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유망식과 수하식 양성방법에 따른 참굴(Crassostrea gigas)의 영양상태
Evaluation of Nutrients during Rack and Bag Culture or Suspended Culture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0 no.3, 2017년, pp.263 - 269  

최용준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이정미 (경상남도 수산자원연구소) ,  강석중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최병대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neral contents, and free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ack and bag or suspended cultured oysters Crassostrea gigas were compared. The moisture content did not change much from 82.8% to 86.3% in the different culture methods. The glycogen level was low 4.7% during rack and bag c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994)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시료 일정량을 conc. HNO3 로 습식 분해한 후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photometer (Atomscan 25,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로 분석하였다.
  • 그리고 pH 2.2의 citrate buffer 로 25 mL로 정용한 다음 5’-sulfosalicylic acid (Sigma-Aldrich Inc., USA) 1 g을 첨가하여 암실에서 1시간 방치시킨 후 원심 분리(8,000 rpm, 20분)하여 0.22 μm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시료액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Biochrom 30, LKB Biochrom Ltd., Cambridge, UK)로 분석하였다.
  • 5×ΣPUFA (n-6))+(3×ΣPUFA(n-3))+(n-3)/(n-6)]; h/H=(18:1n-9+18:2n6+20:4n-6+18:3n-3+20:5n-3+22:5n-3+22:6n-3)/(14:0+16:0). 동시에 지질 함량과 관계가 되는 두종류의 지방산의 비를 구 하였다. DHA/EPA (docosahexaenoic acid/eicosapentaenoic acid), PUFA/SFA (polyunsaturated FA/saturated FA); MUFA (monounsarurated), n-3, n-6 등을 활용하였다.
  • 개체굴이 판매되고 있는 홍콩시장에 서는 원산지별 굴의 맛을 Mild sweet, Salty, Freshly, Delicate, Furtiy 등으로 특징을 적어 판매하며, 개당 가격은 원산지와 종 류에 따라 40-75$ 정도로 다양하다(WHO, 2013). 따라서 굴 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개체굴 생산에 있 어 양식방법을 달리하였을 때 영양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 굴은 경상남도 수사자원연구소(통영)에서 2015년 2월에 인공 종자 생산한 참굴 시료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종 류는 5가지로 초기 개체화시켜 부유망 케이지에 수용하여 수산 자원연구소 양식장(통영 풍화리 지선)에서 6월부터 11월까지 일정기간 양성한 개체굴(A1)과 하루에 3-4시간 간출시키면서 양성한 개체굴(A2), 기존의 전통방식인 수하식으로 6월부터 11 월까지 통영 오비도 지선(해상)에서 양성 후 고성의 축제식 양 식장(기수지역)에서 약 53일간 양성한 굴(B1), 오비도 지선(해 상)에서 수하식으로 양성한 굴(B2)을 이용하였고, 대조구로 시 판굴(Table 1)을 이용하여 양성방법별 참굴의 영양성분에 변화 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 이를 capillary column (Omegawax-320, 30 m×0.25 mm i.d., Supelco Ltd., Bellefonte, PA, USA)이 장착된 GC (Shimadzu GC-17A, Kyoto, Japan)로써 분석하였다.
  • 0 kg/cm2 )을 사용하였으며, split ratio는 1:100으로 하였다. 지방산의 동정은 GC-MS로 동정된 menhaden oil을 동일 조건 으로 분석한 결과와 ECL (equivalent chain length) 값을 비교하 여 동정하였다. 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키는 지표가 되는 atherogenic index (AI), thrombogenicity index (TI) 및 hypocholesterolemic/hypercholesterolemic ratio 등은 Ulbricht and Southgate (1991)의 계산식을 활용하여 지방산조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데이터

  • 동시에 지질 함량과 관계가 되는 두종류의 지방산의 비를 구 하였다. DHA/EPA (docosahexaenoic acid/eicosapentaenoic acid), PUFA/SFA (polyunsaturated FA/saturated FA); MUFA (monounsarurated), n-3, n-6 등을 활용하였다.
  • Louis, MO, USA)로 부터 구입하였다. FAMEs 표품은 정어리유로 만 든 표품을 Supelco Co. (PA,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그 외 용 매 및 시약은 모두 시약급을 사용하였다.
  • 굴은 경상남도 수사자원연구소(통영)에서 2015년 2월에 인공 종자 생산한 참굴 시료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종 류는 5가지로 초기 개체화시켜 부유망 케이지에 수용하여 수산 자원연구소 양식장(통영 풍화리 지선)에서 6월부터 11월까지 일정기간 양성한 개체굴(A1)과 하루에 3-4시간 간출시키면서 양성한 개체굴(A2), 기존의 전통방식인 수하식으로 6월부터 11 월까지 통영 오비도 지선(해상)에서 양성 후 고성의 축제식 양 식장(기수지역)에서 약 53일간 양성한 굴(B1), 오비도 지선(해 상)에서 수하식으로 양성한 굴(B2)을 이용하였고, 대조구로 시 판굴(Table 1)을 이용하여 양성방법별 참굴의 영양성분에 변화 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 , 1998). 본 실험에 사용된 개체굴 과 수하굴 및 시판굴 시료에는 각각 61.5, 77.7, 72.7, 68.2, 69.2 mg/100 g으로 제주산 오분자기와 비슷한 함량이었다(Jang et al., 2010).
  • 헴, 비헴 및 총 철분함량 중 FDA가 권장하는 표준섭취량 혹은 일반적으 로 섭취할 상대적량(reference amount customarily consumed, RACC)은 섭취하는 식품에 따라 다른 규정을 두고 있는데 바 지락, 굴, 냉동 피조개는 110 g, 바지락 통조림 85 g, 소고기 간 114 g을 권장한다(FDA, 2016). 본 실험에 사용된 개체굴 철분 함량은 A1, A2가 4.9, 5.9 mg/100 g으로 수하굴 B1, B2의 3.7 mg/100 g, 4.1 mg/100 g, 시판굴 5.2 mg/100 g과 비슷한 함량 을 나타내었다. 미국 워싱턴주 인근에서 채취한 굴의 총 철분함 량은 4.
  • 실험에 사용한 모든 표품은 Sigma-Aldrich Ltd. (St. Louis, MO, USA)로 부터 구입하였다. FAMEs 표품은 정어리유로 만 든 표품을 Supelco Co.

데이터처리

  •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18.0 (SPSS Inc., Chicago, IL, USA) program을 사용하여 One-way ANOVA-test를 실시한 후, Duncan multiple range test (Duncan, 1955)로 평균 간의 유의 성(P<0.05)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 지방산의 동정은 GC-MS로 동정된 menhaden oil을 동일 조건 으로 분석한 결과와 ECL (equivalent chain length) 값을 비교하 여 동정하였다. 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키는 지표가 되는 atherogenic index (AI), thrombogenicity index (TI) 및 hypocholesterolemic/hypercholesterolemic ratio 등은 Ulbricht and Southgate (1991)의 계산식을 활용하여 지방산조성을 평가하였다. AI=[12:0+(4×14:0)+16:0]/[ΣMUFA+ΣPUFA(n-6)+(n-3)]; TI=(14:0+16:0+18:0)/[(0.
  •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semi-micro Kjeldahl법, 조지방은 Bligh and Dyer법(1959), 회분은 건식회화법, 탄수화 물 함량은 phenol-sulfuric acid (Dubios et al., 1956)으로 측정 하였다.
  • 시료의 일반성분은 AOAC (2000) 방법에 의해 분석 하였다.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semi-micro Kjeldahl법, 조지방은 Bligh and Dyer법(1959), 회분은 건식회화법, 탄수화 물 함량은 phenol-sulfuric acid (Dubios et al.
  • 총 지질은 Bligh and Dyer 법(1959)에 따라 chloroform:methanol (2:1, v/v)로 추출하였다. 지방산 유도체화는 AOCS법 (1990)에따라 0.5 N NaOH-methanol 용액으로검화하고, 12% BF3 -methanol로 methylester화 하였다. 이를 capillary column (Omegawax-320, 30 m×0.
  • 총 지질은 Bligh and Dyer 법(1959)에 따라 chloroform:methanol (2:1, v/v)로 추출하였다. 지방산 유도체화는 AOCS법 (1990)에따라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굴 생산량은? 우리나라 수산업에서 굴 산업이 차지하는 중 요성이 매우 커 우리나라 전 연안의 조간대와 천해에 걸쳐 생산 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가장 중요한 수산자원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굴 생산량은 2010년 32,951톤(1,821억원), 2016년 31,888톤(1,460억원)으로 약간 감소하기는 하였지만 중국 다 음으로 많은 세계 제2위의 굴 생산국이며, 현재까지는 대부분 수하식 양식으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갯벌에서 생산되는 굴 은 생산량이 적어 아직까지는 통계에 기록되지 않고 있다.
프랑스 에서 생산되는 굴이 최상의 상품으로 취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1%에 불가하지만, 생산금액은 세계 2위로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패류로 평가 받고 있다. 이와 같이 프랑스 에서 생산되는 굴이 최상의 상품으로 취급되는 것은 갯벌로 이 루어진 해양환경의 특성상 개체굴이 굴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KMI, 2017).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 가 대부분은 굴을 수하식으로 양식하여 알굴로 유통하고, 프랑 스를 비롯한 유럽은 부유망식, 수평망식 등으로 양식하여 껍질 을 가진 개체굴로 유통되며, 알굴에 비해 가격이 2배 가량 높다.
이매패류인 굴을 건강식품으로 잘 알려지게한 특징은? 굴을 비롯한 이매패류는 여러 식품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 며, 이는 이매패가 갖고 있는 특징인 맛과 건강을 대변하는 소 재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굴은 높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지 만 에너지는 낮고,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함량도 낮으며, 포화지 방산의 함량은 낮지만 n-3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으며,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B12, 철, 아연 및 구리의 함량은 매우 높 은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어 세계인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 다(Dong, 2001). 우리나라 수산업에서 굴 산업이 차지하는 중 요성이 매우 커 우리나라 전 연안의 조간대와 천해에 걸쳐 생산 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가장 중요한 수산자원의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nacleto P, Maulvault AL, Bandarra NM, Repolho T, Nunes ML, Rosa R and Marques A. 2014. Effect of warming on protein, glycogen and fatty acid content of native and invasive clams. Food Res Inter 64, 439-445. http://dx.doi.org/10.1016/j.foodres.2014.07.023. 

  2. AOCS. 1990. AOCS official Method Ce 1b-89. In AOCS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 of the AOCS, 4th ed. AOCS, Champaign, IL, U.S.A. 

  3.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 Bligh EG and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5. Choi JD, Hwang SM, Kang JY, Kim SH, Kim JG and Oh KS. 2012. Food components characteristic of oysters produced in Korea. J Agri Life Sci 46, 105-115. 

  6. Choi SD, Kim SY, Yang MH, Park JS, Rha SJ, Woo CY, Kim DY and Jung DS. 1999. Mass mortality of oyster, Crassostrea gigas in Kamark Bay 1. Environmental factors oyster farming area. J Res Instit Indus Tech Region Develop Yosu Natl Univ 8, 259-266. 

  7. Crawford MA, Bloom M, Broadhurst CL, Schmidt WF, Cunnane SC, Galli C, Gehbremeskel K, Linseisen F, Lloydsmith J, Parkington J. 1999. Evidence for the unique function of docosahaenoic acids during the evolution of the modern hominid brain. Lipids 34, S39-S47. http://dx.doi.org/10.1007/BF02562227. 

  8. Dong FM. 2001. The nutritional value of shellfish. Washington Sea Grant Program: University of Washington, Washington D.C., U.S.A. 

  9.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10.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 11, 1-42. 

  11. Fang ZQ, Cheung RY, Wong MH. 2003. Heavy metals in oysters, mussels and clams collected from coastal sites along the Pearl River Delta, South China. J Environ Sci 15, 9-24. 

  12. FDA, 2016. Food Labeling: Serving Sizes of Foods That Can Reasonably Be Consumed At One Eating Occasion. Retrieved from https://www.federalregister.gov/documents/2016/05/27/2016-11865/food-labeling-serving-sizes-of-foods-that-can-reasonably-be-consumed-at-one-eating-occasion on May 7, 2017. 

  13. Gabbott PA. 1983. Developmental and seasonal metabolic activities in marine molluscs. In: The Mollusca 2. Environmental Biochemistry and Physiology. Hochachka PW, ed. Academic Press, New York, U.S.A., 165-217. 

  14. Goncalves A, Pedro S, Duarte A and Nunes ML. 2009. Effect of enriched oxygen atmosphere storage on the quality of live clams (Ruditapes decussatus). Inter J Food Sci Tech, 44, 2598-2605. http://dx.doi.org/10.1111/j.1365-2621.2009.02090.x 

  15. Hayashi T, Yamaguchi K and Konosu S. 1981. Sensory analysis of taste-active components in the extract of boiled snow crab meat. J Food Sci 46, 479-483. 

  16. HMSO. 1994. Nutritional aspects of cardiovascular disease: report on health and social subjects. Committee of medical aspects of food policy, 46, Department of Health, London, UK. 

  17. Jang MS, Jang JR, Park HY and Yoon HD. 2010. Overall compositions, and levels of fatty acids, amino acids, and nucleotide-type compounds in wild abalone Haliotis gigantea and cultur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Korean J Food Preserv 17, 533-540. 

  18. Je JY, Park PJ, Jung WK and Kim SK. 2005. Amino acid changes in fermented oyster (Crassostrea gigas) sauce with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s. Food Chem 91, 15-18. http://dx.doi.org/10.1016/j.foodchem.2004.05.061 

  19. Kim MA, Shim KB, Park JS, Oh EG, Shin SB, Park K and Lim CW. 2014. Seasonal variation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and glycogen content of oysters Crassostrea gigas collected in Geoje and Jaran Bay i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7, 713-718. 

  20. Kim SJ, Seo HL, Lee HM, Yeom JU, Kim GH, Jang ES, Baeg YH and Jeon BH. 2003. The effect of exercise and taurine supplementation on body weight, blood glucose, insulin and cholesterol level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Exer Nutr 7, 257-263. 

  21. KMI. 2017. Korea Maritime Institute Fisheries Outlook Center. Retrieved from http://www.foc.re.kr on Jun 14, 2017. 

  22. KMI. 2016. Korea Maritime Institute Fisheries Outlook Center. Retrieved from http://www.foc.re.kr on Jun 14, 2017. 

  23. Lee YM, Lee SJ, Kim SG, Hwang YS, Jeong BY and Oh KS. 2012.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ultured and wild oysters Crassostrea gigas and Ostrea denselamellos i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5, 586-593. 

  24. Makoto O, Masazumi N and Tadashi N. 1989. Involvement of prostaglandins in the spawning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Comp Biochem Physiol Part C 94, 595-601. http://dx.doi.org/10.1016/0742-8413(89)90119-9. 

  25. Martin JP and Fridovich I. 1981. Evidence for a natural gene transfer from the ponyfish to its bioluminescent bacterial symbiont Photobacter leiognathi.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bacteriocuprein and the copper-zinc superoxide dismutase of teleost fishes. J Biol Chem 256, 6080-6089. 

  26. Mennicken L, Ponsuksili S, Tholen E, Thi Kim Khang N, Steier K, Petersen J, Schellander K and Wimmers K. 2005. Divergent selection for w3:w6 polyunsaturated fatty acid ratio in quail eggs. Archiv Tierzucht Dummerstorf 48, 527-534. 

  27. Mo KH, Park YJ, Jung EY, Kim YG, Jeong CH and Han KN. 2012. Comparisons of growth and mortality of the tidal flat oyster Crassostrea gigas by the net bag rack culture system in two districts in western Korea. Korean J Malacol 28, 45-54. 

  28. Molin M, Ulven SM, Meltzer HM and Alexander J. 2015. Arsenic in the human food chain: biotransformation and toxicology- review focusing on seafood arsenic. J Trace Elem Med Biol 31, 249-259. http://dx.doi.org/10.1016/j.jtemb.2015.01.010. 

  29. Nestel P. 2000. Fish oil and cardiovascular disease: lipids and arterial function. Am J Clin Nutri 71, 228-231 

  30. Oliveira MCRM. 2012. Moluscos bivalves em Portugal: composicao quimica e metais contaminantes. Lisboa: Tese de Mestrado em Tecnologia e Seguranca Alimentar, Faculdade de Ciencias e Tecnologia da Universidade Nova de Lisboa 85. Retrieved from http://run.unl.pt/handle/10362/8466 onMay 7, 2017. 

  31. Patrick S, Faury N and Goulletquer P. 2006. Seasonal changes in carbohydrate metabolism and its relationship with summer mortality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Thunberg) in Marennes-Oleron bay (France). Aquaculture 252, 328-338. http://dx.doi.org/10.1016/j.aquaculture.2005.07.008. 

  32. Ruiz C, Abad M, Sedano F, Garcia-Martin LO and Sanchez-Lopez JL. 1992. Influence of seasonal environmental changes on the gamete production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Crassostrea gigas in suspended culture in E1 Grive, Galicia, Spain. J Exp Mar Biol Ecol 155, 249-262. http://dx.doi.org/10.1016/0022-0981(92)90066-J. 

  33. Spurvey S, Pan BS and Shahidi F. 1998. Flavour of shellfish. In: Flavor of Meat, Meat Products, and Seafoods. Shahidi F. ed. Blackie Academic and Professional. London, UK, 159-196. 

  34. Taniguchi CN, Dobbs J, Dunn MA. 2017. Heme iron, non-heme iron, and mineral content of blood clams (Anadara spp.) compared to Manila clams (V. philippinarum), Pacific oysters (C. gigas), and beef liver (B. taurus). J Food Compos Anal 57, 49-55. http://dx.doi.org/10.1016/j.jfca.2016.12.018. 

  35. Tanimoto S, Kawakami K and Morimoto S. 2013.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shucked oyster Crassostrea gigas stored in salt water at $3^{\circ}C$ . Korean Fish Aquat Sci 16, 63-69. http://dx.doi.org/10.5657/FAS.2013.0063. 

  36. Tsutagawa Y, Hosogai Y and Kawai H. 1994. Comparison of mineral and phosphorus contents of muscle and bone in the wild and cultured horse mackerel. J Food Hyg Soc Japan 34, 315-318. 

  37. Ulbricht TLV and Southgate DAT. 1991. Coronary heart disease: seven dietary factors. The Lancet 338, 985-992. http://dx.doi.org/10.1016/0140-6736(91)91846-M. 

  38. WHO, 2013. Evaluations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cadmium. Retrieved from http://apps.who.int/food-additives-contaminants-jecfa-database/chemical.aspx?chemID1376 on May 7,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