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제국기 문관 대례복 제작에 관한 연구 - 상의 패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urt Dresses in the Daehan Empire - focused on the coat pattern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3 no.6, 2013년, pp.56 - 68  

이경미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fundamental research of construction of coat patterns in the Daehan Empire in order to make replicas of the costumes. This study is composed of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ion of artifacts, and experiment of pattern 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한제국의 서구식 문관 대례복은 몇 년간 착용되었는가? 대한제국의 서구식 문관 대례복은 1910년까지 10년간 착용되었다. 이 시기에 착용된 대례복 유물은 현재 기증 또는 구입의 방식으로 각각 다른 박물관에 8점 가량 소장되어 있다.
칙령 제14호 문관복장규칙은 어떤 내용인가? 1) 칙령 제14호 문관복장규칙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착용자 규정으로 대례복은 칙임관과 주임관만 착용하는데 여기에는 궁내부와 외각부원까지 포함하고 무관과 경관도 문관으로 전임하거나 때에 따라 문관대례복을 착용하며 판임관은 부득이한 경우 소례복을 대례복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착용일에 관한 규정으로 問安時, 動駕動輿時, 因公陛見時, 宮中賜宴時로 정해졌는데 이는 황제를 알현하거나 황제와 관련된 이동, 연회에 참석할 때 착용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습의 구성품 규정으로 대례모, 대례의, 조끼, 대례고, 검, 검대, 白布下襟(칼라 안쪽에 다는 땀받이용 흰색 천), 백색 장갑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한제국은 언제 서구식 문관 대례복 제도를 도입하였는가? 대한제국은 1900년 4월 17일에 칙령 제14호 문관 복장규칙, 칙령 제15호 문관대례복 제식을 발표함으로써 서구식 문관 대례복 제도를 전면적으로 도입하였다.1) 칙령 제14호 문관복장규칙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이경미 (2010), 대한제국 1900년(光武4) 문관대례복 제도와 무궁화 문양의 상징성, 복식, 60(3), pp. 125-126. 

  2. 문화재청 (2012), 근.현대 문화유산 의생활분야 목록화 조사보고서, 서울: 카피웍스 

  3. 이경미 (2008),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篠崎文子(1999), 紳士服の形態硏究-文官大?服の仕立てに關する一考察-, 日本服飾學會誌, 通號18, pp. 144-150. 

  5. 議政府總務局官報科발행 (1904. 4. 19), 官報 號外, pp. 21-22. 

  6. 山根章弘(1983), 羊毛の語る日本史, 東京: 東洋印刷株式會社, pp. 15-17. 

  7. 孫世昌(1958), 殉國烈士李漢應先生遺史, 대구: 文藝弘報社, p. 2. 

  8. 杉市郞平編(1910), 倂合記念朝鮮寫眞帖, 東京: 元元堂 

  9. 국립고궁박물관 (2011), 하정웅 기증 순종황제의 서북 순행과 영친왕.왕비의 일생, 서울: 디자인공방, pp. 27-29. 

  10. 자료검색일 2013. 6. 9, http://en.wikipedia.org/wiki/Cummerbund. 

  11.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2), 대한제국 남성예복, 서울: 디자인이즈, p. 53. 

  12. 박기종 (2005), 上京日記, 부산근대역사관 역, 부산: 영신애드, p. 24. 

  13. 국립민속박물관 편 (2011), 모자와 신발 특별전, 서울: 홍디자인, p. 106. 

  14. 유희경 외 (1991), 大韓帝國時代文物展, 서울: 영인 프로세스, p. 5. 

  15. 이경미 (2010), 대한제국 1900년(光武4) 문관대례복 제도와 무궁화 문양의 상징성, 복식, 60(3), p. 132. 

  16. 연세대학교 박물관 (1976), 연세대학교 박물관 보고, 역사유물 I,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p. 27. 

  17. 이경미 (2011), 대한제국기 서구식 문관 대례복 제도의 개정과 국가정체성 상실, 복식, 61(4), p. 110 

  18. 文化服飾博物館編(1983), 近代洋裝-日本.西洋, 東京: 壯光舍印刷株式會社, p. 12. 

  19. John Maclochlainn (2011), The Victorian Tailor,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 102. 

  20. R. I. Davis and William-Alan landes (1994), Men's Garments 1830-1900, Studio City: Players Press, Inc., p. 29. 

  21. R. I. Davis and William-Alan landes (1994), Men's Garments 1830-1900, Studio City: Players Press, Inc., pp. 30-35. 

  22. 衣服改良會(1903), 洋服裁縫敎科書, 東京: 太陽舍, pp. 122-125. 

  23. 衣服改良會(1903), 洋服裁縫敎科書, 東京: 太陽舍, p. 124. 

  24. 平山桂藏編(1915), 洋服裁斷述, 東京: 雄文社, p. 13. 

  25. 篠崎文子(1999), 紳士服の形態硏究-文官大?服の仕立てに關する一考察-, 日本服飾學會誌, 通號18, p. 147. 

  26.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2), 대한제국 남성예복, 서울: 디자인이즈, p. 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