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 위생 수행 시점에 대한 지식 조사
Survey of ICU Nurses' Knowledge of the Specific Moments of Hand Hygiene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0 no.2, 2017년, pp.56 - 70  

정은하 (부산대학교병원 신경외과중환자실) ,  하이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박남정 (부산대학교병원 감염관리실) ,  김현희 (부산대학교병원 신경외과중환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CU nurses' knowledge of the five moments of hand hygiene and the ambiguity of these moments when demonstrating hand hygiene. Methods: The subjects were 200 intensive care unit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의료 관련 감염에 있어 중환자실은 발생 위험이 높은 중환자실에서 환자와의 접촉이 많은 간호사의 손 위생 시점에 대한 지식의 수준과 내용을 손 위생이 필요한 상황 시나리오를 통해 다섯 시점별로 파악해보고자 한다.
  • , 2014). 본 연구 결과가 선행연구와 차이를 보였던 이유를 두 가지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첫째 체액노출 위험 후의 손 위생 필요 여부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시나리오는 장갑을 낀 상태로 채혈한 후 물품을 정리하고 장갑을 벗고 환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절차로 열거되었다.
  •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에 의한 교차 감염의 기회를 차단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의료 관련 감염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인 손 위생 이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세계보건기구에서 주창한 ‘My Five Moments for Hand hygiene’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을 분석하여 중환자실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손 위생 교육 및 개선 활동의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 위생 수행시점에 대한 지식을 파악하기 위한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손 위생 교육 관련 특성에 따른 손 위생 수행 시점에 대한 지식 정도를 파악하고 손 위생 수행에 있어 가장 모호한 시점과 그 이유를 파악하여 손 위생 수행률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손 위생 수행시점에 대한 지식 수준을 파악하여 손 위생 이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활동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 관련 감염이란? 의료 관련 감염(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HCAI)은 입원 시에는 없었으나 병원이나 기타 의료시설에 입원해 있는 기간 동안 발생한 감염을 말한다(Allegranzi et al., 2007).
의료기관에서 의료 관련 감염 발생에 대한 감시와 예방활동이 필수적인 이유는? , 2007). 의료 관련 감염 발생은 재원기간의 연장과 미생물의 항생제 내성의 증가, 막대한 추가적인 재정적 부담, 환자와 가족의 고비용, 과도한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안전관리를 위해 필수적으로 의료 관련 감염 발생에 대한 감시와 예방활동을 해야 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09a). 특히 중환자실은 다제내성균이 많고 감염의 고위험환자들이 입원해 있고 다양한 침습적 장치들이 적용되어 있으며 의료인과 환자와의 접촉 기회가 많기 때문에 중환자실에서의 의료 관련 감염 발생률은 9-37%로 의료기관에서 중환자실의 의료 관련 감염에 대한 부담은 매우 높다(Hugonnet, Perneger, & Pittet, 2002; WHO, 2009a).
세계보건기구의 “My five moments for hand hygiene”모델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손 위생이 필요한 시점은? 2009년 세계보건기구는 다양한 방식의 개선전략으로 손 위생 시스템 변화, 교육, 모니터링 및 피드백, 업무현장에서도 다시 기억할 수 있게 하는 포스터 설치, 손 위생 참여를 위한 안전한 문화를 형성하게 하는 전략을 제시하면서 “My five moments for hand hygiene”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발표했다(WHO, 2009a). 이 모델은 손에 의해 오염원이 전파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환자구역(patient zone)과 의료구역(healthcare zone)으로 나누고 손 위생이 필요한 시점을 구역과 업무의 시간흐름에 따라 손 위생이 필요한 시점을 1)환자와 접촉하기 전, 2)무균적 업무를 시행하기 전, 3)체액노출의 위험이 있은 후, 4)환자와 접촉한 후, 5)환자의 주변을 접촉한 후의 다섯 개로 구분하였다. 이 모델은 픽토그램(pictogram)으로 제작되어 교육과 모니터링/피드백, 포스터, 보고양식으로 활용하였으며 다섯 시점은 간단해서 기억하기 쉬워 손 위생 이행 개선활동의 확산에 효과가 있었다(Sax et.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legranzi, B., Gayet-Ageron, A., Damani, N., Bengaly, L., McLaws, M.L., Moro, M.L., . . . Storr, J. (2013). Global implementation of WHO'smultimodal strategy for improvement of hand hygiene: a quasiexperimental study.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13(10), 843-851. 

  2. Allegranzi, B., Storr, J., Dziekan, G., Leotsakos, A., Donaldson, L., & Pittet, D. (2007). The first global patient safety challenge "Clean care is safer care": From launch to current progress and achievement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5, 115-123. 

  3. Berenholtz, S. M., Pronovost, P. J., Lipsett, P. A., Hobson, D., Earsing, K.,Farley, J.E.,...Rubin, H. R. (2004). Eliminating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32(10), 2014-2020.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Recommendations of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and the HICPAC/SHEA/APIC/IDSA Hand Hygiene Task Force.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1(RR-16),S1-S46. 

  5. Choi, Y., & Jung, H. (2004). Analysis of related factor with practice of handwashing by clinical nurse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9(2), 32-41. 

  6. De Wandel, D., Maes, L., Labeau, S., Vereecken, C., & Blot, S. (2010). Behavioral determinants of hand hygiene compliance in intensive care uni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9(3), 230-239. 

  7. Gould, D., Hewitt-Taylor, J., Drey, N., Gammon, J., Chudleigh, J., &Weinberg, J. (2007). The Clean Your Hands Campaign: Critiquing policy and evidence bas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5(2), 95-101. 

  8. Hugonnet, S., Perneger, T. V., & Pittet, D. (2002). Alcohol-based handrub improves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in intensive care unit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2(9), 1037-1043. 

  9. Hwang, E. S., & Park, J. H. (2016). The Effect of a Scenario based H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Perception, Hand Hygiene Compliance and Hand Hygiene Method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2), 194-203. 

  10. Jeong, J. S., & Choe, M. (2004). The effect of hand washing improving programs on the adherence of handwashing and nosocomial infection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9(2), 117-129. 

  11. Kang, Y.J. (2014). Knowledge on the moment of hand hygiene among nurses in the acute care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12. Kilpatrick, C., Allegranzi, B., & Pittet, D. (2010). WHO First Global Patient Safety Challenge: Clean Care is Safer Care, Contributing to the training of health-care workers around the glob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7(2), 1-8. 

  13. Kim, H.J., & Kim, N.C. (2005). A study of handwashing by intensive care unit nurse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nursing faculty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1), 121-130. 

  14. Lau, T., Tang, G.,Mak, K., & Leung, G. (2014). Moment-specific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The Clinical Teacher, 11(3), 159-164. 

  15. Lee, M. H., & Kang, H. S. (2007). A comparative study on profession-specific handwashing practices of ICU health care provi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3), 297-305. 

  16. Novoa, A. M., Pi-Sunyer, T., Sala, M., Molins, E., & Castells, X. (2007). Evaluation of hand hygiene adherence in a tertiary hospital.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5(10), 676-683. 

  17. Park, J. H., & Kim, H. S. (2012). The effect of the h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perception, nasal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and hand hygiene adher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3), 156-165. 

  18. Pessoa-Silva, C. L., Hugonnet, S., Pfister, R., Touveneau, S., Dharan, S., Posfay-Barbe, K., & Pittet, D. (2007). Reduction of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risk in neonates by successful hand hygiene promotion. Pediatrics, 120(2), e382-e390. 

  19. Pittet, D. (2001). Improving adherence to hand hygiene practic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7(2), 234-240. 

  20. Pittet, D. (2004). The Lowbury lecture: behaviour in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58(1), 1-13. 

  21. Pittet, D., Allegranzi, B., & Boyce, J. (2009).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s on hand hygiene in health care and their consensus recommendations.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30(07), 611-622. 

  22. Pittet, D., Hugonnet, S., Harbarth, S., Mourouga, P., Sauvan, V., Touveneau, S., & Perneger, T. V. (2000). Effectiveness of a hospital-wide programme to improve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The Lancet, 356(9238), 1307-1312. 

  23. Sax, H., Allegranzi, B., Uckay, I., Larson, E., Boyce, J., & Pittet, D. (2007). 'My five moments for hand hygiene': A user-centred design approach to understand, train, monitor and report hand hygien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7(1), 9-21.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a). A guid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WHO multimodal hand hygiene improvement strategy. Retrieved March 1, 2017, from http://whqlibdoc.who.int/hq/2009/WHO_IER_PSP_2009.02_eng.pdf 

  25. World Health Organization(2009b). Instructions to use the training films in education sessions on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s and hand hygiene for health care workers and observers. Retrieved March 1, 2017, from http://www.who.int/gpsc/media/edu_film_instr_08_07.pdf?ua1 

  26. World Health Organization(2009c). Training Film: A tool to help convey the concept of the " 5 moments for hand hygiene" to health-care workers. Retrieved March 1, 2017 from http://www.who.int/gpsc/media/training_film/en/ 

  27. Zingg, W., Holmes, A., Dettenkofer, M., Goetting, T., Secci, F., Clack, L., . . . Pittet, D. (2015). Hospital organisation, management, and structure for prevention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expert consensus.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15(2), 212-2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