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자인 호텔에 나타난 실내디자인 표현특성 - 토니 치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In Design Hotels - Focusing on Tony Chi's Works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6 no.3 = no.122, 2017년, pp.25 - 33  

김선영 (클로이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in his design hotel through the analysis of Tony Chi 's work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esign direc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design hotel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니 치의 작품 분석을 통해 그의 디자인 호텔에서 나타나는 실내디자인 표현특성을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디자인 호텔 실내공간의 디자인 연출방법의 접근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또한 Mintel(2011)도 아직까지 부티크 호텔의 “명확성과 정의가 부족하다”라고 지적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호텔로 명칭을 통일하되 디자인 호텔과 부티크 호텔의 개념 모두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디자인 호텔에 나타나는 실내디자인 표현 특성을 토니 치가 설계한 디자인 호텔을 사례로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토니 치의 디자인 호텔 사례들을 통해 토니 치의 실내디자인 표현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례선정 기준은 토니 치가 2016년까지 설계한 디자인 호텔 중 토니 치의 철학과 디자인 표현특성이 가장 확실히 나타나 있는 호텔 5곳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토니 치의 디자인호텔의 실내디자인 표현특성을 분석하였다.
  • 최초의 디자인 호텔은 1980년 초 뉴욕모간호텔(Morgan 's Hotel in New York), 샌프란시스코 포닉스(The Phoenix in San Francisco), 킴톤 호텔 컬렉션(Kimpton Hotel collection)을 중심으로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8)되었는데 뉴욕모간호텔(Morgan 's Hotel in New York)을 디자인한 이안 슈라거(Ian Schrager)는 디자인 호텔 계획 시 전통적인 호텔에서 벗어나 소비자에게 보다 친밀하고 친근한, 독특하고 세련된 분위기의 공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2) 시적인 단어는 내재되어 있는 의미가 다양하기 때문에 공간에 상징적 표현이 무한대로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자인 호텔의 속성이 계속 변화되는 이유는? 디자인 호텔은 일반 호텔과는 달리 독특한 디자인 반영과 최근 변화되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개성적인 측면으로 인해 속성이 계속 변화되고 있다.
토니 치는 어떤 디자이너로 유명한가? 그 중 토니 치는 브랜드 체인 호텔들과 활발한 디자인 활동을 하고 있는 실내디자이너로써 사용자를 기반으로 공간의 기능, 감성, 경험의 상호관계를 중요시 하는 디자이너로 유명하다. 그는 다양한 브랜드 체인 호텔들과의 협업을 통해 그들의 경영적 노하우를 적용시킨 디자인을 표현해 내고 있다.
STR과 BLLA에서 정의한 디자인 호텔이란? 이에 연구자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디자인 호텔을 정의하고 있다. STR(Smith Travel Research)은 “독특하고 현대적인 디자인의 인테리어를 제공하는 200개 이하의 객실 및 공공장소가 있는 호텔”로 정의하였고 BLLA(The Boutique and Lifestyle Lodging Association)는 “매우 친밀하고 일반적으로 고급스럽고 기발한 고급 호텔 환경'으로 정의하였다. 김혜영(2001)은 디자인 호텔이란 “호텔산업 또는 기업으로서 대형화되고 체인화 되는 호텔들과는 달리 다양성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고 디자이너의 디자인개념과 언어를 통해 다양한 표현방법과 원리를 공간에 적용하여 새로운 공간과 삶의 무대를 제공하는 호텔”이라 하였고, 노현경 외1(2015)은 “단순히 여행을 위한 숙소로서의 호텔이 아닌 라이프 스타일을 즐길 수 있는 문화, 예술,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서의 호텔로 소비자들의 필요와 욕구에 부흥하여 나타난 것”이라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intel, Boutique Hotels in the US July 2011: Mintel Group, 2011 

  2. Riewoldt, Otto, New Hotel Design, Laurence King Publishing, 2006 

  3. Sue McKenney, The boutique and lifestyle hotel report, 2014 

  4. 김혜영, 디자인 호텔에 있어 개념과 디자인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01 

  5. 정수영, 현대실내디자인에서 탈장르적 개념과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1999 

  6. 김명선, 김주연, 디자인 호텔 실내공간의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3권, 4호, 2004 

  7. 김정아, 김억, 새로운 패러다임에 따른 호텔디자인의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6권, 1호, 2007 

  8. 노현경, 김문덕, 안드레 푸트만의 디자인 호텔 공용공간에 나타난 실내공간 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24권, 1호, 2015 

  9. 박소라, 필립 스탁의 호텔 프로젝트에서 나타나는 공간구성과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4권, 4호, 2005 

  10. 전민지, 김정아, 마르셀 반더스의 호텔 실내공간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25권, 2호, 2016 

  11. Day, Jonathon, Donna Quadri, and David Lawrence Jones. Boutique and lifestyle hotels: Emerging definitions. BLLA, Boutique & Lifestyle Lodging Association, 2012 

  12. Freund de Klumbis,D., Munsters, W., Developments in the Hotel Industry: design meets historic properties, International Cultural Tourism, Elsevier Butterworth Heinemann, 2005 

  13. Jang, M. Boutique hotels become branded: the impact on the non-branded boutique segment, An Independent Lodging Congress Publication, 2014 

  14. Migle Aliukeviciute, Boutique hotels' evolution, 2010 

  15. Mcintosh, Alison J., and Anna Siggs. 'An exploration of the experiential nature of boutique accommoda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44.1, 2005 

  16. www.hue.fitnyc.edu 

  17. www.prestigeonline.com 

  18. www.tonychi.com 

  19. www.str.com/resources/glossary 

  20. http://www.interiordesign.ne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