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수지 모의 모형을 통한 군남홍수조절지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to use Gunnam flood control reservoir through a reservoir simulation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6, 2017년, pp.407 - 418  

양원석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안재황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이재응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임진강 유역은 북한과 인접해 있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수문관측에 어려움이 있고 급작스러운 홍수발생 시 대응측면에서 취약하다. 이에 따른 대책으로 2005년 군남홍수조절지 건설이 계획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 대책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무단방류에 의한 피해가 계속 발생되고 있고, 2012년부터 지속된 한반도 가뭄의 영향과 북측댐의 일방적인 저수로 임진강 유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임진강 하류에서 가뭄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유역의 가뭄피해를 대비하고 홍수발생 시 효율적인 대응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군남홍수조절지의 새로운 운영방법을 도출하였다. 먼저 가뭄피해 대비를 위해 저수용량을 확보하는 방안으로서 홍수기 군남홍수조절지 운영수위를 EL.23.0 m에서 EL.31.0 m로 상향하여 유지하는 운영방법은 기존운영방법과 비교 분석 시 약 14백만 $m^3$의 용수를 추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홍수발생 시 초기 $250m^3/s$로 조절방류를 하여 유입량을 일부 저류시키는 운영방법은 기존운영방법과 비교 분석 시 저수지 저류효과가 평균 2.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운영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약 19시간의 대응시간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geographical features of being close to DPRK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Imjin River basin has difficulties in hydrological observation, and is vulnerable to unexpected flood occurrence. As a countermeasure, Gunnam Flood Control Reservoir construction was planned in 2005. D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의 유량감소로 발생하는 하류 피해대응과 홍수기 북한의 무단방류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군남홍수조절지의 새로운 운영규칙을 제시하여 가뭄 및 급작스러운 홍수에 대응하는 방안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풍수해재난대책 기간에 군남홍수조절지의 운영 기준을 검토하여 급작스러운 홍수발생 시 임진강 하류의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고 가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운영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운영대안에 대하여 홍수사상 발생 시 군남홍수조절지의 운영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Fig. 4와 같이 3가지 경우에 대해 분석하였다.Case 1은 기존운영방법, Case 2는 가뭄피해 대비 운영방법, Case 3은 긴급상황 발생 시 대응시간 확보 운영방법이다.
  • 선정한 새로운 운영대안의 목적은 군남홍수조절지의 한정된 저류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적절한 방류를 통해 임진강 하류부의 홍수 피해 및 가뭄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운영대안별 평가방법은 본 연구에서 구축한 HEC-ResSim 모형 을 이용하여 모의 운영 후 운영의 적합성과 운영실적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인 첨두수위(EL.
  • 다만, 2014년 홍수사상은 1992년 이후 22년 만의 발생한 마른장마에 의하여 재난대책기간에도 작은 유입량이 지속되었기 때문에 운영 효과를 판단하기 어려워 제외하였다. 홍수사상은 Table 3과 같이 선정하였으며 대안별 운영효과 분석과 북측 황강댐으로부터 무단방류 발생 시 홍수조절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북한의 무단방류에 의한 홍수사상은 정부의 발표, 기사, 보고서 등을 활용해 홍수사상을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0 m, 운영방법은 「Basic and Detailed Design Report of Gunnam Flood Control Dam Construction Projec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7)」에서 수립된 기존운영방법을 따른다. 그리고 Case 2의 운영방법은 Case 1과 동일하며 초기수위는 가뭄 피해 대비에 따른 용량확보를 위해 EL.31.0 m 까지 저수를 유지한 상태를 가정하여 모의하였다. 그리고 Case 3은 조절방류를 통한 댐 관리자의 대응 및 인명대피 시간 확보를 위한 운영 방안으로서 초기 저수지 수위조건은 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진강 유역은 어떤 특성 때문에 수문관측에 어려움이 있는가? 임진강 유역은 북한과 인접해 있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수문관측에 어려움이 있고 급작스러운 홍수발생 시 대응측면에서 취약하다. 이에 따른 대책으로 2005년 군남홍수조절지 건설이 계획되었다.
임진강 유역은 어떤 면에서 취약한가? 임진강 유역은 북한과 인접해 있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수문관측에 어려움이 있고 급작스러운 홍수발생 시 대응측면에서 취약하다. 이에 따른 대책으로 2005년 군남홍수조절지 건설이 계획되었다.
무엇에 따른 대책으로 2005년 군남홍수조절지 건설이 계획되었는가? 임진강 유역은 북한과 인접해 있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수문관측에 어려움이 있고 급작스러운 홍수발생 시 대응측면에서 취약하다. 이에 따른 대책으로 2005년 군남홍수조절지 건설이 계획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2013). HEC-ResSim: reservoir system simulation use's manual (version 3.1), U.S. Army Crops of Engineers. 

  2. Jang, S. H., Lee, J. K., Oh, J. H., and Lee, H. S. (2016). "Drought and water deficit analysis in Imjin river basin: focusing on influence of Hwanggang dam in North Korea." Crisionomy,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Vol. 12, No. 5, pp. 79-95. 

  3. Kim, D. P., Kim, K. H., and Kim, J. H. (2011). "Runoff estimation of Imjin river basin through april 5th dam and Hwanggang dam construction of North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Environmental Sciences, Association, Vol. 20, No. 12, pp. 1635-1646. 

  4. Kwak, C. J., Choi, W. J., and Cho, J. W. (2015). "An assessment of flooding risk using flash flood index in North Korea -focus on Imjin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8, No. 12, pp. 1037-1049. 

  5. Lee, C. S. (1997). A study of flood propagation analysis and Yunchun dam failure in the Imjin river basin, Kyonggi University. 

  6. Lim, H. T. (2001). The study on effects to lower basin water surface elevation by the flood in watershed of the Imjin river, Kyonggi University.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7). Basic and detailed design report of Gunnam flood control dam construction project.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Imjin river master plan.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Water vision 2020 report.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Disaster status management information. 

  11. Park, S. S. (2000). The study on estimating flood discharge & measurement for flood disaster control in watershed of the Imjin river. Kyonggi University. 

  12. Song, M. Y., Lee, G. Y., Baek, K. O., and Han, S. H. (2015). "Preliminary assessment of decreased river flow and its adaptive management in Imjin basi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Vol. 2015, pp. 1-105. 

  13. Yu, M. S. (2016). Development of observed and forecasted rainfall application techniqu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flood prediction for ungaged watershed. Ajou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