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규모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및 건강위해성평가: 민감군 이용시설을 중심으로
Indoor Air Quality and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for Un-regulated Small-sized Sensitive Population Facilitie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4 no.4, 2018년, pp.397 - 407  

신혜진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박우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공학과) ,  김보경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지경희 (용인대학교 산업환경보건학과) ,  김기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of indoor air pollutants at small-sized public-use facilities (e.g., daycare centers, hospital and elderly care facilities) that the susceptible population is mainly used. Methods: To assess indoor air quality (IAQ)...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법적 규제 제외 대상인 일정 규모 이하의 어린이집, 의료기관,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둘째,실태조사 결과와 설문조사 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실내공기질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며, 셋째, 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인체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여 실내공기 오염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위해도를 정량함으로써 민감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일정 규모 이하의 시설에 대한 합리적인 실내공기질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환경에 존재하는 오염물질 발생원에는 무엇이 있는가? 4%를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 실내환경에는 건축 자재, 가구 및 가전제품 등 다양한 오염물질의 발생원이 존재하며 실내에서 직접 방출되는 오염물질은 외부 대기로부터의 오염물질보다 인간의 폐에 전이될 확률이 1000 배 가량 높기 때문에 실내공기질의 악화는 인간 건강에 직접적인 위해를 초래할 수 있다.2-5) 더욱이 1980년 후반부터 에너지 절약 목적으로 건축물이 밀폐형으로 설계되면서 실내공기질 악화가 가속화되었고 이로 인해 두통, 인후 점막 자극과 신체 이상 증상을 보이는 건물증후군(SBS, Sick Building Syndroms) 등을 유발하고 있다.
환경부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서 기준 이하로 준수하도록 정한 항목에는 무엇이 있는가? 실내공기질에 의한 건강영향은 수용체별로 다양한 양상을 가지게 되는데 그 중 영·유아, 어린이, 환자, 노인 등과 같이 환경보건학적으로 약자인 민감계층에게 더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다.10) 이러한 민감계층이 생활하고 있는 어린이집, 의료기관,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국내 실내공기질 법적 규제는 환경부의“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라 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 폼알데하이드,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 등의 5개 항목은 일정 기준 이하로 준수하도록 정하고 있으며, 이산화질소, 라돈,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미세먼지(PM-2.5), 곰팡이 등의 5개 항목은 일정 기준 이하로 준수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한국인들이 하루 중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는 비율은 어느정도인가? 현대인들은 하루 중 많은 시간을 실내공간에서 생활한다. 자료에 의하면 유럽인들은 하루 중 약 90%를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한국인들은 95.4%를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 실내환경에는 건축 자재, 가구 및 가전제품 등 다양한 오염물질의 발생원이 존재하며 실내에서 직접 방출되는 오염물질은 외부 대기로부터의 오염물질보다 인간의 폐에 전이될 확률이 1000 배 가량 높기 때문에 실내공기질의 악화는 인간 건강에 직접적인 위해를 초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Environment Institute. A study on public opinion survey and policies on indoor air pollution in korea. 2001 

  2.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s for air quality. 2000 

  3. Fisk WJ, Rosenfeld AH. Estimates of Improved Productivity and Health from Better Indoor Environments. Indoor Air. 1997; 7: 158-172. 

  4. Srinivasan S, O'Fallon LR, Dearry A. Creating healthy communities, healthy homes, healthy people: initiating a research agenda on the built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Am J Public Health. 2003; 93: 1446-1450. 

  5. Harrison PTC. Indoor air quality guidelines. Occup Environ Med. 2002; 59: 73-74. 

  6.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S). Human exposure assessment for airbone pollutants Washington D.C. 1993. 

  7. Wyon DP. The effects of indoor air quality on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Indoor Air. 2004; 14: 92-101. 

  8. Mull TE. HVAC Principles and Applications Manual. New York, McGraw-Hill. ISBN 0-07-044451-X. 1997; 

  9. Bobenhausen W. Simplified Design of HVAC Systems.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p. 1-180. ISBN 0-471-53280-0. 1994; 

  10. Yoon Shin Kim, Young Man Roh, Cheol Min Lee, Ki Yeon Kim, Jong Cheol Kim, Hyung Jin Jeon, et al. A Study of Excess Ratio for Guildeline of Indoor Air Pollutants in Classroom of Kindergartens.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2007; 4(1). 14-19. 

  11. Ministry of Environment. Result of Air Quality Public Used Facilities in korea. 2015.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n Asbestos Management in Day Care Center, 2017.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us of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2015.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us of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2015. 

  15. In Chul Ryu.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Quality in Small Kindergarten Facilities in Seoul. Report of S.I.H.E. 2009; 45: 124-130. 

  16. Nat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Officially analysis Methods for Indoor Air Quality, ES 04751.1. 2017. 

  17. Ministry of Environment. Guidance on procedures and methods for risk assessment of environmental hazard factors. 2017. 

  18.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IRIS). available: http://www.epa.gov.iris[accessed 08, June 2018. 

  19.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Exposure Factors Handbook. 2007. 

  20. Statistics Korea. Life Tables for Korea. 2013. 

  21. European commission. Externalities of Energy (ExternE) Methodology. 2005. 

  22. Seoul Development Institute. Study of Indoor Air Quality in Multi-use Facilities and Buildings in Seoul. 2004. 

  23. Kyung Hwa Cho. Analysis of Indoor Air Quality in vulnerable facilities according to building characteristic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017; 23(2): 19-26. 

  24. Sung Ki Jang. Indoor Air Quality of Elderly Care Facilities. Air Cleaning Technology. 2008; 21(3): 11-19. 

  25. Yeon Jeong Go.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Quality and Risk Assessment of Preschool Facility in Korea.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of Seoul; 2008. 

  26. Won Young Lee. A Study on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Health Risk Assessment in the Child-care Centers in Seou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of Seoul; 2014. 

  27. Hye Soo Shin. Characterization and risk assessment of VOCs in the child-care facilities.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of HanYang; 2012. 

  28. Ministry of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anual. 2006. 

  29. Ministry of Environment. Indoor VOCs Characterization and Control Methodology.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