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의료보험이 의료기관 종별 선택에 미치는 영향: 관절염 환자의 외래 이용을 중심으로

The Impact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Medical Institution Selection: Evidence from Outpatient Service Utilization among Arthritis Patients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2 no.2, 2017년, pp.58 - 69  

유창훈 (가톨릭대학교 의료경영대학원) ,  강성욱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  최지헌 (지구촌보건의료연구소) ,  권영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과 및 가톨릭의료경영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rivate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interest in overuse of the medical service is increasing.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PHI) on medical institution selection in outpatient service utilization among persons with arthr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응급의 경우에는 상태의 위급성이나 접근 가능한 응급의료기관의 분포가 개인의 특성보다 미치는 영향이 크다[26]. 따라서 개인의 선호나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민간의료보험이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외래이용을 분석대 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2014년 자료에서 관절염으로 외래 의료이용을 한 건을 대상으로 민간의료보험이 의료 기관 종별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병원급 의료기관 이용의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외래방문 건을 대상으로 분석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사람이 의료기관을 여러 번 방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분산으로 인한 회귀계수의 편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 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빗 분석에서 이분산을 고려하고자 군집오차수정(cluster error correction)을 통해 회귀계수, 한계 효과를 산출하여 보험 가입 형태에 따른 보험의 효과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통계적 분석도구로는 계량분석모형에서 많이 활용되는 SAS 통계패키지 ver.
  • 외래 의료이용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민간의료보험 가입 형태(실손형 가입군, 정액형 가입군, 비가입군으로 구분)별 인구사회적 특성, 경제적 특성, 건강상태 특성, 건강행태 특성 변수의 차이를 보기 위한 기술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험 가입 형태에 따른 특성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 분산검정 등을 활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 연구들도 정액형과 실손형 민간의료보험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거나 의료기관 선택에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의 종류나 중증도, 건강 상태의 통제에서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20,27-28].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간의료보험이 의료이용의 질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관절염 환자의 외래 의료이용에서 민간의료보험이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이하 ʻ병원급ʼ으로 기술)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의료이용 시 본인 부담금을 직접 보상해주는 실손형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최근 크게 증가한 현실을 감안하여 민간의료보험의 종류를 구분해서 병원급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간의료보험이 의료이용의 질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관절염 환자의 외래 의료이용에서 민간의료보험이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이하 ʻ병원급ʼ으로 기술)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의료이용 시 본인 부담금을 직접 보상해주는 실손형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최근 크게 증가한 현실을 감안하여 민간의료보험의 종류를 구분해서 병원급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의료보험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민간의료보험은 개인적으로 치료비 부담 등을 감소시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도덕적 해이(moral hazard)로 인한 사회적 후생의 감소를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다[6]. 보험가입자의 도덕적 해이(moral hazard)는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발병률을 낮추는 예방 행위 등을 게을리 하는 사전적(ex ante) 도덕적 해이와 질병 발생 이후에 보험으로 인해 환자 부담이 감소하여 의료서비스의 이용량을 증가시키는 사후적(ex post) 도덕 적 해이로 구분한다.
국민의료비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급속한 고령화와 소득 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해 의료서비스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국민의료비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민의료비는 2012년에 97.
유럽 국가의 경우 민간의료보험이 전문의 진료 선택 확률을 유의하게 높인다고 해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연구는 민간의료보험이 전문의 진료 선택 확률을 유의하게 높인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 이유로는 유럽 국가의 경우 일반의의 경우 진료 대기시간이 길기 때문에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한 경우에 전문의 진료를 통해 대기 시간을 줄이려는 욕구가 있다는 해석을 하고 있다.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OECD. OECD Health Statistics 2014.(http://www.oecd.org). 

  2. Sung SC, Son MS.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3. Jeong HS. The achievement and challenges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improvement policies. HIRA Policy Brief. 2015;9(3):22-30.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National health expenditure (accoun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5. Seo NG, Kang TW, Hwang YH, Park JJ Lee SH, Lee JA et al. A basic report on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of 2013.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6. Dionne G. Handbook of insurance, Springer, 2000. 

  7. Yun H. Effects of private insurance on medical expenditure. KDI J Econ Policy 2008;30(2):99-128. 

  8. Kang S, You CH, Oh EH, Kwon YD. The impact of having private health insurance on healthcare utilization with controlling for endogeneity.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0;16(1):139-159. 

  9. Kim DH. Effects of fee-for-service health insurance on medical consumption. Korean Insur J 2014;98(98):61-90. 

  10. Jeon B, Kwon S. Effect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health care utilization in a universal public insurance system: a case of South Korea. Health Policy 2013;113(1):69-76. 

  11. You CH, Kang S, Choi JH, Oh EH, Kwon YD. The effect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health care utilization: evidence from Korea Health Panel (2008-2010).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14;8(2):101-113. 

  12. Ettner S. Adverse selection and the purchase of Medigap insurance by the elderly. J Health Econ 1997;16(5):543-562. 

  13. Khandker RK, McCormack LA. Medicare spending by beneficiaries with various types of supplemental insurance. Med Care Res Rev 1999;56(2):137-155. 

  14. Harmon C, Nolan B. Health insurance and health services utilization in Ireland. Health Econ 2001;10(2):135-145. 

  15. Vera-Hernandez, Angel M. Duplicate coverage and demand for health care. The case of Catalonia. Health Econ 1999;8(7):579-598. 

  16. Sapelli C, Vial B. Self-selection and moral hazard in Chilean health insurance. J Health Econ 2003;22(3):459-476. 

  17. Buchmueller TC, Couffinhal A, Grignon M, Perronnin, M. Access to physician services: does supplemental insurance matter? Evidence from France. Health Econ 2004;13(7):669-687. 

  18. Bolhaar J, Lindeboom M, Van Der Klaauw B. A dynamic analysis of the demand for health insurance and health care. Eur Econ Rev 2012;56(4):669-690. 

  19. Jones, AM, Koolman X, Van Doorslaer E. The impact of having supplementary private health insurance on the use of specialists. Annales d'Economie et de Statistique, 2006;83/84:251-275. 

  20. Rodriguez, M, Stoyanova A. The effect of private insurance access on the choice of GP/specialist and public/private provider in Spain. Health Econ 2004;13(7):689-703. 

  21. Van Doorslaer E, Clarke P, Savage E. Hall J. Horizontal inequities in Australia's mixed public/private health care system. Health Policy 2008;86(1):97-108. 

  22. Kim M, Kwon S. The effect of outpatient cost sharing on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elderly. J Prev Med Public Health 2010;43(6):496-504. 

  23. Kim, HJ, Kim YH, Kim HS, Woo JS, Oh, SJ. The impact of outpatient coinsurance rate increase on outpatient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in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 Health Policy Manag 2013:23(1);19-34. 

  24. Kang HJ. Policy direction for de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atients to extra-large hospitals. Health Welf Forum 2014:210(10);65-76. 

  25. Cheong C, Lee TJ. The effect of increase in coinsurance rate for tertiary hospital visits on the choice among different types of medical facilities stratified by income levels in Korea.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5:21(1);103-124. 

  26. You CH, Kwon YD. Factors influencing medical institution selection for outpatient services. J Korean Med Assoc 2012;55(9):898-910. 

  27. Lee JC, Park JS, Kim HN, Kim KH. Health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 depending on the type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in Korea. Korean J Hosp Manag 2014:19(4);57-68. 

  28. Kim DR. The effect of having usual source of care on the choice among different types of medical facilities. Health Policy Manag 2016:26(3);195-206. 

  29. Jung YH, Seo NG, Go SG, Han EJ. A report on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of 2008.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30. Cho WH, Kim HJ, Lee SH. A study on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Korean J Prev Med 1992;25:53-63. 

  31. Lee SH. A study of hospital choice on the basis of consumption values theory. J Prev Med Public Health 1997;30:413-427. 

  32. Habtom GK, Ruys P. The choice of a health care provider in Eritrea. Health Policy 2007;80:202-217. 

  33. Lee JC, Kim KH, Kim HN, Park YH.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ypertension outpatients' choice of healthcare provider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1:54(9):961-970. 

  34. Lee JC, Kim KH, Kim HN, Kim NS. Factors associated with diabetes outpatient use of tertiary or general hospitals as their usual source of care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2:55(12):1215-1225. 

  35. Lee EB. (2012). Clinical Manifestation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Arthritides. Korean J Med, 83(2), 157-161. 

  36. Choi JH, Kang S, You CH, Kwon YD. The determinants of choo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or conventional medicine: findings from the Korea Health Pane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5;2015:147408. 

  37. You CH, Kang S, Kwon YD, Oh EH.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private health insurance on health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indemnity vs. fixed-benefit. Korean Soc Secur Stud 2011;27(1):277-292. 

  38. Grossman M. On the concept of health capital and the demand for health. J Polit Econ 1972:80(2):223-255. 

  39. Anderson R. A Behavioral Model of Families' Use of Health Services. Research Series No. 25. Chicago: Center for Health Administration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1968. 

  40. Yun H, Lee S. Primary care and health care reform in Korea. Working paper (2012-04). Seou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12. 

  41. Yun KJ, Oh YH, Lee SH, Ha SL, Yeo JY, Kim JH, et al. Issues and improving strategies on Korea Healthcare Delivery System, KIHASA,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