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속적인 전방머리자세 시 머리-목 관절 위치 감각의 변화
Changes in Cervicocephalic Joint Position Sense in Sustained Forward Head Postu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5 no.2, 2017년, pp.11 - 17  

정다운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용욱 (전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differences in cervicocephalic joint position sense error after different sustained sitting postures in healthy young adults. Methods : Twenty-five healthy adults(12 men, 13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positioning errors of neck movement were ob...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 연구는 머리-목 관절 오차값의 시간학적 요인은 고려되지 않고 단지 앉은 자세 및 머리 위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와 바르게 앉은 자세를 일정 시간 유지토록 한 후 머리-목 관절 재위치오차값을 비교하여, 바르지 못한 자세의 시간적 요인이 위치 감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구부려 앉은 후 측정된 머리-목 관절의 재위치 오차값이 바르게 앉은 후 측정한 오차값보다 유의하게 클 것으로 정하였다.
  • 본 연구는 앉은 자세가 머리-목 관절 머리-목 위치 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0분 동안 전방머리자세와 바르게 앉은 자세를 유지한 후 관절 재위치 오차값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머리-목 위치 감각측정 방법인 중립 위치 찾기(Revel 등, 1994)와 표적 위치 찾기(Loudon 등, 1997)를 이용하여 목의 고유수용성 감각에 대해 자세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앉은 자세가 머리-목 관절 머리-목 위치 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0분 동안 전방머리자세와 바르게 앉은 자세를 유지한 후 관절 재위치 오차값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머리-목 위치 감각측정 방법인 중립 위치 찾기(Revel 등, 1994)와 표적 위치 찾기(Loudon 등, 1997)를 이용하여 목의 고유수용성 감각에 대해 자세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전의 머리목 관절 고유수용성 감각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목의 통증(Cheng 등, 2010), 근피로 발생(Reddy 등, 2012), 교통사고로 기인한 채찍 손상 등의 유무가 머리-목 관절의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주로 시행되었으며, 비정상적으로 지속된 구부정한 자세가 머리-목 관절 머리-목 위치 감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 이전의 머리목 관절 고유수용성 감각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목의 통증(Cheng 등, 2010), 근피로 발생(Reddy 등, 2012), 교통사고로 기인한 채찍 손상 등의 유무가 머리-목 관절의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주로 시행되었으며, 비정상적으로 지속된 구부정한 자세가 머리-목 관절 머리-목 위치 감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비정상적으로 지속된 구부정한 자세는 일반인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흔히 경험하는 자세이며,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검증하지 못한 이러한 자세 환경에 대한 머리-목 관절 위치 감각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일상생활 중 흔히 발생하는 바르지 못한 자세의 시간적 요인이 위치 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간적 요인을 고려하여 대상자 간의 차이를 통제하기 위해 동일한 대상자를 반복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남녀 25명을 대상으로 하여 앉은 자세에 따른 머리-목 관절 재위치 오차값 차이를 비교하였다. 전방머리자세 후의 관절 재위치 과제를 수행 하였을 때 바르게 앉은 자세를 유지했을 때 보다 오차가 시상면에서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와 바르게 앉은 자세를 일정 시간 유지토록 한 후 머리-목 관절 재위치오차값을 비교하여, 바르지 못한 자세의 시간적 요인이 위치 감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구부려 앉은 후 측정된 머리-목 관절의 재위치 오차값이 바르게 앉은 후 측정한 오차값보다 유의하게 클 것으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방머리자세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고유수용성 감각은 머리-목 관절 뿐 아니라 인체의 자세 조절 및 동적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고유수용성 감각의 수용기는 목의 내재근과 인대 등에 흔히분포한다(Brandt, 1996; Ferrell 등, 1985). 척추의 움직임은 고유수용성 근육신경반사(neuromuscular proprioceptive reflex)에 의해 조절되는데, 전방머리자세(forward head posture, FHP)는 고유수용성 반사작용의 약화를 유발하고 이는 척추 불안정성 및 손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Panjabi, 1992). 이처럼 고유수용성 감각은 척추의 움직임과 안정성에 중요할 뿐 아니라 그 기능이 저하될 경우 통증을 유발하는 잠재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고유수용성 감각의 특징은 무엇인가? 고유수용성 감각은 머리-목 관절 뿐 아니라 인체의 자세 조절 및 동적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고유수용성 감각의 수용기는 목의 내재근과 인대 등에 흔히분포한다(Brandt, 1996; Ferrell 등, 1985). 척추의 움직임은 고유수용성 근육신경반사(neuromuscular proprioceptive reflex)에 의해 조절되는데, 전방머리자세(forward head posture, FHP)는 고유수용성 반사작용의 약화를 유발하고 이는 척추 불안정성 및 손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Panjabi, 1992).
운동 감각 및 관절 위치 감각을 측정도구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운동 감각 및 관절 위치 감각을 측정하는 방법은 해당 분절을 미리 설정된 위치(pre-determined position)로 관절을 최대한 정확하게 재위치하는 것이다(de Vries 등, 2015). 측정 도구 및 과제에는 차이가 있으나 중립위치 찾기(Revel 등, 1994)와 표적 위치 찾기(Loudon 등, 1997)를 기반으로 한 방법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중립 위치 찾기란 머리-목의 중립 위치를 감각적으로 기억하고 관절가동운동을 시행한 후 중립 위치를 가능한 만큼 정확하게 재연하는 것이다(Revel 등,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다혜, 김태훈(2016). 치위생 작업 수행 시 치료 자세에 따른 근육활동과 움직임. 대한통합의학회지, 4(4), 83-90. 

  2. 박일우, 임원빈, 박규남 등(2014). 뇌졸중 환자의 수동적 어깨 관절 가동범위 측정에 관한 스마트폰과 측각기의 측정자내, 측정자간 신뢰도 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1(1), 1-12. 

  3. 배원식, 이건철, 김윤환(2016). 전방머리자세에서 목근육 근활성도에 대한 맥켄지 신장운동과 어깨 안정화운동의 효과 비교. 대한통합의학회지, 4(1), 13-20. 

  4. 양회송, 정찬주, 유영대 등(2016). 스마트폰 경사계를 사용한 엉덩관절 가동범위의 측정 신뢰도 연구. 대한통합의학회지, 4(2), 89-96. 

  5. 정연우(2006). 만성경부통증 환자에 대한 McKenzie 운동이 기능 회복과 두부전방자세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1), 93-108. 

  6. 정지문, 구자신, 신원섭(2012). 다른 앉은 자세가 목의 관절가동범위, 근력,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5), 2212-2218. 

  7. Alghadir A, Zafar H, Iqbal Z, et al(2016). Effect of sitting postures and shoulder position on the cervicochepalic kinesthesia in healthy young male. Somatosens Mot Res, 33(2), 93-98. 

  8. Amstrong BS, McNair PJ, Taylor D(2008). Head and neck position sense. Sports Med, 38(2), 101-117. 

  9. Basteris A, Pedler A, Sterling M(2016). Evaluating the neck joint position sense error with a standard computer and a webcam. Man Ther, 26, 231-234. 

  10. Brandt T(1996). Cervical vertigo-reality or fiction? Audio Neurootol, 1(4), 187-196. 

  11. Chen HM, Hsieh CL, Sing KL, et al(2007).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2 mobility performance test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1(4), 347-352. 

  12. Cheng CH, Wang JL, Lin JJ, et al(2010). Position accuracy and electromyographic responses during head reposition in young adults with chronic neck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0(5), 1014-1020. 

  13. de Vries J, Ischeneck BK, Voogt LP, et al(2015). Joint position sense error in people with neck pain: A systematic review. Man Ther, 20(6), 736-744. 

  14. Ferrell WR, Baxendale RH, Carnachan C, et al(1985). The influence of joint afferent discharge on locomotion, proprioception and activity in conscious cats. Brain Res, 347(1), 41-48. 

  15. Lee H, Nicholson LL, Adams RD, et al(2006).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korea language versions of 4 neck disability qeustionnaires. Spine, 31(16), 1841-1845. 

  16. Loudon JK, Ruhi M, Field E(1997). Ability to reproduce neck position after whiplash injury. Spine, 22(8), 865-868. 

  17. Malmstrom EM, Karlberg M, Holmstrom E, et al(2010). Influence of prolonged unilateral cervical muscle contraction on head repositioning-decreased overshoot after a 5-min static muscle contratction task. Man Ther, 15(3), 229-234. 

  18. Panjabi MM(1992).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 II. Neutral zone and instability hypothesis. J Spinal Disord, 5(4), 390-396. 

  19. Reddy RS, Maiya AG, Rao SK(2012). Effect of dorsal neck muscle fatigue on cervicochepalic kinasesthetic senstibility. Hong Kong Physiother J, 30(2), 105-109. 

  20. Revel M, Minguet M, Gregory P, et al(1994). Changes in cervicocephalic kinesthesia after a proprioceptive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 with neck pain :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rch Phys Med Rehabil, 75(8), 895-899. 

  21. Weon JH, Oh JS, Cynn HS, et al(2010) Influence of forward head posture on scapular upward rotators during isometric shoulder flexion. J Bodyw Mov Ther, 14(4), 367-37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