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제국기 남자 조끼 형태 및 제작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st shape and tailoring of the Korean Empire in the 1900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5 no.3, 2017년, pp.340 - 358  

최은주 (영산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ndamentally examine the vests of the robes "Daeraebok" and "Soraebok" of the Korean Empire from the 1876 Port Opening to the 1910 annexation of Korea to Japan. Among the collections of different robes of the Korean Empire which belong to various universities and in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양식 관복은 1900년부터 1908년에 걸쳐 변화되어온 문관의 관복으로 어떻게 구성 되었나? 대례복은 대례모, 대례의, 조끼, 대례고, 검, 검대, 백색칼라, 백색장갑으로 구성되고, 영국의 궁중 예복을 모방한 일본의 대례복을 참작한 것으로 궁궐에서 황제를 알현하는 상황에 착용하였다. 소례복인 프록코 트와 연미복은 유럽제국에서 사용되던 시민의 예복 으로 진사고모(silk top hat), 구제연미복 또는 프록코트, 조끼, 바지로 구성되고, 연미복은 각국 사신 소접시, 궁중 사연 시, 국외국 관인 만찬 시에 착용하고 프록코트는 궁내진현시, 각국 경절 하례 시, 사적인 하례와 예방 시에 착용하였다. 상복은 서양에서 착용 되던 시민의 평복인 세비로(sack coat)와 같은 것으로 구미평모(중절모자), 구제통상의, 조끼, 바지로 구성 되고, 임시로 진현할 때, 연거할 때, 집무할 때 착용하 도록 규정되었다(Ryu, 1989).
외교관의 복장에 양복이 도입 된 것은 언제인가? 1899년 8월 외교관의 복장에 양복이 도입되고, 광무 4년 1900년 4월 17일 발표한 칙령에서는 문관의 대례복, 소례복, 상복을 서양식 관복으로 제정하였다.이처럼 서양식 관복(대·소례복)은 1900년에 제정되어 한일합방이 이루어지는 1910년까지 존속하였다.
조끼란 국어사전에 어떻게 표기 되어있는가? 조끼는 국어사전에서 ‘배자(褙子)와 같이 생긴 것으로, 한복에는 저고리나 적삼 위에, 양복에는 셔츠 위에 덧입는, 소매가 없는 옷. 흔히 호주머니가 달려 있다.’라고 풀이되어 있고(“Vest”, n.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usan Modern History Museum. (2005). 都總 ['Dochong' Sum all together]. Busan: Busan Modern History Museum. 

  2. Choi, E. J. (2015). A study of the shape and tailoring of frock coats in the Korean Empire: Park Ki Jong’s frock coa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3), 439-453. doi:10.7741/rjcc.2015.23.3.439 

  3. Choi, K.-S. (2008). A study on court dress in Gungnaebu of Daehan empire. Korean Studies Quarterly, 31(2), 3-39. 

  4. Choi, K.-S. (2011). Preparation of the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appeared in the changed system of the western-style full dress uniform in 1905-1906.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39, 5-45. 

  5. Choi, K.-S. (2012). 대한제국시대 관원의 예복 [The ceremonial costume of Daehan Empire]. In Kyungwoon Museum (Ed.), 대한제국 남성예복: 새로운 물결, 주체적 수용 [Men's robe in Korean Empire] (pp. 121-147). Seoul: Kyungwoon Museum. 

  6. Choi, Y. M. (1995). A study on the vest pattern of men in twenties related to roher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9(6), 1008-1016. 

  7. Culture Heritage Administration. (2012). 2012 근?현대문화유산 의생활분야 목록화 조사 보고서 [2012 a report of investigation in clothing habits contents for modern?present age].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8. Davis, R. I. (1994). Men's garments, 1830-1900: A guide to pattern cutting and tailoring (2nd ed.). Studio City, CA: Players Press. 

  9. Fashion Text Dictionary Committee. (1999). 패션전문자료사전 [Fashion text dictionary]. Seoul: Korean Dictionary Researcher. 

  10. Hwang, J. A. (2000). A Study on the changes of Korean costume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D. C. (2005). 박기종 [Park Ki Jo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History Editorial Office (Ed.), (20 세기) 부산을 빛낸 인물 2 [Bring glory person in Busan at 20C, 2] (pp. 73-82). Busan: Busan Metropolitan City. 

  12. Kim, J. S. (1990). 한국양복100년사 [A hundred history of western costume in Korea]. Seoul: Mirinae. 

  13. Kim, M. J. (1977). 개화기의 문관복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changes on Government officials' garments of the Chosun day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 67-84. 

  14. Kim, Y. H. (1987).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ostume and the process of reception in the civilized age of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Y. S.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A dictionary of Korean traditional apparel]. Seoul: Art Culture. 

  16. Korean Empire Ministry Record Section. (1982). 法規類編: 2. 規制門 [Legal regulations edition: 2. Regulations]. Seoul: Asiamoonwhasa. (Original work Published 1908) 

  17. Kum, K. S., Kim, M. J., Kim, Y. I., Kim, Y. H., Park, M. H., Park, M. Y.,... & Choi, H. J. (2002). 현대패션 100년 [Fashion 1900-2000]. Seoul: Gyomoonsa. 

  18. Kyungwoon Museum. (2012). 대한제국 남성예복: 새로운 물결, 주체적 수용 [Men's robe in Korean Empire]. Seoul: Kyungwoon Museum. 

  19. Lee, K. M. (1999).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costume systems since port opening treaties in nineteenth centu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K. M. (2008). Western-styled court costume paradigm of the Korean Empi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K.-M. (2010). The institution of court costume in the year 1900 (the 4th year of Korean Empire Gwangmu) and the symbolism of Mugunghwa, the rose of sharon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3), 123-137. 

  22. Lee, K.-M. (2011). A study on the revision and the loss of national identity of western-styled court costume in the Daehan Empi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61(4), 103-116. 

  23. Lee, K.-M. (2013).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urt dresses in the Daehan Empire: Focused on the coat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6), 56-68. doi:10.7233/jksc.2013.63.6.056 

  24. Lee, K.-M., & Lee, S.-W. (2000).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costume systems since port opening treaties in nineteenth centu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8), 149-163. 

  25. Lee, S. H. (1984). The transformation of costume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of Korea and the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Y. J. (1996). 신사복 미학 [Aesthetics on men's wear]. Seoul: Fromm To. 

  27. Lee, Y. K., & Kim, J. G. (1995). 우리나라 양복수용 과정의 복식변천에 대한 연구: 문화전파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process of western clothing adoption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26, 123-143. 

  28. Min Chulhoon. (n.d.). In Encylopedia of Korean culture. Retrieved January 20, 2017,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5385&cid46623&categoryId46623 

  29. National Place Museum of Korea. (2010). (100년 전의 기억) 대한제국 [100 years past: Memories of the Korean empire]. Seoul: GraphicNet. 

  30. Park, S. S. (2003). 개화기 복식의 변천 [The transformation of costume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of Korea]. Dankook University Academy of Asian Studies, 295-310. 

  31. Ryu, H. K. (1980). 한국 복식사 연구 [Research of Korean costume history].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32. Ryu, H. K. (1989). 한국복식문화사 [History of Korea Costume]. Seoul: Gyomoonsa. 

  33. Vest. (n.d.). In Naver Korean dictionary. Retrieved December 11, 2016, from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4168300 

  34. Yun Chiho. (n.d.a). In Encylopedia of Korean Culture. Retrieved January 20, 2017,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0398&cid46623&categoryId46623 

  35. Yun Chiho. (n.d.b). In The digital local culture encylopedia of Korea. Retrieved January 20, 2017,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570922&cid51930&categoryId542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