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통계소양교육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사교육 방향의 탐색
A study of the policy change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 with an analysis of America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0 no.2, 2017년, pp.163 - 186  

김정란 (통계청) ,  김응환 (공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통계소양교육에 관한 내용과 우리나라 2015교육과정 수학교과에서 반영한 통계소양 성취를 위한 교육환경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 연구를 통해 미국과 우리나라는 사회적 교육적 환경의 차이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에게 통계교사교육 방향의 전환이 시급함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첫째, 통계교육은 우선 교사가 수학과 통계학의 차이를 분명히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통계교육의 방법과 평가영역에서도 특별한 변화가 필요하다. 절차적 계산을 질문하는 것과 함께 개념과 과정을 이해했는지도 물어야 한다. 또한 통계적 사고를 할 수 있는지 그리고 통계적 문제해결방법인 '문제구성-데이터수집-분석-결과해석' 과정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는 예비수학교사들이 임용고사라는 확률론 중심의 이론적 시험에 합격해야하는 필요에 의해 이론 공부에 치중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수학에서는 확률론 영역의 이론 강조도 중요하지만 자료 분석을 기초로 한 문제해결과정인 통계적 사고력 신장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학교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미래에 필요한 통계소양을 지식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는 수학교사들의 전문성향상을 위한 통계교육담당 수학교사로서의 직업교육의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함을 탐색하고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policy change of teachers education in Korea with an analysis of America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we found the difference of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between Korea and America with each nation's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e can get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ranklin이 정의한 통계소양은? Franklin은 GAISE(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에서 통계소양을 문제해결 과정으로「문제인식-데이터수집-데이터분석-데이터해석」의 통계적 사고방식 모형(framework)으로 정의하였고(Christine A. Franklin, et al, 2007), 시민이 통계소양을 갖추기 위해서는 삶을 준비하는 단계인 학교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고 교사가 매우 중요하다(Christine A.
수학교과에서 통계소양의 어떤 부분을 경계하는가? SET와 GAISE에서는 교사와 학생들이 통계학과 수학의 차이를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수학교과에서 통계학을 교수-학습하기 때문에 통계소양을 가진 통계적사고방식이 기계적인 계산으로 흐르는 것을 경계한다. 수학이 통계교육에서 중요하지 않다거나 통계교육이 수학교육의 일부분이 아니라고 논쟁하려는 것이 아니다.
미국이 통계소양 교육 가이드라인을 개발한 목적은? 미국은 통계소양 교육 가이드라인을 수학자, 통계학자, 수학교육자, 통계교육자와 함께 통계학회(ASA,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에서 2007년 GAISE와 2015년 SET(Statistical Education of Teachers)을 개발하였다. 이는 교실에서 통계학을 가르칠 초중-고 교사를 준비시킬 목적이 있다. 특히 수학교과에서 통계교육을 다루기 때문에 수학교사는 통계학과 수학 간의 차이점을 분명하게 인식하도록 ‘통계적인 시각에서 수학적 실천’을 다루고 통계적사고의 평가요소를 다루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고호경(2012). 국제성취도 평가에 기초한 중학교 확률과 통계 내용 관련 탐구 - PISA와 TIMSS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1), 109-135. 

  2. 교육부(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8]. 

  3. 김응환(2004). 학교수학에서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7(2), 51-65. 

  4. 박경미, 김동원(2011).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 진단을 위한 조사 연구. 수학교육, 50(1), 89-102. 

  5. 방정숙(2008). 통계학습과 관련된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55-676. 

  6. 장혜원(2012) 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 CCSSM의 수학적 실천에 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2(4), 557-580. 

  7. 이종학(2011). 예비교사의 통계적 추론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99-327. 

  8. 이정무, 유진수, 이정아, 이경화(2016),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 평가의 가능성 모색-SAT 통계 문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6(3), 527-542. 

  9. Cobb, G., and Moore, D.(1997). Mathematics, statistics, and teaching.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4(9):801-823. 

  10. Conference Board of the Mathematical Sciences.(2012). The Mathematical Education of Teachers. Providence, RI: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1.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CEEB). (1959). Program for college preparatory mathematics. Iowa City, IA: Commission on Mathematics, Author. 

  12. Christine A. Franklin, Anna E. Bargagliotti, Catherine A. Case, Gary D. Kader, Richard L. Scheaffer and Denise A. Spangler(2015) Statistical Education of Teachers(SET) Report,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3. Gal, L.(2000) Statistical literacy: Conceptual and instructional issues. In D. Cobenetal (ed.) Perspectives on adults learning mathematics: Research and practice (pp.135-150).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 

  14. Franklin, C., and Mewborn D.(2006). The Statistical Education of pre K-12 teachers: A shared responsibility. In NCTM 2006 Yearbook: Thinking and Reasoning with Data and Chance(pp.335-344). 

  15. Franklin C.,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and Scheaffer, R. (2007). Guidelines and Assessment for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GAISE) Report: A PreK-12 Curriculum Framework. Alexandria, V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Retrived from www.amstat.org/education/gaise 

  16. Franklin C., Kader, G., Bargagliotti A., Scheaffer, R., Case C., and Spangler D.(2015). Statistical Education of Teachers(SET) Report,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47). Report by the Committee on Applied Mathematical Statistics, Reprint and Circular Series, 128. 

  18. NACOME.(1975). Overview and analysis of school mathematics grades K-12. Reston, VA: NCTM, 1980, p.4 

  1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NCTM).(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1. Porter, T. (2001) Statistical futures, Amstat News, 291:61-64. 

  22. Roberts, R., Scheaffer, R., and Watkins, A.(1999). Advanced Placement Statistics-Past, Present and Future. The American Statistician, 53(4). 

  23. Statistical Education of Teachers(2015), ASA 

  24. Scheaffer, R. I., and Jacobbe, T.(2014). Statistics education in the K-12 schools of the United States: A brief of history.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22(2). 

  25. Tukey, J. (1962). The future of data analysis.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33:1-67. 

  26. Utts J.(1999), Seeing Through Statistics. 

  27. Utts J.(2003). What educated citizens should know about statistics and probability, The American Statistician, 57(2):74-79. 

  28. Walker, H. (1931). Mathematics and Statistics. In Sixth Yearbook, Mathematics in Modern Life (pp.111-135), Reston, VA:NCTM. 

  29. Watson, J.M.(2006). Statistical literacy at school: Growth and goal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