitude of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Vol. 16, Vo. 8, pp.5458-5467, 2015. http://dx.doi.org/10.5762/KAIS.2015.16.8.5458 

  23. R. L. Wears, B. Janiak, J. C. Moorhead, A. L. Kellermann, C. S. Yeh, M. M. Rice, G. Jay, S. J. Perry, & R. Woolard, "Human error in medicine: promise and pitfall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part2, Vol. 36, No. 2, pp.58-60, 142-144, 2000. 

  24. S. D. Cho, S. E. Heo, & D. H. Moon, "A convergence study on the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nursing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125-136, 2016. http://dx.doi.org/10.15207/JKCS.2016.7.1.125 

  25. H. Y. Kim, & H. S. Kim,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pp. 413-422, 2011. 

  26. K. J. Kim, "Development of website-based patient safety culture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9, pp. 152-167, 2013. 

  27. S. H. Yoo,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of one tertiary hospital nurse on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6. 

  28. I. H. Park, & S. J. Shin, "The Effects of Video-based Peer assisted Learning in Standardized Patients Simulation: Pre and Post Operative Ca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7, No 1, pp 73-8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