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거주 외국인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임상적 특징 및 심박변이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Heart Rate Variability of Foreign Domestic Violence Victims in Korea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4 no.1, 2017년, pp.46 - 54  

김규리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진숙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  장용이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해우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  심현보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가정폭력에 노출된 여성은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다양한 정신 질환에 이환되기 쉽다. 심박변이도 검사는 자율신경계의 활성도와 균형을 평가하는 검사로 비침습적이고 재현성이 높아 정신 질환에 대한 연구에서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폭력 피해 여성에 대한 심박변이도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폭력 피해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및 심리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인과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의 임상적 특징과 심박변이도 검사 결과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여성쉼터에 입소한 폭력피해 여성 중 2011년 12월 부터 2015년 12월까지 건강검진을 위해 서울의료원에 방문한 대상자 중 한국인 166명, 외국인 44명, 총 210명 대상으로 HAM-D, HAM-A, IES-R임상 척도 평가와 심박변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폭력 피해 여성 중 한국인과 외국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심리적 특징, 심박변이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 및독립 표본 t-검정 등을 시행하였다. 결 과 : 한국인과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은 거주지, 유년시절폭력의 경험, 폭력의 지속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인과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 두 군 간의 HAM-A, HAM-D, IES-R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심박변이도의 세부지표에서는 ApEn 수치가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군이 한국인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RMSSD 수치는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 군이 한국인보다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기타 HRV 세부지표에서는 한국인 폭력 피해 여성 군과 외국인 폭력피해 여성 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국내 폭력 피해 여성은 우울,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높았고 한국인과 외국인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심박변이도 검사에서 외국인의 ApEn 값이 유의하게 높고 RMSSD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한국인과 외국인의 인종 생리적 또는 이민 생활 등 환경적 영향의 차이일 수 있으며 향후 충분한 수의 외국인 대상자와 한국인을 비교, 추적조사를 통하여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Domestic violence is related to many psychiatric diseases, such as depression, anxiety disorder, and PTS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an index of autonomic control of the heart and is related to cardiovascular and emotional disorders.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on the e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폭력 피해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및 심리학적 특징을 살펴봄과 동시에 한국인과 비교하여 국내 거주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의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 등의 인구학적 특징과 스트레스, 우울, 그리고 불안 등의 임상적 특징, 심박변이도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폭력 피해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및 심리학적 특징을 살펴봄과 동시에 한국인과 비교하여 외국인 폭력 피해 여성의 임상적 특징과 심박변이도 검사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연구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는 국내 폭력 피해 여성 중 한국인과 외국인의 심박변이도 차이를 나타낸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폭력의 정의는 무엇인가? 여성폭력은 여성을 대상으로 행해지는 성폭력, 가정폭력, 성매매 등이 대표적 형태이며 그 중 가정폭력은 가정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상 가정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로 정의된다(Kim 등 1998). 가정폭력은 부부싸움의 연장선상으로 여기거나 배우자를 소유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 관습적으로 묵인될 수 있고, 피해자의 귀책 사유가 있을 것이라는 사회적 편견이 가정폭력을 인지하는 걸림돌이 될 수 있으며, 실제로 가정폭력과 같은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에 대해서는 1980년대 이후에서야 인간의 기본권, 인권 등의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Lee 2007).
스트레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상호작용으로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며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트레스는 교감신경계 활성도의 증가 또는 부교감신경계 활성도의 저하를 일으켜, 자율신경계의 억제 기전이 교란을 받게 된다(Kim과 Woo 2005). 스트레스에 대한 교감신경계 반응은 건강 상태와 질병 발생 위험도의 평가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Chung과 Hwang 1997).
정신적 외상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변화에 대한 연구들의 결과는 어떠한가? 정신적 외상(trauma)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변화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환자는 낮은 심박변이도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으며(Brandon과 Julian 2014), 폭력, 기본 권리 침해 등의 사건을 포함한 꾸준한 외상성 경험을 하는 경우 역시 낮은 심박변이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elinda 등 2016). 성폭력의 경우 군복무 여성이 성폭력 피해를 당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증상을 가지는 경우 낮은 심박변이 도를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나, 현재까지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심박변이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Lee와 Theus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gelink MW, Boz C, Ullrich H, Andrich J.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clinical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for antidepressive treatment. Psychiatry Res 2002;13:139-149. 

  2. Alvares GA, Quintana DS, Kemp AH, Van ZA, Balleine BW, Hickie IB, et al. Reduced heart rate variability in social anxiety disorder: associations with gender and symptom severity. PLoS One 2013;8:e70468. 

  3. Belinda JL, Andrew HK, Zachary S, Angela N, Richard AB, Natalino T,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xposure age, and psychopathology in a post-conflict setting. BMC Psychiatr 2016;16:133-141. 

  4. Brandon LG, Julian FT. Individual differences in resting heart rate variability and cognitive control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ront Psychol 2014;5:758-764. 

  5. Cho MK, Park DH, Yu JH, Ryu SH, Ha JH. The change of heart rate variability in anxiety disorder after given physical or psychological stress. Sleep Med and Psychophysiol 2014;21:69-73. 

  6. Choo CS, Lee SH, Kin H, Lee KJ, Nam M, Chung YC. Heart rate variability of Korea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atients. Korean Soc Biol Psychiatr 2005;12:13-19. 

  7. Chung SK, Hwang IK. The psychophysiologic response in Korean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leep Med and Psychophysiol 1997;4:107-119. 

  8. Claudia G, Henrica A, Mary E, Lori H, Charlotte HW. WHO Multicountry Study on Women's Health and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Study Team. Prevalence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findings from the WHO multi-country study on women's health and domesticviolence. Lancet 2006;368:1260-1269. 

  9. Dabkowska M, Araszkiewicz A. Anxiety sensitivity among female victim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Eur psychiatry 2009;24:S525. 

  10. Friedman BH, Thayer JF. Autonomic balance revisited: panic anxiety and heart rate variability. J Psychosom Res 1998;44:133-151. 

  11. Gaetano V, Paolo A, Antonio L, Enzo PS. Dominant lyapunov exponent and approximate entropy in heart rate variability during emotional visual elicitation. Front Neuroeng 2012;5:3. 

  12. Go GS. Experience of foreign wives who have been abused by their family. Korean Assoc Victimology 2010;18:229-259. 

  13. Gouin JP, Zhou B, Fitzpatrick S. Social integration prospectively predicts changes in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individuals undergoing migration stress. Ann Behav Med 2015;49:230-238 

  14. Ha J, Park S, Yoon D, Kim B. Short-term heart rate variability in older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depression. Psychiatr Res 2015;226:484-488. 

  15. Hattendorf J, Tollerud TR. Domestic violence: counseling strategies that minimize the impact of secondary victimization. Perspect Psychiatr Care 1997;33:14-23. 

  16. Hill LK, Hu DD, Koenig J, Sollers JJ, Kapuku G, Wang X, et al. Ethnic differences in resting heart rate variabi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sychosom Med 2015;77:16-25. 

  17. Jean PG, Biru Z, Stephanie F. Social integration prospectively predicts changes in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individuals undergoing migration stress. Ann Hebav Med 2015;49:230-238. 

  18. Kemp AH, Quintana DS, Gray MA, Felmingham KL, Brown K, Gatt JM. Impact of depression and antidepressant treatment on heart rate variability: a review and meta-analysis. Biol Psychiatr 2010;67:1067-1074. 

  19. Kemp AH, Koenig J, Thayer JF, Bittencourt MS, Pereira AC, Santos IS. Race and resting-state heart rate variability in brazilian civil servan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iscrimination: an ELSABrasil cohort study. Psychosom Med 2016;78:950-958. 

  20. Kim CY. Psychiatric assessment instruments. Seoul: Hana Psychiatric Publishing Inc.;2001. p.99-101. 

  21. Kim G, Woo J. Determinants for heart rate variability in a normal Korean population. J Korean Med Sci 2011;26:1293-1298. 

  22. Kim W, Woo JM, Chae JH. Heart rate variability in psychiat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176-184. 

  23. Kojima M, Hayno J, Fukuta H, Sakata S, Mukai S, Ohte N, et al. Loss of fractal heart rate dynamics in depressive hemodialysis patients. Psychosom Med 2008;70:177-185. 

  24. Lee EA, Theus SA. Lower heart rate variability associated with military sexual trauma rap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iol Res Nurs 2012;4:412-418. 

  25. Lee NY, Heo MS. Gendered violence and gender regime in the neoliberal state of South Korea: reconceptualization and reconstruc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Korean Fam Stud Assoc 2014;24:58-90. 

  26. Lee YJ. A study on mental health and social adjustment of family violence victims: a pathway exploration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Ment Health & Soc Work 2007;11:161-183. 

  27. Lim HK, Woo JM, Kim TS, Kim TH, Choi KS, Chung SK,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ompr Psychiatry 2009;50:385-390. 

  28. Madan LN, Kurt C, Ginsberg JP.Meta-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as a psychophysiological indicator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Trauma Treat 2013;3:182-189. 

  29. Mark Z, Iwona C, Michael P. A review of studies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in healthy controls: implications for the definition of remission in treatment studies of depression. J Nervous and Ment disease 2004;192:595-601. 

  30. Mary E, Henrica AFMJ, Lori H, Charlotte HW, Claudia GM.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wome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the WHO multi-country study on women's health and domestic violence: an observational study. Lancet 2008;371:1165-1172. 

  31. Moon E, Lee S, Kim D, Hwang B. Comparative study of heart rate variabilit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ipolar disor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r major depressive disorder. Clin Psychopharmacol Neurosci 2013;11:137-143. 

  32. Nina OB. Ruminations and effects of trauma in women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Ann Psychol 2016;4:643-658. 

  33. O'Connor MF, Allen JJ, Kaszniak AW. Autonomic and emotion regulation in bereavement and depression. J Psychosom Res 2002; 52:183-185. 

  34. Park YS, Lee KJ, Kim H, Chung YC. Autonomic neurocardiac function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using a heart rate variability test battery. Sleep Med and Psychophysiol 2004;11: 100-105. 

  35. Paul AD, Lana W, Patrick SC, Ania O, Andrew S, Michelle FD, et al. Posttraumatic stress, heart-rate variability, and the medicating role of behavioral health risks. Psychosom Med 2014;76:629-637. 

  36. Rajendra UA, Paul KJ, Kannathal N, Choo ML, Jasjit SS. Heart rate variability: a review. Med Bio Eng Comput 2006;44:1031-1051. 

  37. Signorelli MS, Arcidiacono E, Aguglia E.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intimate partner violenc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risk factors and psychopathological consequences. Eur Psychiatry 2012;27:1. 

  38. Tanya A, Charlotte HW, Ligia K, Lori H.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recent intimate partner violence? findings from the WHO multi-country study on Women's health and domestic violence. BMC Republic Health 2011;11:109. 

  39. Verkuil B, Brosschot JF, Thayer JF. Cardiac reactivity to and recovery from acute stress: temporal associations with implicit anxiety. Int J Psychophysiol 2014;92:85-91. 

  40. Vigo DE, Nicolar SL, Ladron DGMS, Martinez MJA, Fahrer RD, Cardinali DP, et al. Relation of depression to heart rate nonlinear dynamics in patients > or 60 years of age with recent unstable angina pectoris 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 J Cardiol 2004;93:756-760. 

  41. Yi JS, Bae SO, Ahn YM, Park DB, Noh KS, Shin HK, et al.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depression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456-4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