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소비자의 환경의식, 처분 추구가치, 지속가능한 패션소비태도와 패션처분행동에 관한 연구
Fashion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pursuing values in disposal,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attitude and fashion disposal behavior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5 no.3, 2017년, pp.253 - 269  

석효정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  이은진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fashion consumers disposal behavior and analyzed the effects of consumers pursuing values in disposal, environmental awareness, and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attitudes in regards to fashion disposal behavior.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were obtained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 처분과 소극적 처분을 포함하여 소비자의 패션처분행동의 유형을 알아보고, 패션 제품 처분을 통한 추구가치와 환경의식, 지속가능한 패션소비태도 등의 심리적 변인이 처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학문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패션처분행동을 파악하고, 처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패션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소비 및 처분행동을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패션 기업이 자원의 선순환과 제품의 지속가능성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처분행동을 통해 추구하는 가치요인을 분류하고 처분추구가치와 환경의식, 지속가능한 소비태도가 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패션처분행동을 적극적 처분과 소극적 처분으로 나누고, 적극적 처분은 중고판매 및 교환을 통한 경제적 처분, 기부 및 증여하는 사회적 처분, 리폼 및 수선을 통해 재활용하는 실용적 처분으로 분류하고, 소극적 처분은 단순 폐기와 수동적 보관을 포함하고자 한다.
  • , 2013), 대부분 질적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이므로 양적 연구를 통해 처분행동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처분행동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제적 가치, 옷장정리의 목적 달성을 통한 개인적 즐거움이나 죄책감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쾌락적 가치, 새 옷을 위한 공간 마련이나 공간확보 등을 추구하는 실용적 가치, 나눔의 실천과 자원의 재활용으로 환경과 사회에 책임있는 행동을 하고자 하는 환경사회적 가치추구로 분류하여 추구 가치가 패션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비행동의 마지막 단계이자 구매나 사용 못지않게 중요한 소비자의 패션처분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처분행동의 유형을 알아보고 처분 추구 가치, 환경의식, 지속가능한 패션소비태도가 패션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자원의 선순환과 환경보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지속가능한 패션소비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소비자의 패션처분행동은 경제적, 실용적, 사회적 처분행동과 수동적 보관행동으로 분류되었다.
  • Ahn and Ryou(2015)는 유행추구가치가 헌 옷 수거함에 넣는 처분행동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친구나 가족에게 양도하는 행위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고, Bianchi and Birwistle(2010)은 패션혁신성이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친구나 가족에게 증여하는 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패션소비태도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중고패션 제품 태도, 패션재활용 태도, 패션혁신성으로 분류하여 연구하고자 하며, 지속가능한 패션소비태도가 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Joung and Park-Poaps(2013)는 환경관심은 재판매와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Morgan and Birtwistle(2009)에 의하면 의류를 너무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느낄 때 처분행동에 적극적이며, 환경에 대한 관심이 많고, 일반적인 재활용 행동을 많이 할수록 입지 않는 옷을 자선단체에 기부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의식을 구성하는 변수로 소비자 효과성 지각(PCE), 환경에 관한 관심(concern), 패션산업과 관련한 환경 지식(knowledge)을 주요 변수로 포함하여 환경의식이 패션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2-3.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패션소비태도가 패션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2-1. 소비자의 처분 추구가치가 패션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2-2.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패션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 제품 폐기물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의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패션 제품 폐기물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의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글로벌 의류 생산은 2000년 이후 2배로 증가하였고, 글로벌 의류 매출액 또한 2015년 기준 1.8조 달러 규모로 급증하였으며, 소비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의류를 구매하지만 예전에 비해 더 짧게 소비하고, 더 많이 버리고 있다(“The environmental costs”,2017). 패션 제품의 처분행동은 구매나 사용 못지않게 중요한 소비행동으로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패션 제품을 어떻게 처분할 것인가는 소비자가 주도적으로 결정하고 실행하는 소비자 행동의 마지막 단계이며(Harrell & McConocha, 1992), 지속가능한 패션 소비의 관점에서 소비자의 처분행동이 구매나 사용 행동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Choi & Kim, 2007).
패션산업의 방향성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그동안 패션산업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생산과정에서의 환경적인 영향, 즉 지속가능한 재료의 사용이나 유해 화학물질의 금지, 노동 및 인권문제 등업스트림 생산망 관리에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소비자의 사용이나 재사용, 사용 후의 관리 등 다운스트림 생산망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극히 일부 패션 브랜드들이 통합적 관점에서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전 과정을 책임질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데(Hvass,2014) 아디다스, 파타고니아 등은 자원의 재활용을, H&M과 유니클로, 막스앤스펜서는 제품의 수거와 재활용 프로그램 활용을 실천하는 등 기업 차원에서 패션 폐기물의 효율적인 선순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패션처분행동이란 무엇인가? 패션처분행동이란 소비자가 패션 제품을 구매, 사용 후에 더 이상 착용하지 않는 제품을 처분하는 행동을 말한다. 패션처분행동의 개념은 패션 제품의 소비과정 모델을 토대로 능동적 사용, 수동적 보관, 폐기라는 세 가지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는 수정된 소비과정 모델(bathtub model)로 발전하였는데(Veverka,1974 as cited in Kwon, Kim, & Lee, 2002), 처분 유형에 따라 경제적 처분, 책임있는 처분, 무책임한 처분행동(Harrell & McConocha, 1992; Jang & Park,1997)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S.-K., & Ryou, E. (2015).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demographic features on clothing disposal behavior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6), 956-964. doi:10.5805/SFTI.2015.17.6.956 

  2. Albinsson, P. A., & Perera, B. Y. (2009). From trash to treasure and beyond: The meaning of voluntary disposition.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8(6), 340-353. doi:10.1002/cb.301 

  3. Bianchi, C., & Birtwistle, G. (2010). Sell, give away, or donate: An exploratory study of fashion clothing disposal behaviour in two countries.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20(3), 353-368. doi:10.1080/09593969.2010.491213 

  4. Bianchi, C., & Birtwistle, G. (2012). Consumer clothing disposal behavior: A compar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6(3), 335-341. doi:10.1111/j.1470-6431.2011.01011.x 

  5. Birtwistle, G., & Moore, C. M. (2007). Fashion clothing-where does it all end up?.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5(3), 210-216. doi:10.1108/09590550710735068 

  6. Cho, H.-J. (2010). Aspect and meaning of social discussion in media discourse of clothing reuses. 실천민속학연구 [Journal of Practice Folkloristics], 16, 121-165. 

  7. Choi, E. J., & Kim, Y.-S. (2007). An effect of value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environmental involvement on the ecologically concerned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0(3), 15-41. 

  8. Choo, T. G., & Park, H. H. (2013).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n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of secondhand fashion goods: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4), 618-630. doi:10.5850/JKSCT.2013.37.4.618 

  9. Ha-Brookshire, J. E., & Hodges, N. N. (2009). Socially responsible consumer behavior?: Exploring used clothing donation behavior.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27(3), 179-196. doi:10.1177/0887302X08327199 

  10. Han, S.-H. (2009). A study on the purchasing behavior and usag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lothing and the disposal of clothing.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3), 61-77. 

  11. Harrell, G. D., & McConocha, D. M. (1992). Personal factors related to consumer product disposal tendencies. The Journal of Consumer Affairs, 26(2), 397-417. doi:10.1111/j.1745-6606.1992.tb00034.x 

  12. Huh, K.-G. (2007). Consumer's pro-environmental behavior relating to clothing by the style of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2), 23-36. 

  13. Hvass, K. K. (2014). Post-retail responsibility of garments: A fashion industry perspective.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8(4), 413-430. doi:10.1108/JFMM-01-2013-0005 

  14. Jang, G. H., & Park, J. O. (1997). The effects of the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on the clothing disposition behavior(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4), 795-805. 

  15. Joung, H.-M. (2014). Fast fashion consumers' postpurchase behaviour.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42(8), 688-697. doi:10.1108/IJRDM-03-2013-0055 

  16. Joung, H.-M., & Park-Poaps, H. (2013). Factors motivating and influencing clothing disposal behaviou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7(1), 105-111. doi:10.1111/j.1470-6431.2011.01048.x 

  17. Kang, Y. S. (2013). Research on the recycling and disposal of unused clothes by women.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3(4), 61-84. 

  18. Kim, S. W., & Cho, H. S. (2000). A study on clothing recycling disposition behavior: Focusing on the unmarried women work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8(2), 15-27. 

  19. Kwon, K. D., Kim, S. H., & Lee, S. J.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relations between fashion life style & consumer behavior at decline stage of the fashion life cy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2), 280-291. 

  20. Lang, C., Armstrong, C. M., & Brannon, L. A. (2013). Drivers of clothing disposal in the US: An exploration of the role of personal attributes and behaviours in frequent disposal.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7(6), 706-714. doi:10.1111/ijcs.12060 

  21. Lee, J. Y., Halter, H., Johnson, K. K. P., & Ju, H. (2013). Investigating fashion disposition with young consumers. Young Consumers, 14(1), 67-78. doi:10.1108/17473611311305494 

  22. Morgan, L. R., & Birtwistle, G. (2009). An investigation of young fashion consumers' disposal habi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3(2), 190-198. doi:10.1111/j.1470-6431.2009.00756.x 

  23. Park, H. H., & Oh, S. D. (2005). The influence of materialism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n recycling attitude and behavior of clothing.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10), 167-177. 

  24. Park, J.-M., & Shin, H. W. (2014). Environmental consciousness, clothing recycling behavior and interest in fashion by awareness of upcycling and purchasing behavior for upcycled fashion produc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2), 89-99. 

  25. Park, S.-A., Park, J.-O., & Lee, J.-Y. (2014).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on perceived consequences of fast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2), 225-239. doi:10.7741/rjcc.2014.22.2.225 

  26. Roh, Y.-L., & Kim, S.-W. (2002). A study on environmental and recycling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consumers’ recycling: Focused on the unused clothing of unmarried working wom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1), 163-178. 

  27. Suk, H. (2015). Consumer's perception of fashion companies' sustainability and its effect on trus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5), 656-671. doi:10.5850/JKSCT.2015.39.5.656 

  28. Suk, H., & Lee, E.-J. (2013). The value, knowledg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of fashion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3), 424-438. doi:10.5850/JKSCT.2013.37.3.424 

  29. The environmental costs of creating clothes. (2017, April, 11). The economist, Retrieved April 14, 2017, from http://www.economist.com/blogs/economistexplains/2017/04/economist-explains-6 

  30. Yoon, S. I., Jin, K.-N., & Kang, H. S. (2013).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revitalization strategies of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Focused reused and recycled fashion industry.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0, 305-3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