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자상 대기오염물질의 건강 위해성 평가를 위한 국내 농도반응함수 도출
Concentration Response Functions for Particulate Matter related Health Risk Assessment in South Ko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3 no.3, 2017년, pp.202 - 213  

하종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HRA (Health Risk Assessment) is an important tool for measuring the health impacts of air pollution. HRA is already being used widely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crafting air pollution policies. However, the absence of a domestic CRF (Concentration Response Function) standard, which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CRF 표준안 도출을 위해 국내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영문 학술논문을 조사하였다. 학술논문 조사는 출판연도 기준으로 1980년부터 2016년 3월까지로 한정하여 수행하였는데, 2008년 이전은 미국 건강영향연구소(Health Effects Institute)에서 발표한 PAPA-SAN(Public Health and Air Pollution in Asia: Science Access on the NET, 1980-2007)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2008년 이후는 PubMed 및 Ovid Medline DB를 활용하여 제목 및 초록에서 주요 키워드 검색을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대상의 대기오염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 역학연구 및 해외 HRA 관련 연구를 조사· 정리하고 이를 분석하여 입자상 대기오염물질 관련 HRA를 위한 국내 CRF 표준안을 도출하였다.
  • 비록 CRF는 다양하게 평가·제시될 수 있지만, 정책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국내 대상의 역학연구 결과물에 근거하되 일관된 추정방법으로 도출된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입자상 대기 오염물질의 대표적인 PM10 및 PM2.5 관련하여 HRA에 활용 가능한 국내 CRF 표준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CRF 병합은 고정효과(fixed effect) 및 변량효과 (random effect)로 가정하여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정효과 가정은 각 연구에서 도출된 CRF는 모든 연구에서 동일한 참값(true value)을 가진다고 가정 하는 것이며, 변량효과 가정은 각 연구는 어떤 분포로부터 임의로 추출된 표본(sample)이고 각 연구별로 CRF 참값이 다를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 일반적으로 고정효과 가정은 각 연구에서 도출된 CRF는 모든 연구에서 동일한 참값(true value)을 가진다고 가정 하는 것이며, 변량효과 가정은 각 연구는 어떤 분포로부터 임의로 추출된 표본(sample)이고 각 연구별로 CRF 참값이 다를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고정효과를 가정하여 병합하였으며, 동시에 동질성 검정을 통한 귀무가설의 기각여부 및 병합 시 CRF들의 이질 가능성을 판단하여 변량효과로도 가정하여 병합하였다. 고정효과를 가정한 상태에서의 각 효과 가중치, 효과 가중평균치, 효과 가중평균치의 표준오차, 그리고 효과 가중평균치의 95% 신뢰구간은 아래 공식과 같다.
  • CRF 병합은 고정효과(fixed effect) 및 변량효과 (random effect)로 가정하여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정효과 가정은 각 연구에서 도출된 CRF는 모든 연구에서 동일한 참값(true value)을 가진다고 가정 하는 것이며, 변량효과 가정은 각 연구는 어떤 분포로부터 임의로 추출된 표본(sample)이고 각 연구별로 CRF 참값이 다를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고정효과를 가정하여 병합하였으며, 동시에 동질성 검정을 통한 귀무가설의 기각여부 및 병합 시 CRF들의 이질 가능성을 판단하여 변량효과로도 가정하여 병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M10 및 PM2.5와 같이 대기오염 관련 HRA 수행에 필요한 기본 자료에는 무엇이 있는가? 다른 한편으로 대기오염 관련 HRA 수행에 필요한 기본 자료는 해당 지역의 대기오염 농도, 발생률(incidence) 또는 유병률(prevalence) 등의 건강수준, 그리고 농도반응함수(Concentration-Response Functions : CRF)이다. 1) 여기에서 CRF는 역학연구(epidemiological study)를 통해 산출되는 상대위험비(Relative Risk : RR), 위험비(Hazard Ratio : HR) 등의 예측값에 기반하여 표현되며, HRA를 수행하는데 있어 핵심요소이다.
건강 위해성 평가(Health Risk Assessment : HRA)는 무엇인가? 건강 위해성 평가(Health Risk Assessment : HRA) 는 특정 건강 위험요인에의 노출이 야기할 수 있는 잠재적 건강피해를 과학적으로 진단하는 평가방법이다. 1) 특히 대기오염 관련 HRA는 대기오염 노출로부터 야기되는 사망 및 질병 등의 변화를 정량적 수치로 보여주기 때문에, 이미 많은 정책결정자에게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줄이기 위한 정책 수립 및 이행을 위한 근거 도출에 활용되고 있다.
대기오염 관련 HRA로부터 정량적 수치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건강 위해성 평가(Health Risk Assessment : HRA) 는 특정 건강 위험요인에의 노출이 야기할 수 있는 잠재적 건강피해를 과학적으로 진단하는 평가방법이다. 1) 특히 대기오염 관련 HRA는 대기오염 노출로부터 야기되는 사망 및 질병 등의 변화를 정량적 수치로 보여주기 때문에, 이미 많은 정책결정자에게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줄이기 위한 정책 수립 및 이행을 위한 근거 도출에 활용되고 있다.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 EPA)은 5년마다 국가대기환경기준(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설정과정에서 HRA를 수행하여 건강 위해성 정도를 고려하도록 하고 있으며, 2) 우리나라는 ‘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2015-2024)’ 수립 시에 HRA를 통한 기여사망자수(number of attributable death) 추정 및 이를 활용한 추진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risk assessment of air pollution-General principles; 2016. 

  2.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The Benefits and Costs of the Clean Air Act from 1990 to 2020; 2011. 

  3.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econd Basic Plan on the Metropolitan Area Air Quality Management(2015-2024); 2013 (Korean). 

  4. Lelieveld J et al. The contribution of outdoor air pollution sources to premature mortality on a global scale. NATURE. 2015;525:367-371. 

  5. Zhang Q et al. Transboundary health impacts of transported blobal air pollution and international trade. NATURE. 2017;543:705-709. 

  6. Ministry of Environment.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Health Evaluation Model for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Control Policy; 2007 (Korean). 

  7.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tudy of setting policy direction for risk management of air pollution; 2013 (Korean). 

  8. Ha J and Moon N. Uncertainty and estimation of health burden from particulate matter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13;29:275-286 (Korean). 

  9. Ha J. Applying policy and health effects of air pollution in South Korea: focus on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2014;29:e2014011. 

  10. Gordis L. Epidemiology, 4th ed; 2008. 

  11. Kunzil N et al. Assessment of deaths attributable to air pollution: should we use risk estimates based on time series or on cohort studie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1;153:1050-1055. 

  12. DerSimonian R and Laird N. Meta-analysis in clinical trials. Controlled Clinical Trials. 1986;7:177-187. 

  13. US EPA. BenMAP: User's Manual, Appendices; 2015. 

  14. WHO. Health Risks of Air Pollution in Europe-HRAPIE Project.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13. 

  15. Burnett RT et al. An Integrated Risk Function for Estimating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Ambient Fine Particulate Matter Exposure.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14;122(4): 397-403. 

  16. Pascal M. Assessing the public health impacts of urban air pollution in 25 European cities: results of the Aphekom project.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13;449:390-400. 

  17. Kim H et al. Effects of ambient air particles on mortality in Seoul: Have the effects changed over time? Environmental Research. 2015;140:684-690. 

  18. Bae HJ and Park J. Health benefits of improving air quality in the rapidly aging Korean societ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09;407(23):5971-5977. 

  19. Cho YS et al.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te matter measured by optical particle counter and mortality in Seoul, Korea, during 2001.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2008;71(2):37-43. 

  20. Son JY et al. The relationships between short-term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 and mortality in Korea: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exposure metrics for sub-daily exposures.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2013;8:014015. 

  21. Kim H et al. The lag-effect pattern in the relationship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to daily mortality in Seoul,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2003;48:25-30. 

  22. Kim H et al. Evaluating the effect of daily PM10 variation on mortality. Inhalation Toxicology. 2004; 16:55-58. 

  23. Kwon HJ et al. Effects of ambient air pollution on daily mortality in a cohort of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Epidemiology. 2001;12:413-419. 

  24. Lee JT et al. A comparison of mortality related to urban air particles between periods with Asian dust days and without Asian dust days in Seoul, Korea, 2000-2004. Environmental Research. 2007;105: 409-413. 

  25. Hong YC et al. PM10 Exposure, Gaseous Pollutants, and Daily Mortality in Inchon, South Korea.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999;107:873-878. 

  26. Hong YC et al. Air 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in Inchon, Korea. J Korean Med Sci. 1999;14:239-244. 

  27. Park AK et al. Effect of changes in season and temperature on mortality associated with air pollution in Seoul, Korea.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11;65:368-375. 

  28. Ha EH et al. Infant Susceptibility of Mortality to Air Pollution in Seoul, South Korea. Pediatrics. 2003;111:284-290. 

  29. Kim J and Yang HE. Generalized Additive Model of Air Pollution to Daily Mortality. Key Eng Mater. 2005;277-279:487-491. 

  30. Son JY et al. Effects of Air Pollution on Postneonatal Infant Mortality Among Firstborn Infants in Seoul, Korea: Case-Crossover and Time-Series Analysis. Archives of Environmental & Occupational Health. 2008;63(3):108-113. 

  31. Hong YC et al.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acute stroke mortality.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 2002;110:187-191. 

  32. Son JY et al. Short-Term Effects of Air Pollution on Hospital Admissions in Korea. Epidemiology. 2013:24(4):545-554. 

  33. Lee JT et al. Air pollution and hospital admissions for ischemic heart diseases among individuals 64+ years of age residing in Seoul, Korea. Arch Environ Health. 2003;58:617-623. 

  34. Son JY et al. Survival analysis of long-term exposure to different sizes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nd risk of infant mortality using a birth cohort in Seoul, Korea. Environment Health Perspective. 2011;119:725-730. 

  35. Heo J et al. Fine Particle Air Pollution and Mortality: Importance of Specific Sources and Chemical Species. Epidemiology. 2014;25(3):379-388. 

  36. Moolgavkar SH. Air Pollution and Daily Deaths and Hospital Admissions in Los Angeles and Cook Counties. In: Revised Analyses of Time-Series Studies of Air Pollution and Health. Health Effects Institute. Boston, MA. May; 2003. 

  37. Zanobetti A et al.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its components in association with cause-specific emergency admissions. Environmental Health. 2009;8:58-60. 

  38. Hoek G et al. Long-term air pollution exposure and cardio-respiratory mortality: a review. Environmental Health. 2013;12:43. 

  39. Pope III CA et al. Lung cancer, cardiopulmonary mortality, and long-term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JAMA. 2002;287:1132-1141. 

  40. WHO. Environmental Burden of Disease Series; 2008. 

  41. Knol AB et al. Dealing with uncertainties in environmental burden of disease assessment. Environmental Health. 2009;8: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