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의료보험 가입 유형별 의료 이용: 6개년 불균형패널 분석
Effect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Medical Care Utilization: Six Year Unbalanced Panel Data Model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1 no.3, 2017년, pp.51 - 64  

유창훈 (가톨릭대학교 의료경영대학원) ,  강성욱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  최지헌 (지구촌보건의료연구소) ,  권영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과 및 가톨릭의료경영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medical care utilization by subscription type. Methods : The data used were the six waves of the Korea Health Panel (2009-2014), and 16,187 persons were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 performed a panel regression with a fi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6개년 자료를 이용하여 민간의료보험 가입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고, 실손형 또는 정액형 민간의료보험이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체 민간의료보험의 가입률은 65.
  • 일반적으로 고정효과 모형과 확률효과 모형의 선택은 하우스만 검정 결과뿐만 아니라 패널 자료의 표본추출 방식, 시간에 따라 불변하는 변수에 대한 추정계수의 필요성, 내생성을 고려할 수 없는 경우의 일치추정량 산출 등을 감안하여 시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손 및 정액형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하우스만 검정을 통해서 추정 모형을 선정하고, 그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 균형패널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일부 연도 조사에 빠지거나 참여하지 못한 대상자는 탈락표본으로 간주되어 패널 구성에서 빠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불균형패널로 구성하여 최대한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해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 패널 자료는 자료 형태에 따라 균형패널(balanced panel)과 불균형패널(unbalanced panel)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균형패널은 모든 횡단면 자료가 전 기간 동안 모두 관찰된 자료를 말하고, 그렇지 않은 자료를 불균형패널이라고 부른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한 많은 대상자를 포함하고 민간의료보험 가입의 변동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한국의료패널의 6개년 자료를 활용하여 불균형패널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자는 2009년 기준으로 16,187명이다.
  • 신규 가입과 해약 등의 변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관련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동성을 고려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료패널의 2009년부터 2014년까지 6년간의 불균형패널 자료(unbalanced panel data)를 활용하여 실손형과 정액형 민간의료보험이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내 생성을 통제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도구변수를 이용한 추정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일반적인 조사에서 도구변수를 찾기는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21]. 최근에는 결합 확률분포를 이용하거나 패널분석 모형 등을 활용하여 내 생성을 고려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패널분석모형에서 고정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내생성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내생성을 유발하는 오차항을 평균 차감 방법을 활용하여 모형에서 제거하기 때문에 내생성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추정된 회귀계수는 통계적으로 일치 추정량(consistent estimator)의 성질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의료보험중 실손형 상품의 특징은 무엇인가? 민간의료보험은 미래의 건강위험을 대비하는 금융상품이지만 재정적인 위험 감소뿐만 아니라 의료수요에도 영향을 준다[2]. 민간의료보험은 실제 의료비에 비례해서 보험금을 지급해주는 실손형 상품과 질병 발병에 따라서 정액으로 보험금을 지급하는 정액형 상품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액형은 저축 성격을 포함하고 있어 실손형보다 실제 의료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다[3]. 실손형 보험은 초기에 주로 손해보험사를 통해서 상해보험의 형태로 판매가 되어 시장에서의 비중은 제한적이었다.
민간의료보험중 정액형 상품이 실손형보다 실제 의료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이유는 무엇인가? 민간의료보험은 미래의 건강위험을 대비하는 금융상품이지만 재정적인 위험 감소뿐만 아니라 의료수요에도 영향을 준다[2]. 민간의료보험은 실제 의료비에 비례해서 보험금을 지급해주는 실손형 상품과 질병 발병에 따라서 정액으로 보험금을 지급하는 정액형 상품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액형은 저축 성격을 포함하고 있어 실손형보다 실제 의료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다[3]. 실손형 보험은 초기에 주로 손해보험사를 통해서 상해보험의 형태로 판매가 되어 시장에서의 비중은 제한적이었다.
민간의료보험중 실손형 상품의 가입률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2007년에 제3보험의 형태로 생명보험사에서도 판매가 허가된 이후에 실손형 보험에 대한 관심은 크게 증가하였고, 가입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4]. 실손형 보험 가입률 증가의 주된 이유는 실손형 민간의료보험이 국민건강보험에서 급여가 제공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비를 보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급여 진료비의 적절한 관리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급속한 실손형 보험시장의 확대는 급격한 손해율 상승과 과도한 보험료 인상 이슈를 불러왔고, 최근에는 공보험의 급여확대로 인한 민간보험사의 반사이익에 대한 논란도 발생하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ttp://www.khp.re.kr:444/ver_2/04_study/study01.jsp 

  2. G. Dionne(2000), Handbook of Insurance,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155-183. 

  3. C.H. You, S.W. Kang, Y.D. Kwon, E.H. Oh(2011),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private health insurance on health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indemnity vs. fixed-benefit,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Vol.27(1);277-292. 

  4. Korea Life Insurance Association(2016), 2016 Life Insurance Fact Book, Korea Life Insurance Association, pp.58-70. 

  5. http://repository.kihasa.re.kr:8080/handle/201002/15392 

  6. S.L. Ettner(1997), Adverse selection and the purchase of Medigap insurance by the elderly, Journal of Health Economics, Vol.16(5);543-562. 

  7. T.C. Buchmueller, A. Couffinhal, M. Grignon. M. Perronnin(2004), Access to physician services: does supplemental insurance matter? evidence from France, Health Economics, Vol.13(7);669-687. 

  8. A.M. Vera-Hernandez(2004), Duplicate coverage and demand for health care: the case of Catalonia, Health Economics, Vol.8(7);579-598. 

  9. W.H. Tian, J.J. Tien, C.S. Chen, T.C. Liu(2012),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Inpatient Service Utilisation among Adults and Elderly People under Taiwan's National Insurance Programme, The Geneva Papers on Risk and Insurance - Issues and Practice, Vol.37(4);655-677. 

  10. S.W. Kang, Y.D. Kwon, C.H. You(2005), Effects of supplemental insurance on health 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among cancer pati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ol.15(4);65-80. 

  11. K.T. Jung, E.K. Shin, C.H. Kwak(2006),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moral hazard, Korean Insurance Journal, Vol.75;1-25. 

  12. H.S. Yoon, H.J. Kwon(2008),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health utilization, KDI Policy Forum, Vol.30(2);1-13. 

  13. S.W. Kang, C.H. You, Y.D. Kwon, E.H. Oh(2009), Effects of supplementary private health insurance on physician visits in Korea,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Vol.108(12);912-920. 

  14. S.W. Kang, C.H. You, E.W. Oh, Y.D. Kwon(2010), The impact of having private health insurance on healthcare utilization with controlling for endogenei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16(1);65-80. 

  15. S.B. Park, K.H. Jung(2011), The determinant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its effects on medical utilization in Korea, Korean Insurance Journal, Vol.88;23-49. 

  16. B. Jeon, S. Kwon(2013), Effect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health care utilization in a universal public insurance system: a case of South Korea, Health Policy, Vol.113(1);69-76. 

  17. H.B. Lee, S.W. Nam(2013), An empirical study of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healthcare utilization, Korean Insurance Journal, Vol.95;1-24. 

  18. D.H. Kim(2014), Effects of fee-for-service health insurance on medical consumption, Korean Insurance Journal, Vol.98;61-90. 

  19. C.H. You, S.W. Kang, J.H. Choi, E.H. Oh, Y.D. Kwon(2014), The effect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health care utilization: evidence from Korea Health Panel (2008-2010),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2);101-113. 

  20. S.M. Kim, Y.D. Kwon(2011),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the use of health care services: a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5(4);177-192. 

  21. A.C. Cameron, P.K. Trivedi(2005), Microeconometric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697-742. 

  22. S.E. Choi(2016), The rol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Korea Review of Applied Economics, Vol.18(4);79-97. 

  23. M. Rodriguez, A. Stoyanova(2004), The effect of private insurance access on the choice of GP/specialist and public/private provider in Spain, Health Economics, Vol.13(7);689-703. 

  24. A. Kiil(2012), Does employment-based private health insurance increase the use of covered health care services? A matching estimator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Care Finance and Economics, Vol.12(1);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